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학
생명체
동물
생태학
피창조물
만물
바이오
뉴스
"
생물
"(으)로 총 5,707건 검색되었습니다.
다윈 자연선택설의 핀치새, 고향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5.08
핀치새 고향 남아메리카 대륙 중심부 아닌 북아메리카와 경계지역인 카리브해라는 연구 발표돼 환경 변화에 적응하는 방향으로
생물
이 진화했 ... 통계 분석으로 계통도를 추적한 결과”라며 “다윈의 핀치새를 시점으로 다양한
생물
종의 기원을 밝히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과학사진관] 인생은 누구나 비슷한 길을 걸어간다. 결국엔 늙어서 지난날을 추억하는 것일 뿐이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5.08
뇌 가장 안쪽에 위치한 시상하부를 홍채 위에 이식하고 관찰하는데 성공했다. 망막을
생물
학적 유리창으로 사용해 뇌 조직을 살아있는 상태로 관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한 것이다. 빨간색 부분은 신생혈관 형성을 나타낸 것으로, 조직이식이 성공적이었음을 보여준다. 위 이미지는 결과물에 ... ...
부모 챙기는 건 인간뿐?...“사람과 가장 닮은 유인원도 부모자식 개념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18.05.07
말은 인간이란 종이 스스로를 동물과 구분해 부르는 말이다. 우리는 스스로를 다른 모든
생물
종보다 한 차원 높은 존재로 여긴다. 지혜나 사랑과 존경 등 인간이 동물과 다른 점들을 누구나 쉽게 머리에 떠올릴 수 있다. 특히 부모가 자식을 사랑하고 자식은 자신이 받은 사랑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꽃가루관 칼슘 농도가 식물의 신경전달반응을 결정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5.05
학술지 사이언스 표지는 꽃가루관이 투사된 그림이 차지했다. 미국 메릴랜드대 세포
생물
학및분자유전학과 미첼 우딕 교수팀은 꽃가루관의 칼슘 농도에 따라 코닉혼 유사 단백질(CNIH)과 유사 글루타메이트 채널(GLR)의 결합이 조절되며, 그 결과 식물의 신경신호전달 과정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 ...
[짬짜면 과학 교실]
생물
이 살 수 있는 행성 3대 조건
2018.05.05
섭씨 수백 도까지 올라갔다가 밤이 되면 영하 수백 도까지 내려가요. 그런 환경에서는
생물
이 살 수 없어요. 또한 때때로 날아오는 운석을 막아 줄 공기가 없어서 달의 표면에는 ‘운석 구덩이’라는 이름의 구덩이가 많아서 마치 곰보빵 같아요. 운석 구덩이는 크고 작은 운석들이 날아와 부딪쳐서 ... ...
과학 학술지 '네이처' 최초 여성 편집장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18.05.04
편집 입문 전에는 정통 유전학자였다. 영국 노팅엄대를 졸업한 뒤 케임브리지대 분자
생물
학연구소(LMB)에서 1999년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 연구소는 DNA 구조를 발견하고 예쁜꼬마선충과 마우스 등 ‘모델동물’ 유전학을 정립해 현대 생명과학의 틀을 잡은 것으로 유명하다. 그는 졸업 후 ... ...
[과학사진관] 눈을 제대로 떠보면 온 세상이 화원이란 걸 알 수 있어
동아사이언스
l
2018.05.03
미세한 세포와 세포 사이의 연결(시냅스)까지 추적할 수 있다. 여기에는 영상장비보다는
생물
학적인 방법을 이용한다. 대표적인 사례 중 하나가 '엠그래스프(mGRASP)'라는 기술이다. 녹색형광단백질(GFP)로 뇌세포의 연결, 즉 시냅스를 찾은 뒤 광학현미경으로 추적하는 기술로, GFP 분자를 두 부분으로 ... ...
아시아 최대 수목원 '국립백두대간수목원' 3일 개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5.03
식물이 심어져 있다. 또 교육체험 프로그램을 받을 수 있는 교육연수동이 있어 ‘어린이
생물
탐사 봄 백두대간 1박 2일’ 등의 체류형 교육 프로그램도 진행할 예정이다. 국립백두대간수목원 호랑이숲에는 방사 훈련을 마친 백두산 호랑이 '우리'와 '한청'이 살고 있다. 김용하 ... ...
[곤충을 담다] 봄을 알리는 애호랑나비
2018.05.02
연재했다. 2015년 ‘한국의 나방 애벌레 도감Ⅰ Caterpillars of Moths in Korea Ⅰ’(환경부 국립
생물
자원관), 2016년 캐터필러 Ι, 2017년 캐터필러Ⅱ(도서출판홀로세)를 지었다 ... ...
요즘 뜨는 나노 기술 3가지
과학동아
l
2018.04.30
1m)인 세포보다 훨씬 작 아 혈류를 타고 체내 어디든 도달할 수 있다. 현택환 서울대 화학
생물
공학부 교수는 “의료용으로 사용 하려면 조영제나 약물 자체의 성능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인체에 해를 끼치지 않아야 한다”면서 “이미 체내에 존재하거나 분해 가능한 생체친화적인 물질로 ... ...
이전
390
391
392
393
394
395
396
397
3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