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시작
최초
서두
초기
머리말
개시
d라이브러리
"
처음
"(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hot science] 중생대 바다의 난폭한 주인, 해양파충류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위해 작은 머리와 긴 목을 진화시켰을 것으로 예상된다. 1886년에 이 동물의 화석을
처음
발견한 고생물학자는 익룡이라고 보고했다. 목뼈를 익룡의 날개 뼈로 오인했기 때문이다. 화석의 주인이 이렇게 말도 안 될 정도로 목이 긴 해양파충류였다고는 상상도 못했던 것이다. 빛 바랜 사진첩 같은 ... ...
얼굴 읽어 주는 수학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맞는 여러 종류의 마스크를 선보였다. “어제 만난 사람 첫인상이 참 좋았어.”사람을
처음
마주할 때, 대부분 가장 먼저 보게 되는 얼굴. 이처럼 얼굴은 첫인상을 결정하는 중요한 판단요소다. 그런데 좋은 첫인상은 단지 ‘느낌’에 불과한 건 아니다. 첫인상의 비밀 속에는 다름 아닌 수학이 ... ...
PART 2. 물리학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이라는 물질이 떠올랐다. 질화갈륨으로 파란색 LED를 만들 수 있다는 사실을 이론적으로
처음
밝혀낸 사람이 바로 나고야대의 아카사키 이사무 교수와 아마노 히로시 교수다. 아카사키 교수는 1974년부터 질화갈륨에 관심을 갖다가 1981년 나고야대 교수로 부임하면서 본격적인 연구를 시작했다. 당시 ... ...
PART 4. 화학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헬에게는 수백 년간 단단히 버텨왔던 아베 한계를 무너뜨리겠다는 도전의식이 있었다.
처음
에 그의 야심은 무모해보였다. 누구도 그의 꿈이 가능하다고 보지 않았다. 헬은 독일에 있는 여러 대학과 연구소에 지원했지만 번번이 떨어지고, 결국 유럽의 변방이라고 할 수 있는 핀란드 투르크대에 ... ...
PART 2.Y가 사라진 세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사람들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이름을 본 따 ‘헤르마프로디토스’라 불렀다.
처음
에 과학자들은 헤르마프로디토스가 결국 도태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성별이 3개였을 때는 반드시 어느 한 쪽이 도태되기 마련이다. 자손을 번성케 하려는 인류의 욕구는 가장 완벽한(건강한 자손을 많이 낳을 수 ... ...
[hot science] 개코보다 코끼리코!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생존환경에 따라 퇴화하기도 발달하기도 원래 인간을 비롯한 포유류의 조상들은 지구에
처음
등장했을 때 후각수용체 수가 비슷했다고 합니다. 그런데, 왜 후손들의 후각 능력은 달라진걸까요. 그리고 코끼리의 후각 능력은 왜 이토록 뛰어난 걸까요. 글의 서두에 언급한 요시히토 교수팀은 최신 ... ...
[career] 기숙사에서 매일 열리는 ‘비정상회담’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친구들이 용감하게 단비 같은 질문을 던져주면 오히려 좋아요.”윤종완 씨는 학교에
처음
들어왔을 때 “외국에 교환학생 온 느낌”이었다고 말했다. 잔디밭에서 프리스비(원반던지기)를 하고 노는 학생들을 보며 문화충격을 받았고, 영어를 사용하는 수업에서 자극을 받았다. 무엇보다 외국인들과 ... ...
[life & tech] 짝퉁 꼼짝 마!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누구에게도 지지 않는 베테랑 디자이너들이었지만, IT기술에는 문외한이었다. “
처음
에는 ‘스마트폰 카메라에 격자로 ‘기스’를 내볼까?’라고도 생각했어요. 정말 농담 안하고요.” 오 연구원이 쑥스러운 듯 ‘허허허’ 너털웃음을 터뜨리며 말했다. 수소문 끝에, 외부 업체와 협력해 미세 ... ...
PART 1. 일본 노벨상의 비결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톰슨-로이터의 예측에서 한국인 또는 한국계 과학자 두 명이 노벨상 후보로 거론됐다.
처음
있는 일이라 많은 사람이 관심을 보였다. 하지만 일본의 경우 톰슨-로이터에 후보로 오르는 학자가 거의 매년 나온다. 2008년의 경아카리 시즈오 교수(생리의학상)가 후보로 올랐고, 2009년에는 오가와 세이지 ... ...
INTERVIEW 2. 톰슨로이터가 지목한 한국인 후보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암을 보다 자세히 알아보는 연구다. 2년 전에는 서울대 의대와 공동연구를 시작했다.
처음
엔 의대로 진학한 이 소장이 의사의 길을 계속 걷지 않고 생명과학자로 돌아선 이유도 물어봤다. “의대 다니면서 암기가 정말 싫었어요. 그나마 당시 배운 유전학은 암기가 필요 없더라고요.” 그는 또 ... ...
이전
385
386
387
388
389
390
391
392
3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