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
구
뽈
교회 점토
보울
빰
ball
d라이브러리
"
볼
"(으)로 총 10,57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수학으로 즐기는 올림픽 축구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줄어든다.양팀 모두 득점을 하면서 무승부로 끝나는 1 : 1, 2 : 2, 3 : 3의 상황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 중 가능성이 가장 높은 점수는 1 : 1이다. 2 : 2의 경우보다는 1.5배 이상 높은 확률이다. 또 3 : 3으로 끝나는 것보단 1 : 1의 점수로 끝날 확률이 2배 이상 높다. 즉 골이 많을수록 약팀이 불리하다 ... ...
중간크기 블랙홀 단서 발견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모델을 발표했다.중간 크기 블랙홀의 성장 과정이 수수께끼였던 것은 지구 근처에서도
볼
수 있는 소형 블랙홀이나 은하 중심에 있는 초거대 블랙홀과 달리 관측이 어려웠기 때문이다.중간 크기의 블랙홀은 별이 최후를 맞으면 생기는 블랙홀에서 시작된다. 이 씨앗은 다른 별과 부딪쳐 흡수하면서 ... ...
반구대암각화에 맹수가 날뛰는 이유?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➊울산 대곡리에 있는 암각화에는 먼저 고래와 사슴 그림을 그렸다가 그 위에 호랑이, 곰 등 맹수를 그렸다. 외계충격현상 때문에 맹수가 늘어난 상황을 묘사했을 가 ... 않고 저 높은 하늘에도 두어야 그 소임을 다 할 것이다(관련 사진과 기록은 블로그 blog.naver.com/tjyi2323에서
볼
수 있다) ... ...
1. 그 많던 말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야생말은 멸종한 것으로 여겨졌다. 이 귀중한 말은 현재 몽골의 산악지역에서만 드물게
볼
수 있다. 필자는 고비사막으로 몽골공룡탐사를 가던 중 우연히 이 말을 봤다. 그때 5500만 년에 걸쳐 다양하게 진화했던 ‘야생마’의 마지막 후손을 보고 있다는 벅찬 감동을 받았다. ▼관련기사를 계속 ... ...
과학으로 본 다크나이트 라이즈 : 배트맨 다시 일어서다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이용한 ‘관성 밀폐방식’이 있다. 임 연구원은 “영화에 나온 핵융합로는 챔버 크기로
볼
때 관성밀폐방식일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영화 속 핵융합로는 지름 1.5m 정도의 구 형태로,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관성 밀폐방식 발전을 연구하는 데 쓰는 챔버와 매우 비슷한 모습을 하고 있다.관성 ... ...
벨기에 와플 제대로 먹는 법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촉촉한 브뤼셀 와플이 더 잘 맞았다.요즘은 우리나라에서도 벨기에 와플을 쉽게 먹어
볼
수 있다. 아이스크림 같은 토핑을 얹어 먹지만, 기회가 된다면 와플 그 자체만 먹어 보자. 진짜 벨기에 와플에 가까운 맛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 ...
[8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때문이다. 다른 기사들이 미치지 못했다는 의미는 아니다. 이 기사는 놀이공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자이로드롭의 원리에 대해 기사로 작성했다. 그런데 왜 자이로드롭이라는 인공 구조물에 위대한 자연법칙이라는 제목을 붙였을까. 보는 이의 관심을 끄는 흥미로운 제목이다. 기사를 읽다 보면 왜 ... ...
뇌에 상처를 주는 욕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우리 뇌를 지키기 위한 노력을 시작해도 늦지 않았어요. 무슨 방법이 있는지 알아
볼
까요?경쟁보다는 협력을 배우는 교육이 필요!심한 욕설처럼 폭력적인 행동을 줄이는 근본적인 방법은 학생들 사이에 소통과 협력을 강조하는 교육이라고 전문가들은 말해요. 지금처럼 학교에서 욕설과 폭력이 생길 ... ...
수원청개구리와 술래잡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전세계 어디에도 없는 우리나라 고유종이야. 우리나라에서 멸종된다면 나를 어디에서도
볼
수 없단다. 하지만 내가 살고 있는 경기도와 충청북도 북부 지역은 빠르게 개발되고 있어. 실제로 2009년 경기도 평택시의 논에 수원청개구리가 살고 있다고 조사됐지만 2010년에는 이곳에 미군부대를 세우는 ... ...
[수학뉴스] 돌고래는 뛰어난 수학자?
수학동아
l
2012년 08호
그런데 이때 한 가지 문제가 생긴다. 거품벽에 정어리가 갇힌 뒤 돌고래마저 정어리를
볼
수 없다는 점이다. 하지만 돌고래는 이 상황에서도 정확하게 정어리의 위치를 파악해 잡아먹는다.이를 궁금히 여긴 영국 사우스햄튼대의 팀 레이튼 교수는 돌고래가 초음파를 이용해 위치를 파악한다고 ... ...
이전
392
393
394
395
396
397
398
399
4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