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7"(으)로 총 10,332건 검색되었습니다.
- 걷지 말고 뛰어라! 런닝맨 수학놀이의 神 은 누구?수학동아 l2013년 03호
- 이기는 법을 알아보자. 두 명이 게임을 할 경우, 자기가 30을 말하려면 상대방이 27을 말하게 해야 한다. 즉, 내가 부르는 수의 끝이 26이 돼야 한다는 얘기다. 또 26을 말하려면 22를 말해야 한다. 이런 식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결국 이기기 위한 기본 조건은 2를 먼저 부르는 것이 된다. 게임을 먼저 ... ...
- 사진에 담은 대자연의 순간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3호
- 그 속에서 공존하며 살아가는 동물과 인간의 다채로운 모습을 담아내는 ‘2012년 제7회 내셔널 지오그래픽 국제 사진공모전’의 수상 작품들이 발표됐어요. 자연, 인간, 장소 세 가지 분야의 열 세 작품이 영예를 안았답니다. 평생 한 번 가기 힘든 극 지점의 일상부터 바다 속의 질서정연한 행진까지, ... ...
- 당신의 대통령은 누구입니까과학동아 l2013년 02호
- 대비 크게 줄었다. 이때는 판별분석이 큰 역할을 하지 못했다.최 종 투표율은 75.8%로 17대 대선(63.0%)보다 12.8%p 늘어났다. 패널조사에서 지지하는 정당이나 후보를 적극적으로 밝히지 않은 여당 지지자들이 투표소로 집결한 것이다. 이로 인해 한국리서치(YTN)는 5000명이라는 적지 않은 표본을 추출해 ... ...
- 고독한 우주의 방랑자, 외톨이 행성과학동아 l2013년 02호
- 같은 물리적 특성을 파악했다. 태양계의 행성보다는 크고 뜨거웠다. 질량이 목성의 4~7배, 온도는 약 430℃였다. 성단의 일원이므로 나이는 성단과 같은 2000만 년~2억 년으로 추정했다. 하지만 이 외톨이 행성이 정말 행성인지는 여전히 의문스러울 수 있다. 작은 갈색왜성일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왜 ... ...
- 생명공학으로 차린 밥상 정말 안전할까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새로운 과학이슈 11가지를 담은 ‘Season2’ 버전이다.‘과학이슈11 시즌2’에서는 지난해 7월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에서 거대강입자가속기(LHC)로 발견했다고 발표해 과학계뿐 아니라 세상을 떠들썩하게 만든 ‘힉스 입자’의 정체, 과학 교과서에서 시조새와 말의 진화에 관련된 내용을 빼달라는 ... ...
- 쓰레기 채식은 육식보다 해롭다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있다. 1998년 ‘공중보건영양’지에 실린 티모시 키 영국 왕립암연구재단 박사팀은 7만 6172명의 남녀를 대상으로 10년 이상 추적 연구를 했다. 그 결과 채식인은 채식을 하지 않는 사람에 비해 심장질환에 의한 사망률이 24% 낮다는 결론을 내렸다. 하지만 다른 요인에 의한 사망률에서는 큰 차이를 ... ...
- 황금바다에 빠지다과학동아 l2013년 02호
- 넓이는 326km2. 우리나라에서 가장 넓은 람사르습지인 고창·부안 갯벌의 넓이 45.5km2 보다 7배 이상 넓다. 게다가 동탄 습지는 매년 100m 이상 동쪽으로 늘어나고 있다. 충밍섬이 위치한 양쯔강 하구에는 하구둑이 없어 퇴적물이 자연스럽게 쌓이고 있기 때문이다. 거의 모든 하구마다 하구둑이 버티고 ... ...
- [W5 코드 브레이커] 리만 가설수학동아 l2013년 02호
- 리만가설은 미국 ‘클레이 수학연구소’가 100만 달러나 되는 상금을 걸어 놓은 세계 7대 수학난제 중 하나입니다. 그런데 다른 난제와는 달리 리만 가설이 풀리길 바라는 사람들이 있는 한편, 풀리는 걸 원하지 않는 사람들도 있다고 해요. 도대체 무엇 때문일까요?리만 가설이란?리만 가설은 독일 ... ...
- PART 1. 글로벌호크, 한반도에 뜰까과학동아 l2013년 02호
- 피트)까지를 저고도, 다시 13.7km(4만5000피트)까지를 중고도, 그 이상을 고고도라 한다. 6~13.7km인 지역은 국제선 항공기 등이 육안이 아닌 계기판을 통해 조종하는 계기비행을 하는 고도다. 글로벌호크와 같은 고고도 무인정찰기는 이보다 높은 성층권이 주요 활동 무대다(성층권에서는 산소가 매우 ... ...
- [hot science] 외계인이 탐낸 물 우주에는 넘쳐난다!과학동아 l2013년 02호
- 별의 재료가 되므로, 그 안의 물이 나중에 어떤 행성에 바다를 만들 수도 있다. 2011년 7월에는 120억 광년 떨어진 퀘이사에서 지구에 있는 물의 무려 140조 배에 달하는 수증기가 발견됐다. 120억 년 전의 우주에도 물이 많았다는 뜻이다. 이는 우주에서 물이 결코 희귀한 존재가 아님을 알려준다. 혹시 ... ...
이전3903913923933943953963973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