d라이브러리
"물리학"(으)로 총 2,059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간여행이 만든 잔혹한 스릴러과학동아 l201312
- 빌려왔는데, 바로 미국의 천문학자 칼 세이건이 그의 오랜 친구이자 캘리포니아공대 이론물리학과 교수인 킵손에게 조언을 얻어 쓴 소설이다. 킵 손 교수는 ‘아인슈타인-로젠다리’에서 얻은 불안정한 웜홀에 주목했다. 그리고 웜홀을 안정시키는 특별한 조건에서는 시간여행이 가능하다는 주장을 ... ...
- 20세기 기하학의 방향을 바꾼 동양의 작은 거인, 천싱선수학동아 l201312
- 함께 논문을 썼는데, 이 논문의 결과는 지금은 ‘천-사이먼스 이론’으로 불리며 이론물리학의 게이지 이론★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사이먼스는 천으로부터 큰 영향을 받았고 평생 그를 스승이자 친구로 여겼는데, 이 영특한 젊은 수학자는 그 뒤에 투자분야에 뛰어들어 큰 부자가 되었다 ... ...
- Part 3_ 우주의 종말은 뜨거울까, 차가울까?과학동아 l201312
- 맞는다는 것이다. 플랑크 길이보다 작게 수축한 우주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는 현재 물리학 이론으로는 설명할 수 없다. 다만 한 점으로 수축한 뒤에 여기서 다시 빅뱅이 일어나 우주가 새로 생긴다는 이론도 있다. 이 경우 우주는 빅뱅과 빅크런치를 주기적으로 반복하게 된다. 매번 새로운 ... ...
- Part 1_ 우주를 팽창시키는 힘, 암흑에너지과학동아 l201312
- 진공에너지?1998년 우주의 가속팽창이 처음 발견되고서 15년이나 지났다. 2011년에는 노벨 물리학상까지 받았지만, 우리는 우주의 표준 모형이 제시하는 물질과 에너지를 모두 동원해도 우주 가속팽창의 원인을 설명하지 못한다. 과학자들은 이를 설명하기 위해 암흑에너지라는 가설을 도입했다. ... ...
- PART 2. 생리의학상 - 신속 정확 세포 택배회사과학동아 l201311
- 주사를 맞아야 했을 것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노벨 과학상 2013PART 1. 물리학상 - 힉스에 대한 치명적인 오해5PART 2. 생리의학상 - 신속 정확 세포 택배회사PART 3. 화학상 - 실험하지 않고도 화학반응 예측한다PART 4. 이그노벨상 - 암소가 바닥에 누울 확률은 ... ...
- PART 4. 이그노벨상 - 암소가 바닥에 누울 확률은?과학동아 l201311
- 발상은 여전히 기릴 만하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노벨 과학상 2013PART 1. 물리학상 - 힉스에 대한 치명적인 오해5PART 2. 생리의학상 - 신속 정확 세포 택배회사PART 3. 화학상 - 실험하지 않고도 화학반응 예측한다PART 4. 이그노벨상 - 암소가 바닥에 누울 확률은 ... ...
- 초원의 시간과학동아 l201311
- 갖는 것만으로도 온 초원을 빛나게 만드는 아이. 현명해 보이는 아이의 부모는, 수학이나 물리학 같은 건 전혀 모르고도 아이의 존재감을 짐작할 수 있었을 것이다. 어떻게 모를 수가 있을까. 이렇게 보고만 있어도 벅찬 감정이 치밀어 오르는데.“타임머신을 만들 거라고 했지?”윤희나는 입으로 ... ...
- INTRO. 노벨 과학상 2013과학동아 l201311
- 과학상의 이모저모를 살펴봤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노벨 과학상 2013PART 1. 물리학상 - 힉스에 대한 치명적인 오해5PART 2. 생리의학상 - 신속 정확 세포 택배회사PART 3. 화학상 - 실험하지 않고도 화학반응 예측한다PART 4. 이그노벨상 - 암소가 바닥에 누울 확률은 ... ...
- PART 1. 물리학상 - 힉스에 대한 치명적인 오해5과학동아 l201311
- 입자가 존재할지도 모르기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노벨 과학상 2013PART 1. 물리학상 - 힉스에 대한 치명적인 오해5PART 2. 생리의학상 - 신속 정확 세포 택배회사PART 3. 화학상 - 실험하지 않고도 화학반응 예측한다PART 4. 이그노벨상 - 암소가 바닥에 누울 확률은 ... ...
- 바다가 있는 한 조선해양공학은 영원하다과학동아 l201311
- 분명한 제품군이 있는 학문 분야입니다. 첨단 구조물을 만들려면 기계공학, 해양학, 물리학 등 여러 가지 학문 분야의 지식이 필요합니다.”듣고 보니 조선해양공학이 융합분야라는 것에 일리가 있다. 선박 한 척, 원유시추선 등을 보면 정말로 어마어마하게 많은 부품과 지식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 ...
이전3132333435363738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