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짜
일시
뉴스
"
일자
"(으)로 총 5,220건 검색되었습니다.
[반려동물 1000만 시대, 개와 고양이의 과학 ①] 달라도 너무 다른 둘
2016.02.02
개가 물을 마시는 원리를 유체역학적으로 밝혀내고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12월 14
일자
에 발표했다. 연구팀이 관찰한 결과 개는 혀를 턱 쪽으로 말아서 재빠르게 물속에 집어넣은 뒤 끌어 올리면서 물기둥을 만들고 입을 벌렸다 닫으면서 물을 ‘물어’서 마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문에 ... ...
유기 태양전지 효율 7.5%, 세계 최고 기록 달성
2016.02.02
국내 연구진이 대면적 유기 태양전지의 모듈을 새로 개발해 세계 최고 효율을 달성하는 데 성공했다. 유기 태양전지는 태양전지에서 빛을 받으면 전하를 생성하는 영역인 ...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연구 결과는 네이처의 자매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1월 5
일자
에 실렸다. ... ...
피부에 바르고 빛 쪼이면 끝! 이런 백신 또 없습니다~
2016.02.02
연구진은 찢어진 돼지 피부에 광 반응성 염료플 바르고 ‘광 도파관’을 삽입해 빛을 쪼이는 방식으로 피부를 복원하는 데 성공했다. -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제공 한국인 과학자 ...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스’ 1
일자
와 ‘네이처 커뮤이케이션스’ 지난달 19
일자
에 실렸다. ... ...
홍합과 오징어빨판 따라했더니 선박에 달라붙던 해양물질 사라져
2016.02.01
새로 개발한 저마찰 방오소재 위에서 쥐 조골세포 방오성능 분석한 결과, 코팅되지 않은 표면에서는 세포가 증식하나 코팅된 이후 세포가 거의 부착되지 않음을 ... 수 있을 것”이라 설명했다. 연구결과는 미국화학회가 발행하는 나노분야 학술지 ‘ACS 나노’ 지난달 26
일자
에 실렸다. ... ...
우리나라 바다를 지킨다! 국립수산과학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1.29
따뜻한 밥에 올려먹는 김, 생일에 먹는 미역국, 바삭하고 고소한 갈치구이까지…. 생각만 해도 입에 침이 고이죠? 이 음식들은 모두 수산물로 만들어져요. 여러분이 이렇게 맛있는 수산물을 먹을 수 있도록 연구하시는 분들이 있어요. 기자단 친구들과 함께 부산에 있는 국립수산 ... ...
열혈 탐사팀 '무지개빛 식물사랑'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1.29
2015년, 쟁쟁한 지사탐 우수탐사대원들 명단에 당당히 이름을 올린 팀이 있어요. 바로 지난 해 처음 지구사랑탐사대 활동을 시작한 ‘무지개빛 식물사랑’ 팀이에요. 어떻게 탐사 첫해에 우수탐사대원으로 뽑힐 수 있었을까요? 무지개빛 식물사랑 팀의 김민준 대원에게 그 비결을 물어 봤어요. 가 ... ...
음식물 알레르기, 이래서 생기는 군요
2016.01.29
음식물 알레르기가 발생하는 원인을 규명할 실마리를 찾았다고 ‘사이언스’ 29
일자
에 발표했다. 우리 몸속 면역시스템은 음식물조차 ‘외부 물질’로 인식하는데, 연구진은 음식물에 달린 항원이 소장 점막에서 일어나는 면역 반응을 억제하도록 유도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과정에 이상이 ... ...
차세대 신소재 ‘황화몰리브덴’ 전기적 특성 풀었다
2016.01.27
차세대 신소재로 불리는 그래핀과 나란히 주목 받고 있는 이황화몰리브덴(MoS2)의 전기적 특성을 국내 연구진이 밝혀냈다. 차세대 반도체 개발에 큰 보탬이 될 기초연구 성 ...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성과는 ‘네이처’ 자매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27
일자
에 실렸다. ... ...
세 살 버릇 여든 가는 이유는? ‘뇌 신경’ 때문
2016.01.27
습관이 뇌의 기저핵에 변화를 가져온다는 사실 밝혀내고 신경학 저널 ‘뉴런(Neuron)’ 21
일자
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실험용 쥐의 거주 공간에 앞발로 당길 수 있는 레버를 설치했다. 쥐가 이 레버를 당기면 사탕이 나온다. 레버를 당겨 먹이를 받아 먹는 습관이 생긴 쥐는 더 이상 사탕을 ... ...
인체 투과하는 ‘꿈의 전자파’ 변조 기술 개발
2016.01.26
국내 연구팀이 ‘꿈의 전자파’로 불리는 테라헤르츠파를 원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발생시킬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테라헤르츠파는 1초에 1조 번 진동하는 전자 ... 연구 결과는 재료과학분야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Advanced Materials)’ 지난해 12월 7
일자
에 실렸다. ... ...
이전
388
389
390
391
392
393
394
395
3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