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뇌처럼 작동하는 전자회로 나왔다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현재 전자기기에 쓰이는 회로는 0과 1 두 가지 신호로 작동하는 디지털 방식인 데 비해 우리 뇌의 신경세포는 연속적인 값을 이용하는 아날로그 방식으로 작동한다. 알파고처럼 뇌를 모방하는 인공지능 기술은 주로 소프트웨어를 만들어서 디지털 컴퓨터로 작동시키는 방식을 활용한다. 하지만 ... ...
- [Interview] “초대칭 이론, 아직은 흔적 못 찾아”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무거운 납 이온을 충돌시키면 여러 입자가 생성되고 다시 플라스마 안에서 재결합 한다. 우리는 입자들이 쿼크 수준으로 풀어졌다가 다시 모여서 입자로 생성되는 과정을 알 수 있었다. 쿼크-글루온 플라스마에 점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는데, 그 성질에 대해서도 좀 더 자세히 알게 됐다.또 보통은 ... ...
- [Issue] 지금, 당신의 머리 위로 우주가 내린다 우주먼지과학동아 l2017년 05호
- .1mm 체를 아래에 놓고 체를 쳐서 0.5mm 체는 통과하고 0.1mm 체에 걸려있는 입자만을 택한다. 우리가 사용할 입자는 0.5mm와 0.1mm 사이의 크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0.1mm 체를 통과한 작은 입자와 0.5mm체 위에 남은 큰 입자들은 버려도 좋다.채집한 입자는 현미경 관찰 전에 입자표면의 또 다른 작은 먼지들을 ... ...
- [Origin] 모든 선택을 설명하는 이상한 수식과학동아 l2017년 05호
- PC방에서 게임한 총 시간과 수학 점수 사이에는 음의 상관 관계가 있다.신난다! 이제 우리는 축약된 형태의 프라이스 방정식에 다다랐다. 개체가 지닌 형질과 그 개체의 적합도(즉, 평생 낳는 자식 수) 사이의 통계적인 상관관계를 개체군의 평균 적합도로 나누면, “마치 마술사의 모자에서 토끼가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엄치나의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답을 맞혔으니 약속을 지켜야지. 너희 팀도 새로운 멤버를 영입하도록 해!”“그럼 우리에게 시간을 좀 줘~.”“음…. 일주일이야! 일주일 뒤에 새로운 멤버와 새 문제를 만들어서 연락해~.”비밀과학수사대 4명은 일주일 뒤 새로운 대결을 약속하며 산을 내려갔어요.“하아…, 그나저나 누구를 ... ...
- 수학이 빚은 조각 보석수학동아 l2017년 05호
- 있습니다.보석의 가치를 높이려면 원석에서 최대한 큰 보석을 얻어내야 합니다. 그런데 우리가 얻어내는 원석은 모양이 제각각이라서 브릴리언트 커트를 고집하면 곤란합니다. 길쭉한 원석을 둥근 모양으로 깎으면 나머지는 버려야 하니까요. 광채가 덜하더라도 중량이 크면 더 비싼 값을 받을 수 ... ...
- [Future] 가짜 뉴스 꼼짝 마! 팩트 체크 인공지능 나선다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팩트 체크 기술이 위험하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이상욱 한양대 철학과 교수는 “우리가 사실이 라고 말하는 것은 여러 종류의 관련 증거에 입각해 가장 합리적으로 믿을 만한 내용이라는 ‘판단 사실’에 가까운 데, 인공지능은 판단 사실을 마치 실재 사실인 것처럼 오도하기 쉽다”며 “대부분의 ... ...
- [Origin] 공룡 족보, 100년 만에 바뀔까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형성된 암석층도 동시대의 남아메리카 암석층만큼 철저히 탐사해야 한다”며 “게다가 우리가 화석기록을 알지 못하는 곳은 전 세계에 수두룩하게 널려있다”고 덧붙였다. + 더 읽을거리in 과학동아 31년 기사 디라이브러리(정기독자 무료) ‘재미있는 공룡족보’ (2000.1.)dl.dongascience.com/magazine/view/S ... ...
- [Career] 5G 기술로 자유를 선물하다과학동아 l2017년 05호
- 꺼냈다. “무선통신은 우리에게 이동의 자유를 선물한 기술”이라며 “5G 기술은 우리가 상상할 수 없는 자유를 선물할 것”이라고 말했다.5세대 이동통신과 1~4세대 이동통신의 가장 주된 차이는 송신자와 수신자가 사람에서 사물로 범위가 넓어졌다는 것이다. 4세대 까지는 사람 간의 송수신을 위한 ... ...
- Part 2. 인간은 왜 늙는가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수없이 많다. 그만큼 연구할 거리도 많다. 이 분야에 많은 후속 연구가 이어져 언젠가는 우리 모두가 건강하게 장수할 수 있는 백세 시대를 맞이하기를 기대한다.박상철10년 넘게 한국 백세인 연구를 하고 있는 노화 의학의 세계적인 권위자로, 서울대 의대 교수, 노화고령사회연구소장, ... ...
이전3953963973983994004014024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