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시작
최초
서두
초기
머리말
개시
d라이브러리
"
처음
"(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hot science] 아침사용설명서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호르몬인 ‘멜라토닌’ 때문이다. 주변이 어두워지면 이 호르몬이 나와 잠을 유도한다.
처음
태어난 아기가 시도 때도 없이 자는 것은 이 호르몬 때문이다. 멜라토닌은 성장할수록 낮에는 잘 분비되지 않는다. 청소년기가 되면 멜라토닌 분비가 일시적으로 바뀐다. 2차 성징과 함께 각종 호르몬이 ... ...
[life & tech] 우리 조상은 언제부터 흰 쌀밥을 먹게 됐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먹을 수 있게 된 것은 조선 영조 때 시작된 모내기 덕분이다. 모내기가 우리나라 역사에
처음
등장한 것은 고려 후기다. ‘고려사’에 공민왕 때 백성들이 모내기를 했다는 기록이 있다. 모내기가 전국적으로 실시된 영조 시대와는 400년이나 차이가 난다. 모내기는 왜 이렇게 늦게 전파됐을까?모내기 ... ...
알쏭달쏭 자연의 기준이 궁금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9호
한라산 북쪽 관음사 부근 숲속에서 왕벚나무를 발견해 제주도가 왕벚나무의 자생지임이
처음
알려졌단다.법으로 나라꽃을 정한 국가는 소수!인터넷에서 일본의 나라꽃이 국화(菊花)이고 벚꽃은 아니라는 내용을 볼 수 있는데, 사실이 아니다. 중국의 매화나무, 콜롬비아의 카틀레야처럼 법으로 ... ...
[가상인터뷰] 손가락 형성의 비밀, 수학으로 풀다!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신호는 이전의 연구에서도 발견됐습니다. 하지만 그 분자들의 실체를 밝혀낸 건 이번이
처음
이죠. 손가락을 형성하는 패턴을 만들어내는 튜링 분자는 골형성(BMP) 단백질과 윈트(WNT) 단백질이었습니다.아하! 그럼 이 두 가지 단백질의 상호작용으로 손가락이 만들어지는군요!제임스 샤프 교수 : ... ...
2014 가을 달이 빛나는 밤에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거대한 도약이다”1969년 7월 20일, 아폴로 11호의 선장 닐 암스트롱은 인류 역사상
처음
으로 달에 성조기를 꽂으며 이와 같은 명언을 남겼다. 이렇게 인류사에 한 획을 그은 아폴로 11호의 달 착륙이 올해로 45주년을 맞았다. 미국항공우주국에서는 지난 7월, 달 착륙 45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아폴로 11호 ... ...
[생활] 무엇이 무엇이 똑같을까?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크기가 다른 도형은 ‘닮음’이라고 한다. 어떤 도형을 일정한 비율로 키우거나 줄이면
처음
도형과 ‘닮음’인 도형을 만들 수 있다. 도형의 닮음을 나타낼 때는 기호 ∽를 사용하는데, 이 기호 ∽의 원조 역시 라이프니츠로 보인다. 라이프니츠는 1679년 한 원고에서 닮음을 나타내기 위해 또는 이와 ... ...
PART3. 인간에겐 아직 두 개의 무기가 남아 있습니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같은 치명적 질병에는 섣불리 사용하기 어렵다. 좀 더 안전한 백신이 없을까. 과학자들은
처음
에 바이러스형 백신을 생각했다. 인체에 무해한 바이러스에 에볼라의 유전자 일부를 넣어 우리 몸에 넣는 것이다. 바이러스가 인체세포를 이용해 우리 몸 안에서 에볼라의 당단백질을 만들면 우리 몸은 ... ...
“지하철 9호선 팔 때 주변 흙도 쓸려나갔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두터운 지역이지만 아직까지 문제의 조짐은 보이지 않는다.일부에서는 지하터널을 팔 때
처음
부터 잘못된 위치를 고르는 바람에 일이 커졌다는 지적도 제기하고 있 다. 이수곤 교수는 “9호선 지하터널 공사를 할 때 자갈과 모래로 쌓인 충적층과 단단한 암석 중 한 곳만 팠어야 했는데 그러지 ... ...
“집은 살기 좋은 작품”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Q (사회자) 건축학과는 5년제로 알고 있는데요. 특별한 이유가 있나요?A 미국에서
처음
건축학과가 만들어질 때, 건축사자격증을 따려면 시간이 더 필요하다고 해서 5년제로 정했다고 합니다. 이후 미국의 교과과정이 국제 기준이 되면서 지금처럼 굳어지게 됐습니다. 우리나라 건축학과도 대부분 ... ...
뇌과학으로 해결하자! 굿바이 학교폭력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주범은 누구?아이들은 나를 ‘하회탈’이라 불러. 눈이 작아서 웃을 때마다 없어지거든.
처음
에 한두 명이 그렇게 부를 때는 나도 재미있다고 생각했어. 그런데 지금은 반 아이들 모두가 그렇게 부르니까 화가 나고 모욕감까지 느낀다니까. 더 얄미운 애는 바로 내 짝꿍이야. 나를 도와주기는커녕, ... ...
이전
389
390
391
392
393
394
395
396
3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