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초속 299,792,458m를 약속하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빠르다. 그런 빛도 광활한 우주를 건너가려면 긴 시간이 걸린다. 지금 보고 있는 태양은 약 8분 전의 모습이고, 지구에서 화성탐사선 큐리오시티에게 ‘잘 지내지?’라고 물어보고 답을 들으려면 30분이 걸린다. 영화 ‘콘택트’에서 베가 행성에 사는 외계인이 지구로 되돌려 보낸 텔레비전 전파는 5 ... ...
- 뜨거운 태양이 연구실에? 인공태양 케이스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케이스타가 모습을 드러냈어요. 케이스타를 마주한 명예기자들이 탄성을 질렀지요. 지름 약 10m, 높이는 6m에 달하는 크기였는데, 실제로 본 케이스타는 훨씬 크고 웅장해 보였어요. 은빛으로 빛나는 금속으로 만들어져서 거대한 UFO처럼 보이기도 했어요.케이스타가 위치한 연구동은 두꺼운 ... ...
- [생활] 입소문이 만들어낸 맛, 허니버터칩수학동아 l2015년 01호
- 다음과 같이 허니버터칩의 ‘인기 밀도’를 정의해보자.11월 한 달 동안 허니버터칩은 약 80억 원 어치가 팔렸다. 한 달 동안 최대로 만들 수 있는 양(약 60억 원)을 넘어서는 수치다. 허니버터칩을 사고 싶어하는 사람이 팔리고 있는 개수보다 커지면서 ‘인기 밀도’는 점점 높아졌다. 도로 위의 ... ...
- [매스투어] 불교문화 속 띠군을 찾아~ 태국으로!수학동아 l2015년 01호
- 오르는 3개의 계단 중에 두 번째 계단의 경사는 약 45°인데 반해 세 번째 계단의 경사는 약 62° 정도로 매우 가파르기 때문입니다. 평소에 운동을 열심히 안 한 사람들은 오르고 내리기가 어려울 수 있어요. 저도 다녀온 후 다리 근육이 뭉쳐 고생했네요~.이외에도 방콕 시내에는 왓사켓, 왓랏차나다 ... ...
- [교과연계수업] 도시에는 왜 고양이가 많을까? 도시생태계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소용없다? 지금 서울시에 살고 있는 길고양이 수는 약 25만 마리래. 서울시 인구가 약 1000만 명이니, 4인 가족 하나 당 고양이 1마리가 살고 있는 셈이지. 수가 늘어난 탓에 아무래도 사람들과의 마찰이 생길 수밖에 없어. 길고양이는 먹을 것을 찾아 쓰레기 봉투를 뜯어 위생 문제를 일으키거나, ... ...
- Part 2. 도시에선 고양이가 최고 포식자!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소용없다?지금 서울시에 살고 있는 길고양이 수는 약 25만 마리래. 서울시 인구가 약 1000만 명이니, 4인 가족 하나 당 고양이 1마리가 살고 있는 셈이지. 수가 늘어난 탓에 아무래도 사람들과의 마찰이 생길 수밖에 없어. 길고양이는 먹을 것을 찾아 쓰레기봉투를 뜯어 위생 문제를 일으키거나, ... ...
- Part 5. 우롱이와 함께 만든 생태일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전세계적으로 꿀벌 수가 40~45% 줄어서 문제가 되고 있어요. 우리나라 토종벌도 2010년에 약 75~80%가 사라졌답니다. 꿀벌을 죽이는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가 퍼지고, 꿀벌이 꿀을 빠는 ‘밀원식물’이 줄어들었기 때문이지요.자생종 식물의 꽃은 꿀벌이 아주 좋아하는 밀원식물이랍니다. 우리가 ... ...
- 웰컴 투 얼음왕국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얼음을 네모반듯하게 잘라 꺼낸 다음, 벽돌처럼 쌓아서 건물을 짓지. 건물을 짓는 데 약 2주가 걸린단다.이 얼음왕국도 겨울이 지나고 날이 따뜻해지면 모두 녹아 버려. 하지만 해마다 색다른 인테리어로 지을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단다. 또 어떤 방에서 지내고 싶은지 건축가에게 미리 말하면 ... ...
- [지식] 녹아버린 초콜릿에서 영감을 얻다!수학동아 l2015년 01호
- 시스템이었기 때문에, 배수관 시설이 필요했다. 게다가 가격이 지금의 가치로 5000 달러(약 550만 원)로 비싸서 가정에서는 구입할 엄두도 낼 수 없었다. 하지만 냉동식품을 빠른 시간 안에 해동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레스토랑이나 항공사에서는 관심을 보였다.그 뒤로 레이시온은 ‘아마나 ... ...
- Part 1. 차세대 비행기 설계도 5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있습니다. 비행기는 착륙 시점을 맞추기 위해 공항 근처에서 선회하는 경우가 많은데, 만약 활주로까지 점진적으로 하강할 수 있다면 비행시간이 평균 13분 단축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 정도면 전 세계의 연료 소비를 연간 900만t 줄이고 이산화탄소 배출은 2800만t 줄일 수 있을 겁니다. 항공 ... ...
이전3903913923933943953963973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