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1,681건 검색되었습니다.
When Animals Think and Talk
과학동아
l
201010
카드를 함께 사용해 ‘홍수’라는 말을 만들었다. 칸지가 살고 있는 연구소가 위치한
미국
아이오와 주에 홍수가 발생한 적이 있다. 홍수가 잦아든 뒤 보노보들은 그들이 보았던 것(홍수)을 지칭하기 위한 단어를 발명한 것이다. 보노보들은 또한 ‘빵’ 카드, ‘치즈’ 카드를 ‘토마토’ 카드와 ... ...
'사랑의 매'가 효과 없는 이유
과학동아
l
201010
게르쇼프 박사는 1940년부터 62년 동안 이뤄진 체벌에 관한 연구 88개를 분석한 논문을
미국
심리학자가 발행하는 ‘심리학 회보’에 발표했다. 이 논문에서 게르쇼프 박사는 부모의 체벌을 받고 자란 아이의 행동 특성에 대해 설명했다. 논문에 따르면 체벌은긍정적인 면에서 효과가 거의 없는 반면 ... ...
세계가 들썩이는 산업비타민 전쟁
과학동아
l
201010
일본은 ‘도시 광산’이라는 단어까지 만들어내며 이런 재활용 사업에 집중하고 있다.
미국
이나 독일도 산업에 쓰이는 희소금속의 40% 가량을 폐전자제품에서 얻어 쓰고 있다. 한국정부도 일본을 따라 ‘도시 광산 프로젝트’를 시행할 계획을 세우고 정부부처별로 업무를 조율하고 있다 ... ...
게임 속으로 풍덩~ 내 몸이 게임기가 되는 세상
과학동아
l
201010
즐길 수 있는 토대가 생긴다.뇌파를 이용한 인터페이스도 커다란 가능성을 품고 있다.
미국
의 뉴로스카이가 개발한 뇌파 인터페이스 장치 ‘마인드셋’은 뇌파를 감지해 집중하고 있을 때와 편안하게 있을 때를 구분한다. 이를 이용해 게임에 재미있는 요소를 도입하기도 한다.예를 들어, ... ...
‘곰보 자국’이 달 과거 알려줄까
과학동아
l
201010
있는 곰보 자국 ‘크레이터’의 모양이 계속해서 바뀌고 있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2008년에 발사한 달 관측위성(LRO)이 달 표면을 고해상도로 촬영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이같은 사실을 알아내 과학학술지 ‘사이언스’ 9월 17일자에 소개했다. 크레이터는 유성이 달 표면에 ... ...
긍정의 힘으로 만든 나노 고분자
과학동아
l
201010
세라믹 같은 충진제를 넣어 강도를 높이거나 외형을 바꾸는 작업이었다.그런데 2000년
미국
산타바바라 캘리포니아대로 안식년을 가면서 나노과학을 처음 알게 됐다. 마이크로입자의 1000분의 1에 해당하는 작은 입자를 만들어 활용하는 분야다. 세라믹이나 촉매 분야에서는 30~40년 전부터 연구가 ... ...
당신이 감각에 속고 있다면?
과학동아
l
201010
그들은 맛 세포 표면에서 짠맛 물질이 붙을 수 있는 수용체를 발견한 사람들이었다.
미국
에서는 이미 맛 조절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1968년 세계 최초로 맛과 냄새를 연구하기 위해 필라델피아에 세운 모넬화학감각연구소는 미각과 후각과 관련된 맛 조절기술에 대한 연구를 7~8년 전부터 진행 ... ...
탈탈, 슥슥~. 빨래 개는 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9
좀 알려 주세요.지구? 그 곳에서도 최근 빨래 개는 로봇을 만들었다 던데요? 지난 4월,
미국
버클리대학교 전자공학연구팀과 컴퓨터학과가 ‘PR2’라는 로봇을 만들었대요. 저도 PR2도빨래 개는 비법은 같아요. 수건을 집어들고 카메라눈 4개로 관찰해서 수건의 모양을 측정해요. 그런 후에 수건을 ... ...
우리나라 학생의 뛰어난 등호 이해력
수학동아
l
201009
말했습니다.연구원들은 중국의 수학 교과서에는 학생들을 위한 좋은 예제가 많으나
미국
의 수학 교과서는 등호에 대한 관계형 예제가 부족하다는 문제점을 발견했습니다. 우리나라도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부족한 부분을 보완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 ...
클럭에 매달린 프로세서에는 미래가 없다
과학동아
l
201009
GPU용 표준 언어(OpenCL)를 발표했다.슈퍼컴퓨터 연구자들도 GPU의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
미국
국가슈퍼컴퓨팅응용센터(NCSA)의 존 타운스 기반시설책임자는 GPU에 이렇게 많은 고유 라이브러리나 응용프로그램이 개발돼 있는 줄 몰랐다”며 “차세대 슈퍼컴퓨터는 GPU일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 ...
이전
388
389
390
391
392
393
394
395
3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