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생리의학상 - 신속 정확 세포 택배회사과학동아 l2013년 11호
- 프린스턴대, 슬로언-케터링 연구소, 콜럼비아대를 거쳐 지금은 예일대 교수로 꽤 여러 곳을 옮겨다녔다.마지막 수상자인 토마스 쥐트호프 교수는 독일에서 태어나 1982년 괴팅겐대에서 의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3년 미국 텍사스대 남서부의학센터에서 박사후연구원 생활을 시작한 쥐트호프는 ... ...
- 모범생 스트레스 이겨낸 통신 전문가 (최성현 서울대학교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결국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하는 게 핵심입니다. 내가 뭘 좋아하는지 알려면 다양한 곳에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내가 주관이 없으면 내가 뭘 좋아하는지 찾기 힘들기 때문입니다.” 좋아하는 분야를 찾기 위해서는 다양한 관심과 경험이 필요하다는 게 최 교수의 지론이다.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 ...
- 꿈꾸는 삶이 아름다운 삶이다 (정형민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나온 점수를 들고 담임교사에게 적당한 곳에 보내달라고 했단다. 그래서 추천받은 곳이 건국대학교 축산대. “제가 강남 한 복판에서 살았거든요. 그런데 그 때는 경기고, 상문고, 서울고 등등 해서 서울대 입시경쟁이 한참 붙을 때였습니다. 그래서 어느 학교가 서울대를 더 많이 보내냐 할 ... ...
- Part ∥. 우리는 왜 입으로 딴짓을 할까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다른 한 팔 삼아 절벽을 오른다. 빨판으로 절벽을 붙잡고 지탱하는 동안 입으로 더 높은 곳을 붙잡아 몸을 끌어올리는 것이다. 위아래로 달렸다는 점만 빼면 사람이 두 팔로 절벽을 오르는 원리와 같다. 이 물고기는 이런 방법으로 무려 90m나 되는 폭포 절벽을 기어오르기도 한다. 햄스터의 입 안에 ... ...
- 박쥐의 ‘나뭇잎 보청기’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뜻이다. 반대 경우는 약 1.3배 정도 크게 들리는 데 그쳤다. 연구팀은 이 집이 박쥐가 먼 곳의 동료와 대화할 때 쓰인다고 추측했다.이 연구 결과는 ‘영국왕립학회보B’ 10월 16일자에 실렸다 ... ...
- [hot science] 지구의 중력에 감사하라!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있습니다. 우주로 튕겨 나가려는 원심력과 지구가 끌어당기는 중력이 균형을 이루는 곳에 놓여있지요. 대체로 상공 800~1000km 구간에 몰려있습니다만, 이들로부터 완전히 안전한 지역은 없답니다.주인공이 타고 있던 우주왕복선은 바로 이 우주쓰레기에 휩쓸려 파괴됩니다. 러시아에서 미사일로 자국 ... ...
- 외국계 회사에서 영어보다 중요한 것은 공학에 대한 열정 (전용구 퀄컴 씨디엠에이 테크날러지 코리아 이사)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좋을 일을 많이 합니다만, 중소기업들도 중요한 솔루션을 개발하는 등 제 역할을 하는 곳이 많습니다. 대학생이라면 ‘어떤 회사에 들어가겠다’는 것보다는 ‘어떤 일이 좋다’는 목표를 세워서 본인의 관심을 구체화하기 바랍니다.” 대부분의 회사들이 9시간 이상 근무를 한다. 회사에서 ... ...
- 노화 정복 꿈을 실현한다 (박종화 테라젠이텍스 연구소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학문을 연구하는,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시기에 가장 아름다운 젊은이들이 있는 곳이다. 그래서 대학 교육이나 직업 관련해서 젊은이들에게 자유를 줘야 하고 가장 아름다운 인생을 즐길 수 있도록 해줘야 한다는 것이다. “하고 싶은 것을 하게 하고 비판적인 사고를 하게 해야 사회가 ... ...
- 과학기술자가 창업하는 나라를 위해 (천종식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 생명과학 벤처 ‘천랩’ 대표)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사실 지금 손에 든 전화, 집안에 있는 냉장고, 먹는 음식, 심지어 우리 몸까지 모든 곳을 ‘점령’하고 있는 생물인데 아쉽죠.” 생명과학 연구자 개인이 쓰면 자신과 일부 연구자만 쓰고 마는 기술이 되지만, 이것이 IT 기술과 접목해 널리 퍼지면 일반인도 쓸 수 있는 보편적인 기술이 된다. ... ...
- 짜릿한 수학, 평생 즐기는 세계적인 수학자 (금종해 고등과학원 원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두뇌로 하는 연구이기 때문에 매일같이 영감이 떠오르고, 깨달음의 희열을 맛볼 수 있는 곳이라면 더 좋겠다고 했다. 인터뷰를 마치며 수학자를 꿈꾸는 학생들에게 일본의 수학자 히로나카 헤이스케가 쓴 이란 책을 추천했다. 다음과 같은 책의 한 구절을 인용하며, 마지막으로 ... ...
이전3883893903913923933943953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