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
골
대뇌
두개골
뇌수
뉴스
"
뇌
"(으)로 총 4,38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자들 “설탕 첨가된 청량음료 자주 섭취땐 DNA 노화 촉진”
동아일보
l
2014.10.21
- [화보] 개그우먼들, 점점 과감해지는 시상식 패션 [관련 뉴스] - 英 오키프 교수 “
뇌
에 반도체를 꽂는다면?… 그 호기심이 40년후에 노벨상으로” - ‘폐렴구균백신’ 올해부터 공짜, 뭘 맞는게 좋나 - 독감보다 약간 심한 병?… 폐렴, 우습게 보다 목숨 잃을수도 - 한국인 영양균형 깨졌다 ... ...
“반도체를
뇌
에 꽂자는 아이디어 덕에 노벨상까지 받았네요”
2014.10.21
대규모 투자를 결정한 오바마 대통령에게 직접 감사 인사를 했다고 말했다. 현재 그는
뇌
과학연구소인 영국 세인즈버리 웰컴센터의 초대 소장을 맡아 후학 양성에도 힘쓰고 있다. 오키프 교수는 “연구자의 창의성을 유지하는 일과 안정적인 연구비를 확보하는 일이 가장 어렵다”며 ... ...
스튜어디스 직업병은 유방암?
2014.10.20
겪어도 항암유전자인 p53의 작용이 억제되면서 발암유전자인 Myc의 발현이 증가한다.
뇌
의 송과선(솔방울샘)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인 멜라토닌(melationin) 역시 일주리듬 교란과 유방암 발병 위험성을 매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야간조명(특히 파란색)은 멜라토닌의 합성을 억제하기 때문에 ... ...
유럽 생명과학연구소 허브 ‘프랜시스 크릭 연구소’
2014.10.17
영국 생명과학계의 ‘자존심’”이라며 “크릭의 이름을 붙인 연구소인 만큼 줄기세포,
뇌
과학, 유전자 연구 등 생명과학 전반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
인공신경망 화상인식 시스템 세계 최초 개발
2014.10.15
대체할 수 있을 거라는 이론을 실제로 증명한 첫 사례”라며 “시각 기능을 지닌
뇌
신경 모방 시스템을 상용화하고 인공지능 시스템 개발에도 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전기전자기술자협회(IEEE)의 ‘산업 전자 학술지(Transactions on Industrial Electronics)’ 9월 9일자 ... ...
[2014 국정감사]만들어 놓고 나 몰라라…암울한 한국
뇌
연구원 활성화
2014.10.13
류 의원은 “이런 상황에서 한국
뇌
연구원을 국가경쟁력을 갖춘 ‘세계 7대 융복합
뇌
연구기관’으로 육성시키겠다는 것은 구호에만 그친 전형적인 전시 행정의 산물”이라고 지적했다. ... ...
2014 노벨생리의학상은 ‘노르웨이판 퀴리 부부’에게
2014.10.13
찾아가 연구할 프로젝트를 달라고 졸랐다(대단한 학부생들이다!). 당시 기억에 관여하는
뇌
부위인 해마의 뉴런 활성을 연구하고 있던 안데르센 교수는 성가신 이들에게 해마를 얼마나 절제해야 새로운 환경을 더 이상 기억할 수 없게 되는지 알아보라는 과제를 줬다. 이 실험을 하면서 모세르 ... ...
뇌
염증 억제하는 새로운 물질 발굴
2014.10.13
효과를 더 연구해 알츠하이머와 파킨슨병 같은 퇴행성
뇌
질환을 비롯한 다양한 염증성
뇌
질환의 치료제 개발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네이처 케미컬 바이올로지’ 온라인판 12일자에 실렸다. ... ...
영화 ‘메이즈 러너’처럼 기억 지울 수 있을까
2014.10.10
등
뇌
에서 일어나는 기본적인 기능만 알아낸 정도다. 이 때문에 최근
뇌
과학자들은
뇌
속 신경세포가 서로 어떻게 연결됐는지 지도를 그리는 연구를 진행 중이다. 한국계 미국인 서배스천 승(승현준) MIT 교수는 신경세포의 구조 전체를 일컫는 ‘커넥톰(Connectome)’이라는 개념을 만들어 새로운 ... ...
“10년내 인간 단백질 지도 완성”
2014.10.10
1만7294개 유전자가 정확히 어떤 단백질을 만드는지 밝혀냈다. 팬디 교수는 “인간의
뇌
, 간, 폐 등 각 장기에서 발견되는 특이 단백질을 확인한 성과도 거뒀다”고 말했다. 프로테옴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지만 벌써부터 실질적인 성과들이 나타나고 있다. 백융기 연세대 생화학과 교수는 “간암을 ... ...
이전
394
395
396
397
398
399
400
401
4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