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학
생명체
동물
생태학
피창조물
만물
바이오
뉴스
"
생물
"(으)로 총 5,707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RNA 전사체가 좌우하는 세포의 운명
동아사이언스
l
2018.06.02
데이터를 분석해 전체 배아세포 간 유전자 변화와 발현 흐름을 파악하면 향후 고등
생물
의 발달 과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리처드 하랜드 교수는 리뷰 논문을 통해 “각각의 전사체를 연구하기 위해 개별 실험도 진행해야 겠지만 이 시기 배아의 발달 과정에선 딱 한가지 ... ...
[짬짜면 과학 교실] 스스로 돕는 식물의 생존법
2018.06.02
때문이에요. 따라서 생명체의 기본 단위인 세포가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생물
과 무
생물
이 구분되어요. 우리가 동시를 읽고 느끼는 것, 식물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는 것은 세포에서 출발한 (높은 수준의) 생명 활동을 하는 거예요. ‘나’를 이루고 있는 모든 세포가 바로 ‘나’이기 때문이에요. ... ...
[여기에 과학] 해가 진 다음 왜 바로 어두워지지 않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6.01
또는 여행지에서 우리가 서 있는 바로 그 지점. ‘여기’에 숨어 있는 지구와 우주,
생물
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봅니다. 매주 금요일 찾아올게요! ... ...
현대과학이 ‘프랑켄슈타인’ 다시 만든다면… 꽃미남?
동아사이언스
l
2018.06.01
제어하는 데에도 성공했다. 이 교수는 “
생물
체처럼 행동하는 로봇을 개발하거나,
생물
체와 호환성이 높은 신경 보철 장치에 응용해 장애를 극복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살갗은 그 아래 비치는 근육과 혈관을 제대로 가리지도 못했다.”(1권 4장) 프랑켄슈타인은 거인에게 제대로 된 ... ...
분해 안 되는 펩타이드 약물 개발
과학동아
l
2018.05.29
약효를 대폭 늘릴 기술이 개발됐다. 크리스티안 헤이니스 스위스 로잔연방공대 분자
생물
학과 교수팀은 혈액에서도 잘 분해되지 않는 펩타이드 약물 제조 기술을 개발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케미스트리’ 4월 30일자에 발표했다. 이중 가교를 이용한 펩타이드의 고리 구조를 도식화한 모형. - ... ...
별세포 활성 떨어지면 운동 능력은 향상
과학동아
l
2018.05.28
이창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신경교세포연구단 책임연구원 팀은 윤보은 단국대 분자
생물
학과 교수팀과 공동으로 비신경세포 중 가장 많은 별세포가 소뇌의 운동 능력에 관여한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4월 24일자에 발표했다. 별세포는 주로 신경세포의 ... ...
[표지로 읽는 과학] 레이저로 분자를 만들어내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5.26
화학반응만을 일으키는 것은 불가능했다. 강 쿠엔 니(Kang-Kuen Ni) 하버드대 화학및화학
생물
학과 교수팀은 광학 집게(optical tweezer)를 이용해 나트륨(Na)과 세슘(Cs)의 원자를 조립해 NaCs라는 하나의 분자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광학 집게는 레이저와 입자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과 척력을 이용해 원자를 ... ...
[짬짜면 과학 교실] 지구보다 훨씬 큰 마을
2018.05.26
빛을 내지 못하지만 대궐집 태양에서 밝힌 불빛이 워낙 밝아서 그 빛으로
생물
도 키우고 일광욕도 해요 그래서 태양은 우리 마을의 스타예요 초등생을 위한 덧말 우리는 지구에 살고 있고, 지구는 태양계에 살고 있어요. ‘태양계’는 태양이 빛과 열과 끌어당기는 힘으로 ... ...
의학실험때 세포 성별 무시하면 ‘큰 코’… 남녀간 약 효과-부작용 달라
동아사이언스
l
2018.05.25
고려하는 쪽으로 변하고 있다. 유럽연합과 미국 국립보건원(NIH), 캐나다 등이 성별을
생물
학적 변수로 연구에 포함시킬 것을 권고하고 나섰다. 네이처, 랜싯, 사이언스 등 30여 곳의 학술지도 논문에서 성별을 고려했는지 보고하고, 성별에 따른 영향을 언급하도록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 ...
미
생물
이 스스로 나노 재료 만들어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5.23
논문 제1저자인 최유진 KAIST 생명화학공학과 연구원(박사과정)과 총책임자 이상엽 특훈교수. -사진 제공 KAIST 미
생물
인 대장균을 이용해 다양 ...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재조합 대장균을 이용한 다양한 나노재료들의
생물
학적 합성 기술의 전체 모식도 및 이미지. -사진 제공 ... ...
이전
388
389
390
391
392
393
394
395
3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