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
구
뽈
교회 점토
보울
빰
ball
d라이브러리
"
볼
"(으)로 총 10,576건 검색되었습니다.
몸집 줄여도 성능은 기대 이상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화상이 같아야좋은 사진을 찍으려면 렌즈를 통해 들어오는 영상을 촬영자가 정확하게
볼
수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선 렌즈 안쪽의 바로 맞은편에 뷰파인더(사진을 찍을때 눈을 대는 부분)를 두는 게 제일 좋지만 이렇게 하면 필름에 빛이 전달되지 않아 사진을 찍을 수 없다. 때문에 소형(콤팩트) ... ...
정밀공학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능력이 있어야 한다.또한 나노 단위나 마이크로 단위의 가공은 눈으로 직접
볼
수 있는 크기가 아니다. 조급해 하지 않는 침착성과 인내력이 필요하다.마지막으로 어떤 문제가 주어졌을 때, 여러 가지 측면을 통찰하고 문제의 핵심을 빠르게 집어낼 수 있는 능력과 문제의 해결방법을 구현해내는 ... ...
싱가포르 국립대 - QS 대학평가 아시아 2위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전기자동차에 어떻게 적용할까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문제의 전체적인 면을
볼
수 있고. 더불어 다른 전공 사람과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능력도 향상됩니다.” 그렇다고 전통적인 공학과정이 없어지는 것은 아니다. 프로젝트 중심활동에 뛰어난 학생이 있다면 그들에게 맞는 교육을 받을 ... ...
감시탑을 가려라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Q 다음 규칙에 따라서 보기와 같이 장애물 블록을 설치하세요. 1) 네모칸으로 나뉜 지도 곳곳에 감시탑이 설치돼 있습니다. 2) 감시탑이 있는 곳은 숫자로 표시돼 있습니다. ... 세로 방향만
볼
수 있고 다른 감시탑을 통과해
볼
수 있지만 장애물 블록이 있는 곳은 통과해
볼
수 없습니다 ... ...
성의 있는 기사는 좋은 정보가 된다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모습이 대견했답니다. 이날 행사 내용은 10월호에서 청소년 기자들의 기사 등으로 만나
볼
수 있습니다. 궁금해도 조금만 참아주세요. 참! 행사에 참가했던 청소년 기자는 꼭 ‘농촌진흥청’말머리를 달아서 과학동아 게시판에 기사를 올려 주세요. GM작물이나 생명공학에 대한 주제도 좋고 체험활동 ... ...
녹색 마녀의 비밀 WICKED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금 교수는 말했다. 오늘날 실험실에서는 몸에서 녹색형광을 내는 실험용 쥐를 쉽게
볼
수 있다. 원하는 유전자가 다른 세포에 잘 이식됐는지 아닌지 확인하기 위한 ‘표지’로 녹색형광단백질 유전자를 많이 쓰고 있다. 녹색형광단백질을 발견한 공로로 일본의 시모무라 오사무, 미국의 로저 첸과 ... ...
비·커피·만년필의 물리학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보이지만 확대해보면 셀룰로오즈 섬유가 복잡하게 뒤엉킨, 일그러진 모세관이라고
볼
수 있다.결국 펜촉 끝의 잉크가 종이로 옮겨가는 건 중력 때문이 아니라 모세관힘 때문이다. 만일 중력이 중요하다면 종이를 들고 펜촉을 위로 향해 글씨를 쓰면 잘 안 써질 것이다. 플라스틱 필름 코팅이 돼 있는 ... ...
구체적인 사건을 쓰세요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우선 ‘동일고 평가’를 합니다. 같은 학교 지원자를 모아서 일괄입력한 것을 한 눈에
볼
수 있습니다. 그런 것은 학교에서 그런 프로그램을 운영한다는 점을 파악하는 데 참고합니다. 그 외에 개별적으로 입력한 항목, 교과이수 세부사항이나 수상, 특별·자치·계발활동에서도 개별화된 내용을 ... ...
Part 3. 깨물어서 안 아픈 손가락 없다?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아들 선호 사상도 예전 같지는 않다. 요즘에는 딸을 지극히 아끼는 아빠의 모습을 흔히
볼
수 있다. 이들을 가리켜 부르는 ‘딸 바보’라는 별명도 생겼다. 전 교수는 “사회가 불평등할수록 남자 사이의 경쟁이 치열해지기 때문에 여자를 선호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요즘 부모들 ... ...
밀림을 잃은 동물 왕국 - 마다가스카르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아프리카라기보다는 아시아라는 느낌이 든다. 코끼리, 사자, 기린 같은 거대한 포유류를
볼
수 없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무엇보다는 거기에 살고 있는 사람과 그들의 생활모습 때문이다.마다가스카르에 사람이 처음 온 것은 불과 2000년 전. 올해 발표된 미토콘드리아 DNA 연구에 따르면 그들은 ... ...
이전
390
391
392
393
394
395
396
397
3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