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1
일
싱글
혼자
독신
단위
단원
d라이브러리
"
하나
"(으)로 총 13,94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더 빠른 열차, 어떻게 만드는 걸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또 빨리 달리는 만큼 빨리 멈출 수 있는 제동력도 꼭 갖춰야 하지요. 그래서 최근에는
하나
의 엔진으로 뒤의 열차를 끌고가는 ‘동력집중식’이 아니라, 각 열차에 엔진이 달린 ‘동력분산식’ 열차가 개발되는 추세예요. 엔진이 나눠져 있으면 더 빨리 가속할 수 있고, 더 빨리 멈출 수도 있거든요 ... ...
PART 2. 우주배경복사가 들려준 이야기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이 미세한 온도 차이는 당연하다. 우주가 완벽하게 균일하다면 지금 우리가 보고 있는 은
하나
별이 만들어질 수가 없었기 때문이다. 별과 은하는 물질이 많이 몰려있던 부분이 성장해 생겼다. ▼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빅뱅의 문을 열다PART 1. 초기우주의 문을 보다PART 2. 우주배경복사가 ... ...
PART 3. 건강한 네트워크에서 노벨상 씨앗 자란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특징을 파악할 수 있는 또
하나
의 지표는 ‘네트워크’다. 네트워크가 풍부할수록 생태계는 건강하다. 또 개체가 네트워크 안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따라 그 개체의 중요성을 가늠할 수 있다.과학 생태계에서 핵심 인물이라 할 수 있는 노벨상 수상자들은 어떤 연구자 네트워크를 이루고 있을까 ... ...
[Knowledge] 치아와 쇄골은 ‘뼈의 신분증’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찍은 적이 있다면 불의의 사고에 연루됐을 때 내 신원 확인을 위한 보증 수표를
하나
마련해 놨다고 생각해도 좋다.최근 신문 기사를 통해 한국전쟁에서 전사한 정준원 이병의 신원을 확인했다는 소식을 들었다. 이렇게 전사한 가족의 뼈를 수십 년 만에 돌려받고 ‘이제 편히 죽을 수 있다’고 ... ...
[Knowledge] 동물 잡는 밀렵꾼 잡는 동물 로봇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퀴즈
하나
. 아래 사진 속 동물 가운데 진짜 동물이 아닌 ‘로봇’이 있다. 무엇일까. 이제 첨단기술은 인간만이 아니라 동물을 위해서도 활약하고 있다. 그 기발한 모습을 소개한다.그는 원래 박제사다. 죽은 동물의 배를 갈라 속을 빼내고 방부처리 해 세워 놓는 게 일이었다. 박제가 된 동물은 ... ...
[Knowledge] 혈연이 아닌데 ‘혈연 선택’이라고?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혈연관계는 이타적 행동을 통해 행위자의 포괄 적합도를 증가시키는 여러 경로 중의
하나
일 뿐이다. 그러므로 해밀턴이 찾아낸 자연선택 과정을 혈연 선택이라고 부르는 것은 잘못됐다.엇나간 두 거인, 메이나드 스미스와 해밀턴행여나 메이나드 스미스가 젊은 대학원생들의 성과를 무단으로 ... ...
[Tech & Fun] 다른 이의 마음을 어떻게 읽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바꾸고, 감정을 함께 느끼고사람의 마음을 읽는 데에는 크게 두 가지 방법이 있다.
하나
는 입장 바꿔 생각해보는 ‘조망수용’이다. 예컨대 어떤 사람이 사소한 일로 버럭 화를 냈을 때 왜 저러는지 이해하기 힘들다. 그런데 그 사람이 그날따라 아침부터 운이 나빠서 버스와 지하철을 연달아 놓치고 ... ...
[Tech & Fun] 모자를 벗지 않는 사람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않았다. 의견은 다수가 모으지만 죄를 짓는 사람의 수를 줄이기 위해 판결과 집행을
하나
의 개체가 담당한다는 사실은 굳이 설명할 필요가 없었다.“회수라면…?”이번에는 윤환이 손가락을 들어 비니를 두드렸다.“시간이 흐르면 더욱 더 지구인에 가까운 사람들이 생길 거예요. 조직적으로 지구의 ... ...
PART 2. 힘을 합쳐 난제를 풀어라!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우수한 고등학생이라면 풀 수 있는 문제인 만큼 반드시 온라인상에서만 풀자고 규칙을
하나
더 추가했다. 떠오른 아이디어나 수식 전개를 연습장에 적지 말라는 것이다.그 결과 새로운 증명법 6가지를 더 발견했다. 수학자들은 2012년까지 매해 그해 가장 어려웠던 문제를 폴리매스 프로젝트를 통해 ... ...
[Editor’s Note] 성급함을 넘어서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대한 목마름을 넣어두자. 어차피 우리는 노벨상을 기대하기에 이르다. 운이 좋으면
하나
나 두 개의 노벨상을 때 이르게 받을 수 있을지 모른다. 하지만 그게 다다. 연구비 조금 줬다고 보고서 내놓으라 폭탄 던지지 말고, 이제 좀 살 만하다고 노벨상 언제 나오냐고 채근하지 말자. 그 대신 노벨상을 ... ...
이전
391
392
393
394
395
396
397
398
3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