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능"(으)로 총 13,089건 검색되었습니다.
- [체험] 스튜디오 지브리 입체조형전 전시관에 숨겨진 비밀을 파헤치다!수학동아 l2014년 12호
- 2D 애니메이션 속 장면과 캐릭터가 입체가 되어 눈앞에 나타난다. 어떻게 이런 연출이 가능한 걸까?스튜디오 지브리를 만나다! 스튜디오 지브리는 월트 디즈니, 픽사와 함께 세계 3대 애니메이션 제작사로 꼽힌다. 일본의 애니메이션 영화감독 미야자키 하야오와 다카하타 이사오가 1985년 설립해, ... ...
- [hot science] 천문학자가 본 ‘인터스텔라’ 중력은 차원을 넘나들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웜홀이라는 필터가 있는 이상 지구에서 사람이 살 수 있는 외계행성을 찾는 것은 불가능하다. 영화처럼 인간이 직접 가서 무엇이 있는지 확인한 뒤, 웜홀을 통해 정보를 보낼 수밖에 없다. 김 그룹장은 “케플러우주망원경이 발사된 뒤 외계행성이 7000~8000개나 발견됐지만 행성의 구성성분이 제대로 ... ...
- [과학뉴스] 북극곰이 줄고 있다, 정말로!과학동아 l2014년 12호
- 가까이 감소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특히 연구팀은 새끼 북극곰의 수가 크게 줄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2004년에서 2007년 사이에 추적한 북극곰 새끼 80마리 가운데 2마리만이 생존했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해빙이 녹으면서 북극곰의 먹이인 물개가 서식지를 잃었고, 물개가 점차 줄어드니 기아에 ... ...
- [knowledge] 출발! 오로라 여행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좋은 시기다. 태양은 11년 주기로 활동성이 변하는데, 올해가 활발한 3~4년 중 마지막일 가능성이 높다. 다음 시기가 오려면 또 몇 년을 기다려야 한다. 각자 통장의 잔고와 가계부를 한 번 확인해 보자. 그리고 과감하게 비행기 표를 끊어보는 것은 어떨까. 이 글을 쓰고 있는 기자를 덤으로 데려가면 ... ...
- 닥터 그랜마, 전자파에 가로막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1호
- 공공보건연구소 연구팀이 관찰한 결과, 휴대전화를 많이 사용하면 뇌종양에 걸릴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사실을 알아냈거든요. 연구팀은 건강한 사람과 뇌종양에 걸린 환자 400명을 비교했어요. 그 결과 휴대전화를 한 달에 15시간 이상 사용한 사람들이 그보다 적게 사용한 사람들보다 뇌종양에 걸릴 ... ...
- Part 1. 테러도 공식을 따른다!수학동아 l2014년 11호
- 공격까지 시간이 얼마나 남았는지 알려 준다. 세 번째는 물론 n번째도 가능하다.이게 가능한 이유는 폭탄 테러가 학습곡선을 따르기 때문이다. 학습곡선이란 시간이 지나면서 경험이 쌓여 일을 처리하는 시간은 줄어들고 정확성은 올라간다는 것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폭탄 테러의 경우 테러를 ... ...
- [시사] 물질의 수 체계수학동아 l2014년 11호
- -1과 AB+BA=AC+CA=AD+DA=BC+CB=BD+DB=CD+DC=0을 만족해야 한다는 계산이 나온다.보통 수로는 해가 불가능한 이 방정식들이 이제는 A=c(E0), B=c(E1), C=c(E2), D=c(E3)라는 클리퍼드 수들을 통해서 쉽게 풀린다. 이런 수의 직관적인 의미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당연히 어렵다. 또 그런 어려움이 현재 ...
- [재미] 11회 지리산에 있는 벽돌집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4년 11호
- 국립공원 사무소에서 10년 넘게 일했지만, 이 넓은 산에서 일어나는 일을 모두 아는 건 불가능한 일이라서…. 오히려 저 같은 사람보다는 지리산에서 오랫동안 산삼을 캐온 심마니들이 이곳 지리산에서 일어나는 일을 훤히 알지요.”“그…, 그럼 혹시 심마니들에게 벽돌집에 대해 물어보셨나요 ... ...
- INTERVIEW 1. 올해 노벨상 수상자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하곤 한다. 작년부터 뇌과학연구소인 세인즈베리웰컴센터 초대 센터장을 맡고 있다. 가능성 높은 후배 과학자에게 아낌없이 예산을 지원하고 그들이 최대한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게 도울 생각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노벨과학상 2014PART 1. 일본 노벨상의 비결PART 2. 물리학상PART 3. ... ...
- PART 4. 화학상과학동아 l2014년 11호
- 관찰할 수 있다. 앞서 소개한 베치그의 연구도 머너의 단일 분자 기술이 없었다면 불가능했을 것이다. 형광 단백질이 깜빡이는 과정을 밝힌 사람도 바로 머너였다. 그래서 머너의 노벨 화학상 수상은 오래 전부터 예견됐다.생물학은 보는 것에서 시작한다살아 있는 세포에서 단백질과 염색체들이 ... ...
이전3953963973983994004014024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