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나"(으)로 총 13,944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데이터로 본 노벨 생태계과학동아 l2016년 10호
- 하지만 매년 ‘혹시나 했는데 역시나’ 하는 경험을 반복하고 있다.노벨상은 하나의 상징이다. 수상자의 업적이 인류에 공헌했다는 것을 뜻한다. 또 그 과학자를 배출한 나라의 과학적 역량을 대변하는 지표가 되기도 한다. 우리가 노벨상을 기대하는 이유도 한국의 과학적인 위상을 인정받고 싶은 ... ...
- [News & Issue] 뇌 주름의 물리학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지도를 완성했다(과학동아 9월호 참조). 이지도는 기존에 만들어진 뇌 지도보다 주름 하나하나의 특성이 훨씬 정밀하게 분석돼 있다. 연구팀은 이를 이용해 뇌 주름과 관련 있는 질환, 특히 알츠하이머성 치매가 생기는 부분이 어디이고 원인이 무엇인지 연구하고 치료법을 개발할 계획이다.뇌 ... ...
- [News & Issue] 홍채 고유한 내 안의 우주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여럿이었다. 하지만 과학자들은 무사히 진짜를 가려냈다. 힌트는 홍채였다.우주에서 하나 뿐인 홍채삼성전자가 새로 출시한 스마트폰 ‘갤럭시노트7’에 홍채인식 기술이 탑재돼 화제다. 비밀번호를 입력하지 않아도, 스마트폰이 홍채를 인식해 그냥 쳐다보는 것 만으로 잠금을 풀 수 있는 ... ...
- PART 4. 커피와 자유, 그리고 협업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외부로부터 지원받는 연구비를 포함하면 총 예산은 약 720억 원(5000만 파운드)이 된다. 하나의 연구 그룹에 평균 13억 원 정도가 주어지는 셈이다. 행정직원 인건비를 포함해 연구원 1인당 연구비가 1억1813만 원 정도다(총 623명).이 정도는 한국의 정부출연연구기관 예산과 비교했을 때 결코 많은 금액이 ... ...
- [Tech & Fun] 초인적인 벼락치기, 성공 비법은…?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잘하는 사람이 오랜만에 운전대를 잡아도 차를 잘 몰고, 김연아 선수가 동작을 하나하나 신경 쓰지 않고도 매끄럽게 갈라쇼를 해내며, 미국인이 아무리 연습해도 한국어를 어눌하게 발음하는 이유는 각각 운전 기술과 피겨 동작, 영어 발음을 수백만 번 반복해 습관화됐기 때문이다.벼락치기도 ... ...
- [Career] 유전자 진단 기술계의 '구글'을 꿈꾸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목표가 아닌 유전자에도 달라붙는 쓸모없는 프라이머가 다수 포함돼 있다. 연구자가 하나하나 직접 적합성을 테스트한 뒤 가장 적합한 프라이머를 찾아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전문성 × 신뢰]MRprimerW는 DGIST가 개최한 융합세미나(현재 명칭 Monday Lunch Seminar)와 연구비 지원이 있었기에 탄생할수 ... ...
- [도전! 코드마스터] 코딩을 내 맘대로! 컴퓨터 언어의 세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사용하기 때문에 누가 봐도 의미를 쉽게 알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요.또 괄호를 이용해 하나의 명령을 다른 명령과 구분하는 C언어와 달리, 파이썬은 들여쓰기로 덩어리를 나누어요. 이러면 코드만 봐도 명령 덩어리가 몇 개인지 바로 알 수 있겠죠? 파이썬은 아직 C언어보다 사용하는 곳은 적지만,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악기 없이 음악 연주하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도시락 재료들뿐이에요. 혹시 이 재료를 이용해 신나는 음악을 연주할 수 있을까요?힌트 하나. 소리는 진동으로 전해진다!주변의 물체를 두드려 보세요. 물체가 미세하게 떨리는 것을 볼 수 있을 거예요. 그리고 그와 동시에 ‘쿵!’이나 ‘챙!’ 하는 소리가 나지요. 이와 같은 물체의 떨림, 즉 ... ...
- PART 1. 수학자는 공동연구를 좋아해~수학동아 l2016년 10호
- 비슷한 사람들과 이야기 나누며 함께 문제를 풀었어요.제가 연구하는 표현론은 문제 하나를 푸는 데 적어도 1년은 걸려요. 그래서 학회기간 동안 문제를 다 해결할 수 없어요. 학회가 끝나고도 일주일에 두세 번씩 영상통화로 아이디어를 공유해요. 전화통화가 끝나고 나면 나왔던 아이디어를 ... ...
- PART 3. 수학으로 중력파를 찾다수학동아 l2016년 10호
- 하지만 중력파 검출은 적은 정보로부터 초기우주의 비밀을 알아내는 ‘역문제’의 하나로 높은 수준의 수학이 필요하다. 역문제는 제한된 정보만 가지고 원하는 정보를 얻어내는 수학 기법이다. 그래서 라이고는 수학자들이 학문적 벽을 허물고 중력파 연구에 협력해 주길 바라고 있다 ... ...
이전3923933943953963973983994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