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능"(으)로 총 13,089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활] 영화 한 편 내려받는 데 1초 LTE-A보다 1000배 빠른 5G수학동아 l2014년 12호
- 2020년 세계 최초로 5G 시대를 열기 위해 노력하고 있고, 이 기술의 중심에 수학이 있다. 5G 가능하게 하는 수학이동통신 시스템은 디지털부와 아날로그부로 나뉜다. 디지털부는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통해서 다양한 신호를 처리한다. 오류를 감지해 수정하는 부분과 여러 개 빔의 신호를 분리하는 ... ...
- PART 2. 소행성 ‘보쌈’해 지구 구한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지구와 화성의 길목에 세워두고 징검다리처럼 이용하는 것이다.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거나 별 효용가치가 없을 것”이란 지적도 있지만, 오바마 행정부의 전폭적인 지원 아래 화성탐사 계획의 한 부분으로 추진되고 있다.소행성 자체에 대해서도 연구할 수 있다. 내부는 어떤 성분으로 이뤄져 ... ...
- [과학뉴스] 성인을 위한 19금 과학콘서트, SNL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에볼라보다 무서운 ‘성욕감퇴 바이러스’가 인류를 습격하고 난 가까운 미래. 인간종족 최후의 보루 ‘인류번식연구소’에서는 동물들의 성행위를 관찰하기 시작한다. 인간 ... ds@dongascience.com)로 이름, 나이, 참가인원을 적어서 신청하면 된다(단, 만 19세 이상만 신청 가능, 선착순 10명) ... ...
- [hot science] 동물은 왜 수컷이 더 클까과학동아 l2014년 12호
- 그건 젖먹이 시기와 관련이 깊다. 어미가 오래 젖을 먹일수록 양질의 아들이 자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앞서 말한 린덴포스 교수팀의 조사 결과 실제로 성선택의 강도가 심한 포유류 종일수록 젖을 떼는 시기도 늦어졌다. 포유류는 임신 기간보다 젖 분비기에 훨씬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다. ... ...
- [life & tech] 화장품 바르다 나노 중독 될까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베로네시 박사는 자외선 차단제에 들어가는 산화티타늄나노입자가 뇌신경을 손상시킬 가능성이 있다고 발표했다. 미국 로체스터대 귄터 오베르되스터 교수는 프라이팬 코팅재로 흔히 쓰는 테플론(PTFE) 나노입자를 쥐가 15분 동안 마시게 했더니 4시간 만에 죽었다고 보고했다. 하워드 박사는 2003년 ... ...
- [fun] “알고리듬이 위험하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있는지도 모른다. 그렇다고 알고리듬으로 돌아가는 세상에서, 알고리듬을 끊어내기란 불가능하다. 저자의 마지막 주장에 귀를 기울여야 하는 이유다. ‘만물의 공식’ 즉 알고리듬을 좀 더 이해하기 위해 노력하며 끊임없이 질문을 던져야 한다고. 그것만이 우리의 인간다움을 지킬 수 있는 ... ...
- [knowledge] 지도를 4가지 색만으로 칠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보냈다. 이렇게 4색 문제가 점차 세상에 알려졌다.이 문제는 각을 3등분하는 ‘작도 불가능 문제’와 더불어 역사상 가장 많은 사람들이 도전한 문제다. 문제 자체가 쉽게 이해되기 때문에 만만하게 여겨지는 데다, 누구나 어렸을 때 지도를 색칠해 본 경험이 있어서인지 수학을 제대로 공부하지 않은 ... ...
- PART3. 핵융합의 장점과 발전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무수하게 많은 수소 핵융합 반응이 일어난다. 이런 수소 핵융합은 별에서나 가능한 초고온, 초고밀도 환경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지구에서 구현하기는 쉽지 않다. 하지만 수소의 동위원소인 중수소와 삼중수소로 눈을 돌려보면 사정이 달라진다. 이들은 지구에서 비교적 낮은 온도로도 핵융합 ... ...
- BRIDGE. 김기만 국가핵융합연구소 신임 소장 인터뷰과학동아 l2014년 12호
- 기술) 등 다른 기발하고 우아한 아이디어들도 있다. 하지만 현재는 이들 모두 실현이 불가능할것으로 보고 있다.나용수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는 “과학적으로 회의적”이라며 “주류 핵융합계에서는 아직까지 인정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인류최후 ... ...
- BRIDGE. 로제타, 실패해도 괜찮아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못하고 조용히 사그라진 탐사선들이 빼곡하다.이런 실패의 역사가 있었기에 성공도 가능했다. 1958년 시작된 달 탐사는 1959년 ‘루나 2호’가 달 표면에 처음 착륙하기까지 실패 8번, 부분성공(부분실패) 2번이라는 성장통을 겪었다. 그러고도 1969년 사람이 달에 첫 발을 디디기까지 28번 더 실패했다. ... ...
이전39339439539639739839940040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