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 인터뷰] 번개 앞에 정말 위험한 물건은?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5호
- 그래서 번개가 땅으로 내리치는 ‘낙뢰’는 피뢰침이나 나무 같이 높고 뾰족하게 솟은 곳으로 끌리게 된다네. 휴대전화를 쓰다 낙뢰를 맞은 사람도 주변이 탁 트인 공간에 홀로 서 있어서 몸이 마치 피뢰침 같은 역할을 한 게지. 사람 몸도 전기가 통하는 ‘도체’거든.뭐라고? 번개 칠 때 아예 밖에 ... ...
- 세상에서 가장 무서운 여행 괴담 잡는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5호
- ➊ 비행기 안팎의 기압은 1기압 가까이 차이난다. 공기는 기압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는데 그 힘은 무척 강해서 사람조차 밀어낼 수 있다.➋ 기압차로 인한 공기의 힘은 비행기의 창이나 금속을 부술 정도로 강하다. 우주와 같은 진공 공간에서는 몸이 터질 수도 있을 정도다.괴담을 ... ...
- 남해를 찾은 귀한 손님 ‘팔색조’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5호
- 멸종위기종으로 지정할 만큼 숫자가 줄어들었어요. 우리나라에서도 제주도가 아닌 다른 곳에서는 찾아보기 어렵지요. 그런데 2010년 한려해상국립공원에서 1쌍을 처음 발견한 뒤, 3년이 지난 지금은 적어도 10쌍이 넘는 팔색조 무리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답니다. 남해를 찾은 팔색조가 새끼를 잘 ... ...
- 물놀이 안전, 명예기자가 지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5호
- ❸ 소름이 돋고 피부가 땅기면 몸을 따뜻하게 하고 휴식한다.❹ 물이 갑자기 깊어지는 곳은 특히 위험하므로 주의한다.❺ 몸이 좋지 않을 때, 배가 고플 때, 식사 직후에는 수영을 하지 않는다.❻ 수영능력을 과하게 뽐내거나, 위험한 행동은 하지 않는다.❼ 오랜 시간 또는, 호수나 강에서 혼자 ... ...
- 한눈에 보는 지구 산림 지도!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4호
- 많다는 의미예요. 반면 도시가 발달했거나 바위가 많은 산, 사막, 눈으로 덮인 설원 같은 곳은 옅은 녹색이나 베이지색으로 표시돼 있어요. 예를 들어 우리나라의 경우 산이 많은 동쪽 지역은 색이 진하지만 서울 부근은 베이지색에 가깝지요.NASA는 얼마 전 1년간의 산림 사진 데이터를 모아 영상으로 ... ...
- 빨간 박테리아 줄까, 파란 박테리아 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4호
- 실리기도 했답니다.다만 바기나투스는 온도가 낮은 곳, 스텐스트로피트는 온도가 높은 곳을 좋아하지요. 연구팀은 앞으로 지구 온난화가 계속되면 스텐스트로피트가 더 많은 지역을 차지하고, 이 때문에 토양 생태계까지 바뀔 수 있다고 보고 있어요. 기후 변화가 눈에 보이지 않는 미생물이나 ... ...
- 지구사랑탐사대가 추적한 멸종위기종 수원 청개구리의 합창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4호
- 숲과 나무를 파헤치고 엄청난 양의 제초제를 뿌리기 시작하면 야생동물들은 더 이상 갈 곳이 없어요. 지구사랑탐사대가 할 수 있는 일이 없을까요?지구사랑탐사대 맛보기에 참여해 보세요올해 11월까지 지구사랑탐사대 1기가 활동할 거예요. 2기는 내년 1월에 모집할 계획이고요. ‘어린이과학동아’ ... ...
- 빗방울이 뚝뚝뚝뚝 떨어지는 날에는 이런 우산 어때?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4호
- 수 있겠지? 손잡이에 자석이 들어 있기 때문에 우산꽂이가 없어도 우산 손잡이를 철로 된 곳에 붙여서 보관할 수 있어.디자이너의 한마디황보현 커플 우산 디자이너저는 어렸을 때부터 디자이너를 꿈꾸지 않았어요. 제가 좋아한 것은 발명이었지요. 초등학교 때부터 발명을 하고, 제가 발명한 것을 ... ...
- 위생해충에 대한 오해와 진실, 진드기는 억울해!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3호
- 관련 질병: 피부염, 천식, 비염 등집먼지진드기, 계피로 없애자!집먼지진드기가 있는 곳에 각각 깻잎, 고추, 마늘, 계피와 같은 향이 강한 물질을 함께 놓고 지켜봤어요. 실험 결과 계피 주변에 있는 진드기들만 모두 죽는다는 사실을 알아냈답니다. 또한 모기들도 계피 향을 싫어한다는 연구 결과도 ... ...
- 쉿…! 배아 세포가 자라고 있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3호
- 조직으로 자라는 시간이나 크기에 상관없이 과정을 계속 관찰할 수 있어요. 세포의 깊은 곳까지도 볼 수 있지요. 연구가 계속 이어지면 지금껏 감춰져 있던 생명의 새로운 비밀을 벗겨낼 수도 있답니다 ... ...
이전3843853863873883893903913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