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짜
일시
뉴스
"
일자
"(으)로 총 5,220건 검색되었습니다.
알록달록 목성 닮은 행성 속에 수증기가!
2015.12.20
베일에 가려있던 목성형 행성 10개의 대기를 관측하는 데 성공했다고 ‘네이처(Nature)’ 14
일자
에 발표했다. 지금까지 천문학자들은 태양과 같은 항성 주위를 공전하고 있는 행성을 2000개 가까이 발견했다. 이 가운데는 공전 궤도가 항성과 매우 가까워 고온의 가스 대기를 품었다는 ... ...
항균 은나노도 쌓이면 수중 생태계에 위험
2015.12.15
데 의의가 크다”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독성학 관련 학술지 ‘나노톡시콜로지’ 4
일자
에 실렸다. 은나노입자에 대한 만성독성 기반의 종민감분포도. 이 중 생물종의 95%를 보호할 수 있는 5% 유해농도로서 0.614 ㎍/L를 수서 생태계 보호를 위한 유해농도로 제안하였다. - 건국대 보건환경과학과 ... ...
우리 가족은 시민과학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15.12.14
지난 11월 21일, 이화여자대학교 종합과학관에서 2015년 지구사랑탐사대 수료식이 열렸어요. 올 한 해의 탐사를 무사히 마친 160여 명의 탐사대원들이 수료증 ... 제비 탐사를 함께 하시면 좋겠다”고 말했어요. ※ 더 많은 과학기사를 2015년 12월 15
일자
어린이과학동아에서 만나보세요. ... ...
열혈 탐사 가족 ‘닥터구리’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12.14
3기 지구사랑탐사대로 활동한 팀들 중에서 올 한 해 탐사 기록만 2000건을 넘긴 팀이 있어요. 바로 3년째 지구사랑탐사대로 멋지게 활동한 ‘닥터구리’ 팀이죠. 탐 ... 다른 가족들에게도 추천해 주고 싶어요. ※ 더 많은 과학기사를 2015년 12월 15
일자
어린이과학동아에서 만나보세요. ... ...
‘나노’ 세계의 물에도 ‘난류’ 존재한다
2015.12.10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연 구결과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7
일자
에 실렸다. 연구팀이 규명한 나노 크기 물 분자층의 '난류' 모식도. 일정 속도(초속 1㎜) 이상으로 빠르게 움직이면 난류가 발생한다- 서울대 ... ...
에너지 발전소 ‘미토콘드리아’ 눈으로 보니
2015.12.09
세포 내 기관인 미토콘드리아의 모습. - 위키피디아 제공 우리 몸은 세포에서 에너지를 생산하는 기관인 ‘미토콘드리아’이 손상을 입거나 수명이 다한 세포를 선택적으로 ...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생명과학분야 학술지 ‘몰레큘러 셀(Molecular Cell)’ 11월 19
일자
에 실렸다. ... ...
3D 컴퓨터 게임, 적당히 하면 기억력 쑥쑥
2015.12.09
향상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학술지 ‘신경과학(The Journal of Neuroscience)’ 9
일자
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평소 게임을 즐기지 않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기억력 테스트를 통해 해마 기능을 평가했다. 그뒤 두 그룹으로 나눠 한쪽은 ‘앵그리 버드’와 같은 간단한 2D 게임을 2주 동안 매일 30분씩 ... ...
살 빼고 싶다면 그저 추울 때 돌아다녀라
2015.12.08
지방이 효과적으로 타는 등 ‘체중감량’ 효과가 나타난다고 국제학술지 ‘셀’ 3
일자
에 발표했다. 그동안 추위는 운동과 비슷한 효과를 낸다고 알려졌다. 추운 환경에 있을 때 체온을 높이기 위해 지방을 연소시키고 포도당 대사를 촉진시키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이런 활동이 ‘장내 ... ...
향 있는 전자담배, 담배 만큼 위험하다
2015.12.08
있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의학 학술지 ‘환경보건 전망(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8
일자
에 발표했다. 앨런 교수팀은 미국 내에서 판매하고 있는 착향 전자담배 충전액을 수집해 화학물질 검출실험을 진행했다. 이 결과 총 51종 중 47종의 전자담배에서 3가지 이상의 독성 화학물질을 찾아냈다. ... ...
지금보다 수천 배 강력한 태양 흑점 폭발 일어날 수 있다
2015.12.07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천문학 저널 ‘천체물리학저널레터(Astrophysical Journal Letters)’ 2
일자
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케플러 우주망원경을 통해 쌍성 ‘KIC9655129’의 슈퍼플레어 현상을 관측했다. 그리고 태양에서도 이와 같은 슈퍼플레어가 발생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 ...
이전
392
393
394
395
396
397
398
399
4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