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2015년, 지금은 빙하시대”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주기가 서로 다른 시기에 플라이스토세 내내 반복되고 있었다. 즉 250만~100만 년 전에는 약 4만1000년마다 빙하기와 간빙기가 반복됐고 그 이후로는 10만 년마다 반복됐다. 원인은 지구 공전궤도 타원 모양의 변화(이심률의 변화), 자전축의 기울기, 그리고 자전축 및 공전궤도의 세차운동 때문이다 ... ...
- 가장 깊은 곳에 사는 물고기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2호
- 계산한 결과에 따르면 세포 내 트리메틸아민산화물로 버틸 수 있는 최대 수심은 약 8200m라고 해요. 탐사에 참여한 스코틀랜드 애버딘대학교의 앨런 제이미슨 박사는 “이번에 발견된 물고기보다 더 깊은 곳에 사는 물고기는 없을지도 모른다”고 말했답니다 ... ...
- 무척추동물의 뇌는 모두 닮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동일하다는 사실을 알아낸 거죠.스트로스필드 교수는 “무척추동물의 동일한 뇌 구조는 약 600만 년 전 이들이 하나의 공통 조상으로부터 분화돼 진화했다는 것을 나타낸다”고 밝혔어요. 연구팀은 앞으로 척추동물의 뇌도 조사할 계획이라고 해요. 무척추동물의 버섯체가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 ... ...
- 800년 동안 바다 속에 있던 보물선을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2호
- 금속공예품, 중국도자기 등이 함께 발굴됐어요.어촌민속실에서는 조선시대 실학자 정약전이 쓴 ‘자산어보’의 내용을 한눈에 볼 수 있어요. 자산어보는 우리나라 해양 생물 백과사전이라고 할 수 있지요. 기자단 친구들은 선박사실에서 우리나라 전통 배인 ‘한선’의 역사를 살펴보고, ... ...
- [Knowledge] 끈 매고 뛰는 우주 런닝머신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이후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어요. 김선홍 대원님이 다음 우주비행을 할 때에는 신약이 개발됐을지도 모르겠네요.”다음 우주 비행이라…. 미소를 짓는 줄리아의 얼굴을 보니, 다음에도 그녀와 함께 화성에 오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 ...
- PART 4. 추위가 불러온 '인간성'의 폭발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약 4만~2만 년 사이에 살았다. 프랑스 남부에 있는 동굴 벽화에 그려진 코뿔소. 약 3만 년 전 그려진 것으로 보인다. 인류의 사냥 대상이었던 걸까.빙하시대는 혹독한 추위가 반복적으 로 찾아오는 시기였지만 이를 극복하기 위해 인류는 고기를 먹고, 도구를 사용 하며, 예술혼을 꽃피웠다. 이 과정이 ... ...
- [과학뉴스] 비만보다 운동부족이 더 문제라니까!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둘레, 그리고 운동 정도를 기록한 설문 조사 데이터를 수집했다. 분석 결과, 참가자의 약 4분의 1(22.7%)이 운동을 거의 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비해 매일 20분씩이라도 걷는 사람들은 조기 사망 위험이 16~30% 낮았다. 이런 경향은 정상 체중인 그룹에서 더 분명하게 나타났다.연구팀은 최근 ... ...
- [과학뉴스] 페이스북 ‘좋아요’가 내 성격 맞춘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신경증적 성향으로 구분했다. 그 결과를 컴퓨터 예측과 비교한 결과 컴퓨터 분석이 약 56%의 정확도로 참가자의 성격을 예측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친구와 가족보다도 정확하게 예측한 결과다.코신스키 교수는 “이 성격 분석 알고리즘을 발전시키면 구직자와 직업의 궁합을 분석해 주거나, ... ...
- [Hot Issue] 다 쓴 원전, 때 벗기고 로봇으로 해체한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너무 심해 전부 고준위 폐기물 처분장으로 보내야 하는데, 문제는 지름 4m, 높이 13m, 두께 약 30cm인 이 쇳덩어리를 어떻게 옮기는가다. 결국 잘라서 버려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방사선에 피폭될 수 있다. 더구나 물속에서 해체를 해야 한다. 그래서 원자로는 처음부터 끝까지 로봇이 해체한다 ... ...
- [Life & Tech] 4대강 사업 사망선고를 받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모래섬이나 주변 습지가 사라지자 함께 떠났다.수자원 가치도 별로 없고 관광 효과는 미약수자원 확보와 홍수 및 가뭄 예방 효과도 불확실하다는 게 보고서의 평가다. 애초에 마스터플랜은 물 부족량을 충당하기 위해 13억t의 물을 확보할 계획을 세웠다. 보고서는 “실제로 11억7000만t을 확보했으며 ... ...
이전3883893903913923933943953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