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법"(으)로 총 12,960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두근두근♡실습일지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멈춰 있다가 반문했다.“지금 덕수궁에 가자는 말씀이십니까? 저는 덕수궁으로 가는 방법을 모릅니다.”“제가 아니까 괜찮아요. 얼른요!”“저는 이 학교 주변 3km를 벗어나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그런 게 어딨어요. 로봇 씨 몸 안에 있는 부속품들은 다 다른데에서 왔을 거 아녜요 ... ...
- 아인슈타인의 중력파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그것 봐! 내 말이 맞잖아!”뜬금없이 무슨 말이냐고? 흠흠…, 일단 내 소개부터 해야지. 친구들 안녕! 나는 천재물리학자 아인슈타인이 ... 활용 방법이 무궁무진하지 않을까?친구들이 커서 그 방법을 직접 찾아보는 건 어때? 방법을 찾게 되면 나를 꼭 불러달라고~! 안녕 ... ...
- PART 2 빅데이터 꿰뚫어보는 수학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정상 아동의 뇌 영상을 구분해냈다. 그동안은 부모나 교사가 관찰한 내용과 설문지 등의 방법에만 의존했었다.김 교수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연구에 뇌 영상 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해 위상적 데이터 분석을 처음으로 적용한 것”이라며 연구의 의의를 밝혔다. 공동 연구자인 ... ...
- [매스미디어] 최초의 돌연변이 깨어나다!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인간 유전체와 계산생물학을 연구하는 바룬 아가왈라 박사팀이 확률적 방법을 이용해 개발한 학 모형으로 어떤 종류의 돌연변이가 얼마나 자주 나타나는지, 그리고 어느 위치에서 발생하는지를 알 수 있다고 발표했던 것이다.뉴클레오티드는 정해진 순서대로 나열된 염기 중 단 하나만 바뀌어도 ... ...
- [인터뷰] 젊은 수학자를 만나다 서재홍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6호
- 따서 만든 비밀번호는 기억 못 해도, 문장은 기억할 수 있고요. 실제로 패스프레이즈 방법은 충분히 안전하다는 게 검증됐어요. 보통 비밀번호를 깨기 위해 사전에 있는 단어를 이용하는데 자기만 아는 구문의 단어 앞글자로 만든 단어는 세상에 없는 단어지요. 규칙도 없어 보이니 무작위로 만든 ... ...
- [수학동아클리닉] 제주 올레에서 만나는 수학이야기수학동아 l2016년 06호
- 표면을 평평하게 고르는 건 필수! 몇 번을 부어야 원기둥을 가득 채울 수 있을까요? 같은 방법으로 구를 모래로 가득 채우려면 원뿔에 모래를 몇 번 채워야 할까요? 사진처럼 우드락으로 만든 삼각형을 준비합니다. 이 삼각형 위에 모래를 부으면 자연스러운 모래산이 생긴답니다. 이때 이 삼각형을 ... ...
- [News & Issue] ‘다중신호 천문학’ 시대 열린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않았다”며 “기존과는 전혀 다른 방법으로 검증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그 방법이 바로 중력파 관측이다. 감마선 폭발이 있을 때 중력파로 방향과 거리를 확인할 수 있다. 중력파 관측소 여러 군데를 동시에 가동하면 신호가 각기 다른 시각에 감지되는 걸 확인할 수 있다. 동심원 모양으로 ... ...
- Intro. 당신의 스마트폰은 안전합니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없이도 스마트폰 열람이 가능한 마스터키의 존재 가능성(2파트), 이에 대응할 수 있는 방법(3파트)을 짚어본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당신의 스마트폰은 안전합니까Part 1 원격으로 조종하는 마스터키, 스파이앱Part 2 비밀번호 무력화하는 백도어Part 3 스마트폰 해킹, 막아낼 방패는 ... ...
- Part 1 원격으로 조종하는 마스터키, 스파이앱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텔레그램은 ‘종단 간 암호화 방식’을 사용한다(70쪽 박스 참조). 메시지를 도청하는 방법으로는 이번 실험에서 보여준 기기 해킹 외에 네트워크 선로를 공격하는 패킷감청, 메신저 회사의 서버를 해킹하는 서버감청이 있다. 종단 간 암호화 방식은 패킷감청과 서버감청은 막을 수 있다. 하지만 ... ...
- [Knowledge] 파충류 뇌라고 무시하는 거야?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달콤한 딸기를 먹을 수 있었다.아니나 다를까 네 마리의 거북은 모두 딸기를 먹는 방법을 금세 터득했다. 그런데 뮐러-파울라 박사팀이 놀란 건 그 다음이었다. 거북이 모양을 선택하는 속도가 쥐나 개보다 빨랐기 때문이다! 이유는 이렇다. 거북의 뇌에는 학습과 기억, 그리고 공간탐색에 관여하는 ... ...
이전39439539639739839940040140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