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으)로 총 11,982건 검색되었습니다.
- 퍼레이드의 여왕과 함께 놀이동산으로 고고!어린이과학동아 l201009
-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 때보다 같은방향으로 돌 때 속도가 훨씬 빠르게 느껴진다. 두 개의 속도가 서로 합쳐졌기 때문이다.놀이동산은 물리학 실험실!저 롤러코스터 좀 보세요. 이제 막 높은 곳에서 떨어지려고 해요!음. 이제 막 위치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바꾸기 시작했군.네? 에너지요?높은 곳에 ... ...
- 꼬마 천문학자들의 천문대 탐험!어린이과학동아 l201009
- 진화하는지 연구하는 데 쓰인답니다. ▲ 1.8m 망원경의 모습. 낮에는 관측하지 않아서 덮개를 덮어 놓았다.또 다른 재미, 천문과학관!우리는 1.8m 도약망원경을 보고 천문학자들이 망원경에 들어오는 별빛을 관찰하고 분석하는 관측실을 구경했어. 하늘과 맞닿아 있는 이 곳에서 밤에 별을 보면 어떤 ... ...
- 달리기 시합의 우승자는 누구?어린이과학동아 l201009
- 특히 가장 긴 중간 발가락 길이의 4~5배예요. 이 방법은 미국의 고고학자 알렉산더가 닭, 개, 돼지, 타조 등이 걷고 뛰는 과정에서 나온 발자국을 연구해 만들었어요. 공룡의 속도를 측정할 때 주로 쓰인답니다. 공룡의 속도는?자, 이제 심사위원들이 공룡들의 발자국을 보면서 속도를 알아 내고 ... ...
- 다리에서 에펠탑까지 , 도시가 변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009
- 열렸어요. 세계적인 문화행사인 박람회에서는 당시의 첨단 기술들이 소개되곤 했기 때문에, 여러 화가들이 새로운 도시 풍경의 예로 그 모습을 그렸답니다.철과 유리가 바꾼 도시 풍경프랑스 화가 마네가 1867년 파리에서 열린 만국박람회의 풍경을 그린 그림이에요. 구경하는 시민들의 여유로운 ... ...
- 열쇠 속 수학수학동아 l201009
- 필요함을 깨닫는다.❸ 핀을 고정하기 위해 상자 윗부분에 용수철을 매단다. 그리고 빗면 5개를 연결한 모양을 본 따 열쇠의 톱니 부분을 도구로 준비한다.▶ 용수철로 상핀이 고정됐으므로 하핀의 높이가 각각 달라지는데, 열쇠 톱니 부분의 높낮이는 서로 다른 하핀의 높이로 결정한다.열쇠에 있는 ... ...
- 디지털 자물쇠수학동아 l201009
- 파동함수를 이용한다. 이 함숫값은 사람마다 다르다. 이것을 이용해 홍채인식기는 각 개인의 정보를 보관한다.“4000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자물쇠와 열쇠는 지금도 널리 쓰이고 있다. 단지 지금은 사용하는 곳과 쓰임새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바뀌었을 뿐 우리의 소중한 것을 지켜 준다는 사실은 ... ...
- Part 2. 아름다운 한복수학동아 l201009
- 띠가 숨어 있다는 말을 들어 본 적 있니? 한복 바지 안에는 뫼비우스의 띠가 무려 2개나 숨어 있어. 뫼비우스의 띠는 긴 직사각형 모양을 한 번 비틀어 꼬아 붙인 띠야. 앞뒤가 없는 독특한 띠지.한복 바지에 필요한 옷 조각 중 사다리꼴 모양으로 생긴 큰사폭에 삼각형 모양의 작은 사폭을 연결할 때 ... ...
- 2014년을 향해 우리나라 수학자가 달린다수학동아 l201009
- 시작을 알리는 개막식이 열렸어. 인도 대통령 프라티바 파틸도 이 자리에 함께했지.개막식에서는 대망의 필즈상, 네반린나상, 가우스상, 천상 시상이 있었어. 내가 받는 상도 아닌데 어찌나 떨리던지. 첫 번째 영광의 주인공은 이스라엘 수학자 엘론 린덴스트라우스였어. 상을 받기 위해 시상대에 ... ...
- 빅뱅의 비밀수학동아 l201009
- 10년형을 받는다. 둘 다 자백하면 둘 모두 5년형을 받는다. 둘 다 자백하지 않으면 둘 다 6개월형을 받는다."이런 조건이라면 당연히 둘 다 자백하지 않는 편이 낫습니다. 하지만 혹시 친구가 배신하고 자백하면 어떡하나 불안해집니다. 까딱 잘못하면 혼자 10년을 감옥에 갇혀야 합니다.사람은 ... ...
- 극한이의 위기탈출 넘버3어린이과학동아 l201009
- 천재적으로 조립해 드디어 절벽 위로 올라왔어. 절벽 위에는 숫자와 기호가 써 있는 여러 개의 밸브가 달린 수도관이 복잡하게 얽혀 있고, 그 끝에 수도꼭지가있었어. 그런데 수도꼭지에는 이런 경고문이 적혀있었지.‘이 물은 식스로만 마실 수 있습니다.’ 식수라는 글자를 잘못 쓴 걸까? 아니면 ... ...
이전3893903913923933943953963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