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리
대표자
대표원
대신
정치 위원
대리자
사절
d라이브러리
"
대표
"(으)로 총 7,190건 검색되었습니다.
길 위의 공포, 로드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줄 아니? 아직 잘 날지 못하는 어린 새들은 도로를 걸어서 건너다가 다치기도 해.
대표
적인 새는 텃새인 꿩. 꿩은 여름인 6, 7월에 집중적으로 사고를 당하는데, 이 때가 막 새끼가 태어나 자라는 시기란다. 산과 들을 돌아다니며 먹이를 찾는 습성이 있어 들판을 가로지른 길을 건너지 않을 수 없어. ... ...
따뜻한 마음은 머리 안에 있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해 정신질환의 진단과 치료기술을 개발하는 연구를 진행 중이고,
대표
저서로 ‘뇌영상과 정신의 이해’가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손해인 줄 알면서 주식 파는 이유0.05초 만에 결정되는 첫인상따뜻한 마음은 머리 안에 ... ...
넌 유학 가니, 난 유망학과 간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벤처기업과의 연계도 강하다. ‘벤처기업 1세대’인 비트컴퓨터의 창업자인 조현정
대표
도 인하대 출신이다. 학부생들은 방학이나 학기 중에 국내외 벤처기업에 인턴으로 입사해 현장에서 실습하고 있다. 김 교수는 “미국에 있는 동문기업이자 소프트웨어개발사인 ‘이미지솔루션’에서 학기 ... ...
名品김연아 회전의 비밀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김 선수는 164cm 키에 몸무게는 47kg로 *체질량지수(BMI)는 17.47kg/m2다. 2007년 피겨 국가
대표
선수 6명의 BMI 평균(17.94 kg/m2)보다 근소하게 작다. 체질량지수(BMI)*체중(kg)을 키의 제곱(m2)으로 나눈 값으로 비만이나 신체균형을 판단하는 지수의 한 가지다.한국체육과학연구원 박세정 박사는 “일반적으로 ...
고릴라 고환이 사람보다 작은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이제 대세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도대체 어떻게 지식을 융합한다는 것일까. 우리나라의
대표
적인 과학칼럼니스트인 저자는 주로 뇌 과학의 발달을 다루며 지식의 융합 과정을 보여준다. 책 뒤쪽에 있는 ‘지식 융합 도표’를 보면 그 전모를 파악할 수 있다.생활 속 수학의 기적알브레히트 ... ...
‘순간’을 필름에 담는 엔지니어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 그는 연구실 벽에 걸린 사진 한 장을 가리켰다. 인사동 갤러리 전시 때 공개한
대표
작이다. ‘해가 있는 밤’이란 제목이 눈에 띈다. 역설적인 표현이다. 해를 찍기 위해 투과가 매우 적은 필터로 촬영했더니 밤처럼 어둡게 나와 붙인 제목이란다. 작품 설명도 재밌다. 각종 미사여구 대신 숫자와 ... ...
[물리]빛이 꺾이는 원리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일어날 수 있는 입사각의 최소값을 임계각이라 한다. 광섬유는 전반사의 원리를 활용한
대표
적인 예다. 굴절률이 큰 유리섬유(코어)를 굴절률이 작은 유리층(클래딩)으로 덮어 만든 광섬유는 안쪽 유리로 입사한 빛은 전반사를 거듭하므로 광섬유가 구부러져 있어도 빛의 손실 없이 멀리까지 ... ...
0.05초 만에 결정되는 첫인상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갖게 하는 부작용도 있다. 외모만으로 사람을 평가하는 인종차별이나 외모지상주의는
대표
적인 예다.하지만 다행히 사람들은 첫인상으로만 상대방을 판단하지는 않는다. 첫인상 정보를 만든 피질하 구조는 단독으로 의사결정을 내리는 것이 아니라 안와전두엽 같은 부위와 상호작용하며 더 정교한 ... ...
설립 700주년_서운관의 잠 못 드는 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않고 파격적으로 발탁된 경우도 있다. 조선 후기 정조시대의 천재 천문학자 김영(金泳)이
대표
적 예다. 1749년에 태어난 그는 어려서부터 수학과 천문학의 천재였다. 그는 키가 크고 얼굴이 파리했다고 한다. 그는 ‘기하원본’을 혼자 익히면서 수학에 흥미를 느껴 15년간 수학과 천문학에 몰두한 ... ...
지구 멸망 시나리오 3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피하는 데 좌우대칭이 유리하기 때문이다. 지구 최초의 좌우대칭동물인 플라나리아로
대표
되는 편형동물에서 그 대답을 찾는 게 빠를 수도 있다. 즉 외계생명체는 감각을 받아들여 명령을 내리는 뇌 같은 중앙신경계가 고도로 발달됐을 수 있다. 하등한 플라나리아도 신경세포가 머리 부분에 모인 ... ...
이전
392
393
394
395
396
397
398
399
4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