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7"(으)로 총 10,332건 검색되었습니다.
- 비행, 레이더, 동면 - 진화의 꽃 박쥐의 모든 것과학동아 l2013년 04호
- 겨우내 동굴에 숨어 잠만 자는데 천적에게 먹힐 일이 없지요) 수명은 설치류의 3배(12~17년)에 이릅니다. 당신은 생존을 위해 최적화된 경쟁력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겠네요.게다가 당신은 포유류계에서도 알아주는 첨단 능력을 지닌 동물입니다. 우선 유일하게 하늘을 납니다. 날다람쥐처럼 바람을 ... ...
- 산불이 할퀴어도 씨앗은 남는다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철쭉나무, 생강나무, 머루나무, 국수나무, 쥐다래나무, 산앵두나무 등이 분포한다. 0.7m 이하의 초본층에는 제비꽃, 애기나리, 고사리, 더덕 등이 있다.한 관광객이 무심코 버린 담배 때문에 낙엽이 연기를 내면서 불이 붙기 시작한다. 이후 이 불길은 주변에 가득한 나뭇잎을 태우고 강한 바람에서 ... ...
- [시사] 20세기 마지막 보편주의자 푸앵카레수학동아 l2013년 04호
- 새천년이 시작되던 2000년에 미국 클레이 재단이 각각 백만 달러의 상금을 걸고 발표한 7개의 중의 하나이다.푸앵카레 추측을 간단하게 설명하기 위해 3차원 공간에 있는 구를 생각해 보자. 아이가 들고 있는 농구공에 개미가 기어가고 있다. 개미에게는 자신이 있는 농구공의 ... ...
- [생활] 수학탐정 M 로슬린 성당의 비밀을 밝혀라!수학동아 l2013년 04호
- 더 클라드니 연구를 잇는 한스 제니스위스의 의사이자 예술가였던 한스 제니 박사는 1967년 을 출판하면서, 클라드니의 연구를 이어갔다. 제니 박사는 클라드니 도형과 같은 원리로 모래, 씨앗, 철가루와 같은 다양한 소재를 사용하여 진동하는 판 위에 놓고 만들어지는 ... ...
- 부모님과 함께 보는 2013년 교과서가 바뀐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3호
- 수학 원리를 제대로 알 수 있거든. 그만큼 흥미도 올라가지. 예를 들어 3000원에 4개와 7개인 크기가 다른 복숭아 중 더 경제적인 것, 김밥 16줄과 음료수 20개를 남김없이 나눠 줄 때 가능한 한 많은 사람에게 나눠 주는 방법, 전기료를 줄이려면 어느 방에서 공부해야 할까 같은 문제를 따지면서 수학을 ... ...
- 로미오와 줄리엣도 깜짝 놀란 매스 연애조작단수학동아 l2013년 03호
- 수는 1차원에서 2, 2차원에서 6이다. 3차원에서는 12인데, 그 증명은 매우 까다롭다. 17세기 영국의 천재 수학자이자 물리학자인 아이작 뉴턴은 12, 스코틀랜드의 수학자 데이비드 그레고리는 13이라고 주장했다. 둘은 끝내 누가 정확한 답을 알아냈는지 밝히지 못했고, 논란은 20세기까지 이어졌다. ... ...
- 서울에 '운석우'가 떨어진다면…과학동아 l2013년 03호
- 시작해 2015년 말 완전 가동할 예정이다. 연구팀은 45m급 소행성을 최소 1주일 전에, 137m급 소행성을 최소 3주 전에 발견해 경보를 내린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최영준 연구원은 “우리나라도 2014년 말부터는 KMTNet(한국 미시중력렌즈 망원경 네트워크) 프로젝트로 소행성을 찾는 일에 힘을 보탤 수 있을 ... ...
- 야생의 배꼽, 세렝게티과학동아 l2013년 03호
- 실제로 세렝게티는 전체 해발고도가 900~1500m 정도랍니다. 지리산 노고단 높이가 1507m니 어지간한 산보다 높은 곳이 수두룩한 셈이네요.세렝게티는 적도 바로 아래에 있는 열대 사바나 지역이에요. 우기와 건기가 반복되죠. 우기에는 밖에 돌아다니기도 어려울 정도로 비가 쏟아 붓고, 건기에는 ... ...
- 운동하면 뇌도 뛴다과학동아 l2013년 03호
- 좀 더 복잡한 학습과 반복으로 시냅스를 형성, 강화하면 금상첨화다.게다가 지난해 7월 데이비드 부치 미국 다트머스대 교수가 ‘뉴로사이언스’에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쥐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운동효과가 지속되는 시간이 어린이, 청소년 시기에 더 길었다. 부치 교수는 “뇌가 성장하는 ... ...
- PART 2. 데카르트의 악몽, 아인슈타인의 해몽과학동아 l2013년 03호
- 관성질량과 중력질량은 10억분의 1의 한계로 동일하다고 발표했다.한편 아인슈타인은 1907년부터 중력이 없는 상태에서 가속도 g로 운동하는 경우와 중력가속도 g만큼의 중력을 받는 경우를 물리적으로 구별할 수 없다는 소위 등가원리를 제창하고 있었다. 그는 중력과 가속도가 사실상 같다는 이 ... ...
이전3883893903913923933943953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