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래
앞날
내세
차후
뒷날
내일
싹수
d라이브러리
"
미래
"(으)로 총 4,792건 검색되었습니다.
인터넷에서 만나는 초과학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후 과정연구원과 2명의 박사 연구원, 그리고 6명의 대학원생이 구성원이다. 초심리학을
미래
의 새로운 의사소통 수단으로 개발하는 이에 관심을 두고 있다.의식 연구 실험실 (http://eeyore.lv-hrc.nevada.edu/~cogno/cogno.html)1993년 네바다 대학에 세워진 실험실의 홈페이지. 인간의 행위와 자연 현상을 연과시켜 ...
2. 서비스로봇 빅4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크게 두가지. 아군 병사의 생명을 보호하고 적을 감시하라는 명령을 수행하는 것이다.
미래
전쟁은 지상전에서 가장 큰 변화를 일으켜 인공위성 등으로 원격통제하는 초소형 무인 비행체와 자살로봇이 사람을 대신하게 된다. 특히 비행기로 옮겨져 낙하산을 통해 적진에 투하되는 자살 로봇은 스스로 ... ...
4. 로봇과학자가 되는 길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역할을 향상시키기 위한 인간의 상상력은 아직 미진한 부분이 많다는 것이다.그는 "
미래
의 로봇은 내 손으로 만들겠다는 생각을 가진 젊은이라면 무엇보다도 로봇에 대해 끊임 없는 흥미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비록 당장은 로봇에 관한 구체적인 지식이 없다 해도 인간의 어떤 점을 로봇이 ... ...
Ⅰ. 현지취재, 미국 라인연구센터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거의 일치하는 장면들이었다.학자들은 보다 흥미로운 실험을 계획했다. 꿈을 꾸면서
미래
의 사건을 예측할 수 있을까. 실제로 이 일이 실험실에서 실현됐다. 영매 베센트는 진짜 초능력자인가1969년 영국인 영매(靈媒)베센트가 마이모니데스 연구센터에 초대됐다. 베센트는 평소처럼 잠을 자고 꿈을 ... ...
기술은 짧고 인생은 길다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대한전자공학회 회장, 과학기술처 차관, 한국과학기술원 원장 등을 역임했으며 '
미래
엘리트를 위한 뗄레마띠끄' 등 여러 권의 정보통신 관련 책을 저술했다. 초등학교 때 라디오에 취미를 붙여 매일 장사동 시장을 드나들던 일이 지금에까지 이어졌다. 부산 피난 시절 대학입시를 준비하던 ... ...
위기에 몰린 남성의 생식능력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것이다”라고 절규했다. 카슨이 화학살충제에 의한 새들의 멸종을 걱정했다면 콜본은
미래
의 우리 자식들이 사라질 것을 우려하고 있다. 카슨과 콜본은 둘다 여성이다.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인류의 생식능력이 호르몬 교란물질에 의해 도전받고 있다는 콜본의 주장에 대해 반론이 없는 것은 아니다. ... ...
행성의 이름은 어떻게 짓는가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대표할 수 있는 이름을 강력하게 지지한다.7. 태양계 명명에 관한 일반적인 논의에 있어
미래
를 내다봐야 하고, 우주개발이 진행됨에 따라 향후 요구되는 각종 조건들에 기초를 놓는 시도가 되도록 해야 한다.1976년에는 다음과 같은 규칙들이 첨가됐다.8. 정치적, 군사적, 종교적인 의미의 용어나 현대 ... ...
실패로 끝난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영적 감각’ 역시 변화하는 대상을 잘 감지할 것이다. 그렇다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미래
의 상황이 어떻게 변할지를 미리 알 수 있지 않을까.“사람은 누군가 자신을 주시하는 것을 감각적으로 느낀다”는 속설도 맞는 것 같았다. 타깃을 사람으로 선정하고 초능력자로 하여금 원격 투시를 ... ...
2. 유전자 알아야 오래 산다
과학동아
l
1996년 12호
상호작용, 의지 같은 정신적인 변수 등이 다르기 때문에 유전자형만으로 사람의
미래
가 운명론적으로 결정되지 않는다.질병유전자 3천개인간의 게놈 속에는 약 5-10만개의 유전자가 있다. 이 유전자 중 중요한 위치에 있는 염기배열이 변해 세포내의 기능체계를 헝클어 놓으면 사람은 질병에 걸리기 ... ...
5. 한국유전공학의 메카 생명공학연구소
과학동아
l
1996년 12호
제대로 이해해야 한다"는 것이 명효철박사(원장직무대리)의 생각이다."고등과학원은 먼
미래
를 보고 기초과학을 육성하는 곳이다. 한국이 과거처럼 당장 응용할 수 있는 것을 연구하거나 모방하던 시대는 지났다." 명박사는 기초과학이 육성되지 않고서는 한국이 더 이상 발전할 수 없다고 말한다 ... ...
이전
389
390
391
392
393
394
395
396
3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