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하
나중
뒤
아래
이래
d라이브러리
"
이후
"(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투수를 해부하는 메스, 투구추적시스템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공식홈페이지(mlb.com)의 문자중계 서비스인 ‘게임데이’를 통해 볼 수 있어 누구나 2007년
이후
메이저리그 선수의 PTS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하나의 장비가 야구장에는 엄청난 변화를 몰고 왔다. 훨씬 과학적으로 분석하게 된 것이다. 투수에 대한 PTS 데이터를 분석할 때 가장 보편적인 접근법은 ... ...
영화 순식간에 내려받는 황금 주파수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있다.이 주파수는 전파 회절성이 좋아 기존에 사용하던 800~900MHz 주파수와 연계하면 4G
이후
차세대 휴대전화 서비스에 쓸 수 있다. 가까운 미래에 4G 서비스가 정착될 것이다. 5세대(5G) 이동통신 역시 언젠간 개발될 것이다. 어떤 휴대전화 서비스를 선택하느냐는 소비자의 몫이지만, 꼭 최고 속도를 ... ...
별 삼키는 블랙홀 봤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속을 통과해 뒤쪽의 카메라(검출기)에 도달해 이미지 데이터로 바뀐다.한국 연구팀이 4월
이후
관측한 미국 하와이의 유커드 망원경의 데이터도 실렸다. 유커드 망원경에서 7월 26일에 관측한 사진을 보면 블랙홀의 제트에서 나오는 빛이 상당히 약해져 있음을 볼 수 있다. 블랙홀의 제트는 많이 ... ...
D-한 달, 나는 이렇게 준비했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시간 때문에 빨리 공부하려고 10분 만에 점심을 먹고 교실에서 자습을 했지만 5교시
이후
에 더욱 졸려 집중이 되지 않았다. 쉴 때는 쉬자. 수능 당일 배가 아프거나 체하면 치명적이다. 그래서 수능 일주일 전부터는 나물이나 된장국 같은 자극 없는 음식을 먹었다. 수능은 오전에 시험이 시작된다. 이 ... ...
PART 3 영재들은 왜 갖고 노는 걸까?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연로한 컴퓨터 프로그래머는 찾아보기 어려운 이유가 이 때문이래. 그런데 청소년기
이후
에는 발달하지 않는 유동성 지능을 발달시키는데는 수학퍼즐이 최고야. 따라서 수학퍼즐을 열심히 즐겨야 하지! 시간이 없거든.영재성 검사에 퍼즐 나오는 이유수학·과학 영재프로그램에 빠지지 않는 것이 ... ...
PART 1. 산사태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산사태 위험지 정보는 위험을 온전히 반영하기엔 부족하다.또 하나의 문제점은 산사태
이후
의 피해지역을 예측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산사태 위험지는 말 그대로 산사태라는 ‘사건’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지역이다. 하지만 산사태 피해는 발생 지역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다. 무너진 흙이 ... ...
엄마 없는 원숭이 평생 스트레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다네스 영국 킹스 칼리지 정신의학과 교수는 “이 연구가 사람이 어렸을 적 받은 충격이
이후
삶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알려줄 것”이라고 의의를 설명했다 ... ...
월드와이드웹 20년, 아직 진화는 끝나지 않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첫 번째 웹페이지를 인터넷에 올렸다. 올해가 월드와이드웹 20주년이 되는 계기다. 사실
이후
수년 동안 월드와이드웹은 대중의 주목을 그다지 받지 못했다. 웹에 접근하는 통로인 웹브라우저가 텍스트에 기반해 사용하기가 쉽지 않았기 때문이다.그런데 1994년 미국에서 ‘넷스케이프’라는 그래픽 ... ...
별과 생명체의 씨앗 우주먼지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관측된 마지막 초신성 폭발이 1604년이었기 때문에 20세기 현대천문학이 확립된
이후
가장 가까운 곳에서 일어난 대사건이었다.천문학자들은 지난 24년 동안 초신성 1987A에 벌어지는 일들을 면밀히 관측해왔다. 그 결과 폭발의 중심부에서 엄청난 양의 먼지가 만들어져 사방으로 흩어짐을 확인했다. ... ...
어른을 위한 공룡 책!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길고 긴 역사다.2009년 펴낸 책을 번역했기 때문에 비교적 최근 정보를 담고 있지만 2010년
이후
정보는 없다는 점이 아쉽다. 국내 거의 유일한 고생물학 시리즈물인 ‘오파비니아 총서’ 8번째 권으로 책의 수준을 믿을 만하다. 고생물학과 고인류학 책을 자주 번역한 역자의 번역도 안정적이다 ... ...
이전
390
391
392
393
394
395
396
397
3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