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d라이브러리
"
학과
"(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5 문명과 흙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중동지역과 지중해 연안에서 찾을 수 있다.당시 중동지역과 지중해 연안에서 발달된 문
학과
예술, 과학기술의 이면에 과도한 환경파괴가 수반됐다는 사실은 널리 알려져 있지 않다. 기원전 7천년경 티그리스강과 유프라테스강 주변은 삼림이 울창하고 토지생산력이 풍부한 지역이었다. 이러한 ... ...
뼈·관절수술의 충실한 로봇 조수등장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Robodoc)이라는 이름을 가진 일종의 로봇이다. 바가와 캘리포니아대학(데이비스 소재) 수의
학과
합 폴교수는 병든 골반뼈에 플라스틱 구(socket)를 채워넣고, 손상된 넙적다리뼈에 금속 핀을 박을 때 그에 앞서서 수행하는 구멍뚫는 작업을 보다 정밀하고 정확하게 해내기 위해 로보닥을 만들었다 ... ...
1 토양형성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단순히 암석이 부서진 것이 흙이 아니다. 기후나 식생, 지형 등에 따라 복잡한 유기적 과정을 거쳐 흙은 탄생한다.흙에 관한 생각과 정서는 사람마다 큰 차이를 보인다. 그러나 과거 20~30년전까지만 해도 농사를 주업으로 했던 우리 민족에게 있어 흙이 가지고 있는 의미는 매우 각별한 것이다. TV를 ... ...
규슈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비교적 고위도 지방임에도 불구하고 열대 또는 아열대 지역에 서식하고 있는 원숭이가 살고 있다는 것은 일본열도가 남쪽에서 북상해 왔으리라는 생각을 갖게 한다.규슈(九州)는 섬나라 일본에서 세번째로 큰 섬이다. 전체 면적은 4만4천3백79㎢로 일본 총면적의 약 11.4%를 차지한다. 일본열도의 4대 ... ...
1 네가지 벽 허문 21세기 견인과학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다루던 식물세포 조직배양을 지금은 공과대학 약학대학에서도 취급하고 있다. 또 원예
학과
에서는 유전자를 다루기 위해 미생물을 수시로 다루고 있다. 유전자에 관해서, 생물공학에 관해서 이야기할 때 이들 전공분야간에 벽이 없다. 넷째 바이오테크놀로지는 산업의 벽도 허물었다. 인체호르몬을 ... ...
갯지렁이의 별난 생태계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부지런한 농부처럼 바다 밑바닥 구석구석을 일구는 갯지렁이는 해양생태계의 환경미화원 노릇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다.바다 속의 생물로 물고기나 플랑크톤 같이 해수 중에 살고있는 것만 생각 하기 쉽다. 그러나 실제로는 바다 밑바닥에 높은 밀도로 생물들이 분포하고 있다. 이러한 해저의 저서 ... ...
(4) 공룡 연구의 시작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광활한 국토를 가진 중국과 몽골은 세계적으로 유명한 공룡화석의 보고다. 20세기 전반에 중국 서부의 미개척지로 진출한 중국인들은 그곳 주민들이 공룡의 척추뼈를 기름등잔으로 사용하는 것을 목격했다.1776년 거대한 턱뼈를 가진 '바다뱀'의 화석이 네덜란드 남부의 백악기 지층에서 발견돼 큰 ... ...
여성과학자들이 몰려온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가로 막는 걸림돌들을 이렇게 제시했다."여학생들의 자부심 결여가 우선 문제예요
학과
성적이 남학생보다 앞서는 여학생도 스스로 자립심이 부족하다고 느끼며 다른 사람에 의한 자기비판을 잘 받아들이지 못합니다. 또 대중앞에서 자신의 주장을 내세우기 어려워하지요. 이같은 성향은 여학생들의 ... ...
'92 노벨상 수상자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분해과정의 속도를 산출하는 RRKM이론, 그리고 반응분자간의 충돌현상을 양자역
학과
고전역학을 절충한 방식으로 기술하는 이론 등을 들 수 있다.화학자의 관점에선 자연계에서 일어나는 많은 현상들, 이를테면 생명체의 탄생 성장 번식 사망 소멸이라든가 암석의 생성과 변성 등이 다 미시적인 ... ...
(2) 공룡은 왜 사라졌나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것이다.그러한 사건은 마치 1983~85년간의 엘 니뇨(El Nino)해류가 그랬던 것처럼 해양화
학과
해양 생물 및 세계 기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북대서양의 심해저 시추 코어의 기록을 읽으면 갱신세(Pleistocene)에 약 9℃의 오르내림이 있었는데, 이는 육상의 기온상승의 자료와 일치한다. 그러므로 이 설은 ... ...
이전
388
389
390
391
392
393
394
395
3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