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자리
지위
곳
소재
거주지
처지
d라이브러리
"
위치
"(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남극 하늘에 풍선 띄워 우주를 보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위 1m2의 넓이 위에 1년에 한 개 정도 떨어질 정도로 매우 적다. 따라서 풍선이 일정한
위치
의 하늘에서 오랫동안 떠 있을수록 우리가 원하는 우주입자를 검출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런 점에서 남극 하늘은 최적의 조건을 갖고 있다. 다른 곳에서는 하늘에 띄운 풍선이 멀리 날아가 버리지만 남극 ... ...
우리나라는 밤하늘 어디쯤 있을까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아니어서 제대로 그릴 수 있는 사람이 드물겠지만 이 별자리는 게자리 바로 위에
위치
해 있다. 안타깝게도 우리나라가 속한 부분에는 밝은 별이 없다. 그나마 가장 밝은 별은 살쾡이자리 32번성과 33번성으로 6등급 정도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인 시리우스는 어느 나라에 속할까? 오스트레일리아 ... ...
동굴에서 새로운 종 발견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또는 이온이 두 장 평행으로 늘어서 있고 그 사이에 금속원자를 끼워 마치 샌드
위치
같은 형태의 화합물 평면상 분자 또는 이온으로서는 시클로펜타디엔일 · 인덴일 · 벤젠 · 프탈로시아닌 등이 그 전형적인 예이다북아메리카 서안(西岸)과 거의 평행하게 북서~남동쪽으로 뻗은 대규모의 단층 ... ...
10. 아인슈타인 해 맞아 '빛의 제전' 열린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박사는 “전세계에 분포한 물리학자들이 약속된 시간과 장소에서 정확히 빛을 받아 다음
위치
로 옮기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이번 행사를 통해 물리연구자들의 협동심 고양은 물론 일반인의 관심을 더욱 환기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미 국내에도 관련 조직인 국내 위원회가 구성돼 ... ...
부엌에서 부는 IT혁명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유비쿼터스 연구조합인 TRON은 2003년 12월 도쿄에서 열린 연례전시회에서 포도주병의
위치
와 남은 포도주의 양을 읽을 수 있는 와인냉장고를 선보인 바 있다.국내 가전 업체인 삼성전자와 LG전자가 개발한 인터넷 냉장고 역시 ‘똑똑한 냉장고’가 미래 가정의 중심으로 자리잡을 것이라는 점을 ... ...
혜성, 스키장 밤하늘을 가로지르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조건을 조성해 관측에 대단히 유리해진다.지구에서 볼 때 혜성은 태양의 정반대 편에
위치
하므로 한밤중에 하늘 높이 보이게 된다. 즉 고도가 높아진 혜성은 최상의 관측 조건을 제공한다. 하지만 단점도 있다. 혜성의 꼬리는 태양의 반대편으로 뻗기 때문에 지구에서 볼 때 혜성의 꼬리가 반대편인 ... ...
4. 디지털 카메라에 숨어 있는 아인슈타인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있는 24개의 GPS위성이 알려준다. 이 위성은 가장 정확하다는 원자시계를 갖고 있는데
위치
를 정확히 알기 위해서는 이 시계가 지구 위에 있는 시계와 정확히 같이 움직여야 한다. 그러나 위성이 너무 빨리 움직이고 높이 떠 있다는 것이 문제다.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상대성이론의 영향을 받는 ... ...
뉴턴의 프리즘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햇빛이 구멍을 지나 벽에 비치도록 했다. 데카르트는 붉은색과 보라색이 항상 같은
위치
에 생긴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하지만 프리즘에 비친 햇빛과 프리즘을 통과해 여러 색깔을 띤 광선들 사이의 관계는 여전히 미지수였다. 이에 대한 답을 제시한 것이 바로 뉴턴의 프리즘 실험이다.뉴턴은 ... ...
"박테리아를 연구하는 생물공학계의 뽀빠이 박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좋아하고, 축구나 볼링도 즐겨하는 정말 보통 사람입니다. 하지만 세계가 인정하는
위치
에 서게 된 것은 끊임없는 노력과 그것을 실천하려는 마음가짐이었던 것이죠. 작은 박테리아가 만든 과학의 열매군 생활을 하면서 연구할 때 박사님의 호기심을 자극했던 것은 박테리아였어요. 박테리아가 ... ...
2. 빛보다 빠른 것은 없을까?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50년 뒤 브래들리 역시 지구에서 별을 관측할 때 계절에 따라
위치
가 조금씩 다르다는 사실을 통해 빛의 속도를 계산했다. 이후 1849년 피조가 광원에서 나온 빛이 톱니 사이의 틈을 지나 거울에 갔다가 반사될 때까지 빛이 왕복하는 시간을 측정해 빛의 속도를 계산했다. ... ...
이전
392
393
394
395
396
397
398
399
4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