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간
도중
사이
틈
중도
동안기후
기후
d라이브러리
"
동안
"(으)로 총 12,286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재 막는 과학 우리 집을 지켜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4호
기구 중에서도 화재 사고가 가장 많이 나는 기구가 바로 전기장판이에요. 작년 한 해
동안
전기장판으로 인한 화재는 150건이었답니다. 전기장판은 몸에 직접 닿는 것이기 때문에 사용할 때 특히 주의를 기울여야 해요. 일부분을 접어놓은 채로 사용하거나, 위에 무거운 물체를 올려놓으면 정기장판 ... ...
컴컴한 눈 대신 마음으로 연구 시각장애 뛰어넘은 수학자들
수학동아
l
2015년 04호
암산하기 때문에 일일이 필기하고 있던 기자보다 학생들이 훨씬 빨리 답을 내놨다. 오랫
동안
식을 암기해온 덕분인지 삼차방정식 여러 개를 외워 계산하는 데에도 별 어려움이 없어 보였다.비록 눈이 보이지는 않지만 손가락으로 책을 더듬고 점자 자판을 두드리면서 수학을 공부하는 학생들의 ... ...
바다 민달팽이 광합성의 비밀은 ‘먹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4호
바다 민달팽이가 어떻게 이런 색을 갖게 되었는지에 대한 연구 결과가 발표됐어요. 그
동안
바다 민달팽이가 광합성을 할 수 있다는 사실은 알려져 있었지만, 동물인 바다 민달팽이가 어떻게 식물처럼 광합성을 할 수 있게 됐는지 그 과정에 대해서는 잘 몰랐거든요. 연구팀은 바다 민달팽이의 ... ...
1억 번째 태양 사진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4호
관측하기 어려운 태양 활동에 대한 사진을 보내 왔어요. 1억 번째 사진을 기념해 NASA는 그
동안
SDO가 찍은 사진 중 의미가 큰 사진을 골라 공개했답니다. 화려한 태양의 모습을 감상해 보세요 ... ...
Part ➌ 건강한 숲에는 꽃이 핀다!
수학동아
l
2015년 04호
한다. 광합성으로 얻은 에너지의 일부를 꽃을 피우는 데 사용하기 때문이다. 만약 1년
동안
꽃과 열매를 만드는 데 쓴 에너지가 저장된 에너지보다 많다면, 나무는 에너지를 회복할 때까지 번식을 중지한다. 꽃을 피우지 않는 해에는 광합성으로 얻은 에너지를 그대로 저장해, 다음 활동을 대비한다. ... ...
[생활] 미디어아트팀, 태싯그룹 새로운 소리를 발견하다!
수학동아
l
2015년 04호
만났다.한 피아니스트가 무대에 올라 피아노 앞에 앉았다. 그런데 정확히 4분 33초
동안
가만히 앉아 있기만 했다. 그리곤 일어나 무대에서 나가버렸다. 당시 사람들은 큰 충격을 받았다. 존 케이지의 ‘4분 33초’는 그렇게 세상에 나왔다. 악보에는 ‘태싯’이라고 적혀 있었다. 태싯은 ‘침묵’을 ... ...
PART2. 대기업 인사담당자의 솔직토크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익혀선 응용단계까지 이를 수 없다. 중·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대학, 대학원까지 긴 시간
동안
도제식으로 훈련해온 사람만 가능한 일이라는 게 기업의 냉정한 평가다. 안 교수는 “반면 인문학적인 소양은 책이나 사회경험 등 다양한 방법으로 쌓을 수 있다”며 차이를 뒀다.②제조회사 직원이라면 ... ...
[과학뉴스] 슈퍼기억력 노인의 비밀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말이 있다. 신체 나이는 80대지만 50대의 기억력을 가진 사람들을 일컫는 말이다. 그
동안
이들이 어떻게 기억력을 유지할 수 있는지 밝혀지지 않았는데, 최근 슈퍼에이저가 다른 사람들과 다른 특이한 뇌 구조를 지니고 있다는 사실이 뇌과학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미국 노스웨스턴대 창기즈 겔라 ... ...
[Hot Issue] 셰일가스, 물과의 전쟁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셰일가스 시추정 주변에서 발생한 지진을 휴대용 지진계로 직접 측정한 결과 14개월
동안
무려 109회(규모 0.4~3.9)나 발생했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지하에 주입한 물이 단층면으로 흘러들어 마찰력을 약화시키는 바람에 지진이 일어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Interview 참고). ... ...
[Knowledge] 달리기 명수 타조공룡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타조공룡의 일반적인 특성이었던 것이다.[데이노케이루스의 거대한 앞발(왼쪽)은 오랫
동안
미스터리였다. 이번에 전체 몸 구조가 밝혀지며 몸에 비해 특별히 큰 건 아니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위는 복원한 모습. 육중하기에 다른 타조공룡과 달리 빨리 달리지 못했다. ... ...
이전
389
390
391
392
393
394
395
396
3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