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하
나중
뒤
아래
이래
d라이브러리
"
이후
"(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스티브 잡스는 어떻게 시대의 아이콘이 되었나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결혼한
이후
의 스티브 잡스2.0을 구분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스티브 잡스는 결혼한
이후
완전히 다른 사람이 됐다. 양아버지가 그랬듯이 가족을 생각하는 사람이 됐던 것이다. 한때 외면 했던 리사를 데려왔고 자식 교육을 위해 집도 옮겼다.잡스는 훗날 결혼이 자신에게 좋은 영향을 끼쳤고, 로렌과 ... ...
암세포만 찔러 죽이는 바이러스 항암제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결과 1상과 같은 효과와 안전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번 임상시험은 국내에서 시작했고
이후
미국과 캐나다가 참여했다. 실험 결과 중 일부를 올해 4월 유럽 간학회에서 발표했다. 11월 중에는 미국 간학회와 한국 세포유전자치료학회에서도 발표할 예정이다. 임상 2상에서 JX-594와 함께 유일한 간암 ... ...
제1회 사이언스 챌린지 2011 - 한국의 젊은 노벨상을 꿈꾼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이용한 창의적인 실험이 많았다”고 평했다. 또한 지난 5월, 1박 2일로 진행된 본선
이후
에 연구를 보완한 팀이 많았다. 김민석 학생(전북과학고, Green Challenge팀)은 “다른 대회와 달리 사이언스 챌린지 본선은 단순히 결과를 발표하는 자리가 아니었다. 다른 팀을 비롯해 심사위원과 서로의 연구에 ... ...
PART 2. 타임머신 터미널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원하면 더 빠른 우주선에 탑승하거나 더 오래 여행하면 된다.아이디어의 기원아인슈타인
이후
절대적인 시간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보는 사람의 위치에 따라 시간이 달라진다. 아인슈타인은 시간과 공간을 결합해 시공간이란 개념을 만들었다. 시간과 공간이 따로 흐르고 변하는 것이 아니라 ... ...
4악장 - 악기 개성의 탄생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수 있어요. 여러 과학자들이 이 악기의 비밀을 찾으려고 다양한 연구를 했어요. 2000년대
이후
만 봐도, 2006년 미국 텍사스A&M대 생화학과 조셉 네지바리 교수가 단풍나무 몸체에 바른 도료가 음색의 비밀이라는 연구 결과를 ‘네이처’에 발표했고, 2008년에는 미국 이스트캐롤라이나대 음악학과 죠지 ... ...
법정에 선 지진학자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안심을 하게 만들었다면 과실을 인정할 여지가 있습니다.[2009년 4월 7일 이탈리아 지진
이후
열린 지진 언론 컨퍼런스에서 실비오 베를루스코니 이탈리아 총리(왼쪽)와 귀도 베르토라소 도시보안책임자가 곤혹스러운 얼굴로 사건의 개요를 설명하고 있다.]그럼에도 지진학자들에게 과실이 ... ...
뇌과학으로 본 버럭순재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수 있다. 네덜란드 연구진이 4세에서 88세까지 2211명의 뇌를 MRI로 봤더니 뇌 용적은 35세
이후
부터 1년에 약 0.2%씩 줄어들다가 60세부터는 더 빨라져 한 해 0.5%씩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이 결과를 저널 ‘인간뇌지도(human brain mapping)’ 9월 13일자에 발표했다.용적이 줄어든다는 것은 ... ...
“한·중·일은 하나의 인류”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이 조상은 약 29만 년 전~14만 년 전 사이에 살았다. 다른 대륙에 인류가 나타난 것은 그
이후
였다. 이듬해(1987년) 1월 이 연구 결과가 ‘네이처’에 소개됐다. 현생인류가 세계 각지에서 각각 진화했다는 ‘다지역연계론’을 주장해온 인류학과 고고학계는 발칵 뒤집혔다.한중일 ‘같이 또 ... ...
후쿠시마 방사능 공포 ‘진행 중'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측정됐다.이번에 검출된 방사선량을 연간 방사선량으로 환산하면 후쿠시마 사고
이후
일본 정부가 정한 대피 기준인 20mSv(밀리시버트. μSv의 1000배)를 훌쩍 뛰어넘는다. 17일 도쿄에서 측정된 방사선량을 환산하면 21mSv, 치바 현에서 측정된 방사선량은 31mSv에 이른다. 때문에 일부에서는 수도 인근까지 ... ...
때리거나 쓸어담거나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종류나 수로 보더라도 나방이 나비의 15배 이상이나 된다. 하지만 석주명 선생님
이후
로 나비에 대한 연구는 상당히 이루어졌으나 훨씬 더 많은 나방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지 못했다.나비와 나방의 가장 큰 생태적 차이는 활동 시간대다. 나방은 대부분 야행성이고 나비는 모두 낮에만 활동한다. ... ...
이전
387
388
389
390
391
392
393
394
3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