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위
인조
가공
가상
시뮬레이션
모조
사이버
뉴스
"
인공
"(으)로 총 8,031건 검색되었습니다.
50살 맞은 KAIST...혁신과 산업 발전의 ‘담대한 발걸음’
2021.02.15
지역 최초 인터넷 시스템 구축, 1990년 국내 최초
인공
지능(AI)연구센터 설립, 1992년
인공
위성 우리별 1호 발사 성공 등 국내 과학 발전 역사에서 최초·최고의 연구성과를 내고 있다. 1995년에는 386마이크로프로세서를 개발했으며 2002년에는 휴머노이드 로봇 ‘휴보’를 개발했다. 2008년 한국인 최초 ... ...
고래의 노랫소리로 바다 밑 지질도 그린다
2021.02.15
사이언스에 5일 발표했다. 두아르테 교수는 "바닷속 생물의 소리가 사라졌을 뿐 아니라
인공
소음의 영향을 받으면서 생물들의 행동과 생식에도 변화가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 ...
[주말N수학]수학에서 사회문제 해결 실마리 찾는 사회학자
수학동아
l
2021.02.13
그런 점에서 수학 교육과정에서 행렬 개념이 빠진 점을 아쉽다고 지적했다. 강 교수는 "
인공
지능(AI), 코딩 등 요즘 화두가 되는 분야에서 알고리듬을 배우려면 행렬을 꼭 알아야 한다"고 했다. ... ...
[프리미엄 리포트]왜 애플카에 열광할까
과학동아
l
2021.02.13
약 8000만 원에 달했다. 머스크는 여기에 불만을 품고 라이다 없이 카메라와 레이더,
인공
지능(AI) 기술을 이용해 자율주행 시스템을 구현해냈다. 이를 위해 테슬라는 차량에 자율주행 AI용 시스템 온 칩(SoC)을 탑재하는 시스템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전 세계에 판매된 테슬라 차량들의 주행 데이터로 ... ...
인공
위성과 AI로 멸종위기종 아프리카코끼리 개체수 알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12
활용됐지만 이 방법은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연구진이 고안한 위성 이미지와
인공
지능 기술을 적용하면 하루에 최대 5000㎢ 범위를 몇 분만에 관측해 딥러닝 분석으로 코끼리 개체 수를 확인할 수 있다. 딥러닝 기술이 코끼리를 식별하는 인간의 눈만큼 정확하다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 ...
바이든 집권 후 열린 美 최대 과학학술행사…감염병 사령탑·과학재단 수장 온라인 연설
동아사이언스
l
2021.02.11
독립적 연구지원 기관이다. 지난해 기준 예산이 83억달러(약9조3000억원)에 달한다. 이외에
인공
지능(AI) 전문가 메리 그레이 마이크로소프트 연구원과 기술 발전과 인종 차별간 관계를 연구하는 루하 벤자민 미국 프린스턴대 아프리카계미국연구학과 교수 등이 연사로 참여했다. AAAS 유튜브 캡쳐 ... ...
'불가능은 가능하다' UAE 화성탐사선 성공에서 얻는 교훈
2021.02.10
한국과의 기술 협력 과정이 이번 화성 탐사의 발판이 됐다는 점에서도 주목받는다. UAE는
인공
위성 ‘두바이샛’ 1호와 2호를 한국 기업인 쎄트렉아이를 통해 개발해 2009년과 2013년 발사에 성공했다. 아말 탐사선 프로젝트는 2014년부터 시작됐지만 2006년부터 두바이샛 1호 개발을 위해 한국과 협력하며 ... ...
4개 다리·바퀴로 이동하는 변신로봇…현대차그룹 '타이거' 공개
연합뉴스
l
2021.02.10
있다. 뉴 호라이즌스 스튜디오는 타이거를 오픈 이노베이션 방식으로 개발하기 위해
인공
지능(AI) 기반의 엔지니어링 설계 분야의 선두 기업 '오토데스크', 콘셉트 디자인 전문 기업 '선드버그-페라'와 긴밀히 협업했다. 오토데스크와는 AI 기반의 '제너레이티브 디자인(설계자가 설정한 조건과 ... ...
'불가능은 가능하다' 중동강소국 UAE 화성탐사선 '아말' 화성 탐사 의의
동아사이언스
l
2021.02.10
기술 협력 과정이 이번 화성 탐사의 발판이 됐다는 점에서도 주목받는다. UAE는
인공
위성 ‘두바이샛’ 1호와 2호를 한국 기업인 세트렉아이를 통해 개발해 2009년과 2013년 발사에 성공했다. 아말 탐사선 프로젝트는 2014년부터 시작됐지만 2006년부터 두바이샛 1호 개발을 위해 한국과 협력하며 ... ...
드론으로 북극 해빙 고해상 촬영 첫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1.02.10
최근 40년간 해빙이 40%가량 줄어들면서 북반구의 이상 기후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인공
위성으로도 해빙을 관측할 수 있지만, 고해상으로 얻기가 어렵다. 극지연구소 원격탐사빙권정보센터는 관측 범위를 넓히면서 동시에 고해상을 유지하기 위해 드론을 활용했다. 드론을 이용한 연구는 ... ...
이전
392
393
394
395
396
397
398
399
4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