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자리
지위
곳
소재
거주지
처지
d라이브러리
"
위치
"(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밥을 먹으면 졸린 까닭은? 위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위궤양이나 위염이 생긴다. 이것이 더 심하면 위암이 된다.해부학에서는 인체 부위의
위치
를 정확히 말하기 위해 해부학 자세를 기준으로 한다. 해부학 자세는 양쪽 손바닥이 앞을 향하고, 양쪽 첫째 발가락이 붙은 자세다. 예를 들어 시신이 누워있어도, 엎드려있어도, 물구나무 서있어도 머리는 ... ...
“일단 믿고 맡겨봐” 인간과 맞붙은 로봇 외과 의사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수술 전에 찍은 영상을 이용하기 때문에 수술 중 뇌의 변형에 따라 바뀌는 종양
위치
를 정확히 찾는데 한계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외과의들은 수술 중에 뇌 MRI 촬영을 하기 시작했다. 미국 하버드대의 율츠 교수와 캐나다 캘거리대 서드랜드 교수 연구팀은 현재 수술실 안에 MRI장비를 ... ...
지자기 북극과 남극 바뀔까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북서쪽으로 약 1000km 가량 이동했다. 이 속도라면 50년 뒤에는 자북극이 시베리아에
위치
하게 된다.자기장의 세기도 감소했다. 2002년 4월 파리 지구과학연구소의 고띠에르 울르 박사와 그의 동료들은 덴마크의 인공위성 에르스텟의 지자기 측정 결과를 토대로 남아프리카 아래 외핵의 한 지역에서 ... ...
식물에도 눈동자가 있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유전자 서열이 전부 밝혀졌다. 또 5쌍의 염색체 내에 비어있는 공간이 거의 없어 어느
위치
에 있는 유전자가 어떤 기능을 하는지를 쉽게 찾아낼 수 있다. 키, 색깔, 잎 모양 등 겉으로 나타나는 표현형도 매우 다양하다.이와 같은 장점들 덕분에 애기장대는 1985년부터 식물분자유전학 연구의 모델 ... ...
6년만에 일어나는 1등성 성식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썩 좋은 편이 아니다. 안타레스가 달에 잠입하는 시각에 달은 남동쪽 대단히 낮은 곳에
위치
해 고도가 불과 10。 정도다. 그러나 약 1시간 뒤 안타레스가 달에서 벗어나는 시간에는 고도가 높아져서 관측에 지장이 없을 것이다. 성식이 일어나는 시각은 잠입시각이 0시 26분 무렵이고 출현시각이 1시 2 ... ...
약물로 마음을 성형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다르다. 사람에 따라 무수히 많은 다양한 형태의 뇌 모양이 존재하기 때문에 부위별
위치
정보를 확률론적으로 나타내야 하기 때문이다. 이로부터 전체 인구집단을 대표할 수 있는 ‘뇌확률지도’라는 개념이 생겨났다. 또한 뇌에서 전기생리학적인 사건이 일어나는데는 수백분의 1초, 학습에는 ... ...
진퇴양난 새만금 사태 묘수는 없나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내부개답공사를 마친 뒤 농지의 평균고도는 -1.5m로 농지가 평균 해수면보다 1.5m 아래에
위치
하게 된다. 어떤 농지는 평균해수면보다 3m 낮은 곳에 있다. 이는 앞으로 만들어질 새만금 농지가 만조시에는 평균해수면보다 4.9~ 6.4m 낮은 곳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이 때문에 여름철 홍수 피해를 우려하지 ... ...
숫자에 숨겨진 저글링의 비밀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떠난 공은 항상 오른손에, 오른손을 떠난 공은 항상 왼손에 떨어진다.박자마다 공의
위치
를 자세히 나타낸 그림. 소나기형과 캐스케이드가 섞인 형태가 된다. www.siteswap.net에서는 주기적 저글링의 다양한 유형을 동영상으로 볼 수 있다.박자 잘 맞추면 저글링도 잘한다?하지만 저글링을 수학적으로 ... ...
80시간의 세계 일주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통과시키면 전자속도가 주기적으로 변화하고 이 전자가 어떤 거리만큼 진행하는 사이에
위치
에 따라 밀도가 변화하는 전자류(電子流)가 된다즉 속도변조가 밀도변조로 변화한다밀도의 진폭이 큰 부분에 전극간극을 놓아 출력을 낸다 입자의 속도를 선별하는 장치 속도포텐셜 고체 속의 비휘발성 ... ...
세계 과학자 850명 이끄는 물리학자 - 시카고대 김영기 교수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검출은 입자물리학자들의 초미의 관심사인데 2007년 완공목표로 스위스 제네바에
위치
한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에 건설 중인 거대강입자가속기(LHC)에서 관측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둘레가 27km에 이르는 LHC는 페르미가속기보다 10배 가량 큰 에너지를 갖는 입자를 만들 수 있어 ... ...
이전
390
391
392
393
394
395
396
397
3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