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1,681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으로 읽는 ‘정의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201010
그림자정의란 무엇인가 9강 우리는 서로에게 어떤 의무를 지는가? | 충직 딜레마
미국
과 멕시코 국경 지대 보안관은 최근 국경 감시에 인터넷을 활용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곳곳에 설치된 카메라에 녹화된 내용을 인터넷으로 생중계하면 국경 감시를 돕고 싶은 시민은 인터넷에 접속해 지켜보다 ... ...
3D 기술로 살아난 백제의 혼
과학동아
l
201010
마쳐컴퓨터 시뮬레이션 기술을 이용해 복원한 최초의 ‘도시’는 어디일까. 2007년 6월
미국
버지니아대 버나드 프리셔 박사팀은 서기 320년경 콘스탄틴 대제 시절의 로마 모습을 완벽하게 재현했다. 이 ‘로마의 재탄생(Rome Reborn)’ 프로젝트를 위해 연구팀은 남아있는 로마의 유적을 레이저 스캐너로 ... ...
하얀 이 검은 이, 자연선택의 힘!
과학동아
l
201010
숙주와 기생생물 사이에서도 은폐색이 중요한 진화의 요인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미국
유타대 생물학과 사라 부시 박사와 동료들은 새의 깃털에 기생하는 ‘깃털 이’의 몸 색깔을 조사한 결과 깃털 색깔과 비슷한 경우가 많았다고 ‘아메리칸 내추럴리스트’ 10월호에 보고했다. 연구자들은 조류 ... ...
별들의 세계도 약육강식
과학동아
l
201010
다른 별이나 거대 행성을 잡아먹으며 자란다는 증거가 포착됐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찬드라 엑스선우주망원경을 이용해 ‘BP피스키움’라는 별을 관측한 결과 다른 별이나 행성을 잡아먹은 흔적을 발견했다고 9월 전했다.BP피스키움은 태양과 비슷하지만 좀 더 나이든 별로, 먼지와 가스로 ... ...
“비타민B가 치매 막는다”
과학동아
l
201010
교수팀은 비타민B를 꾸준히 먹으면 뇌가 수축하는 현상을 줄여준다는 연구 결과를 ‘
미국
공공과학 도서관 온라인 학술지(PLos one)’ 9월호에 발표했다.연구팀은 기억력이 떨어진 70대 노인 168명에게 3가지 비타민B(B6, B9, B12)를 2년 동안 먹게 했다. 그 뒤 기억력과 언어능력 같은 정신 기능과 관련된 ... ...
초파리의 짝짓기에서 인간의 뇌를 보다 - 분자신경행동학 연구실
과학동아
l
201010
관련이 있는데 우리가 아직 모를 수 있다”고 말했다. 밉 단백질에 대한 연구는 ‘
미국
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다.“비엔나에 있는 연구소가 훌륭하다고 해서 연구원으로 가봤더니 사람들이 우리보다 더 똑똑한 건 아니에요. 하지만 그들은 이야기를 많이 했어요. 서로서로 의견을 말해주고 ... ...
태양 쓰나미가 몰려온다
과학동아
l
201010
예정이다. 일본도 유럽연구진과 함께 HINODE 위성을 운영하고 있다.한국천문연구원은
미국
뉴저지공대와 함께 ‘한국형 태양전파폭발위치감지기’(K-SRBL) 개발을 마치고 본격적으로 우주환경정보 서비스를 시작할 준비를 하고 있다. 김연한 그룹장은 “지난 9월 9일 우주환경 정보를 이용하고 있거나 ... ...
전자책 나가신다, 종이책 물렀거라!
과학동아
l
201010
‘읽을 만한 게’ 별로 없는 게 현실이다.공공 데이터 서비스 분야에서도 갈 길이 멀다.
미국
은 비영리 아카이브 사이트가 여러 곳 있어 판권이 끝난 180만 권이 넘는 책을 무료로 다운받을 수 있다. 친절하게 이펍(ePUP)같은 전자책 파일로 포맷된 책도 많다.사실 전자책단말기는 손안의 ... ...
한국 수학 필즈상에 도전장 내다
과학동아
l
201010
교수가 된 인재다.이 분야에 주목해야 할 젊은 수학자가 한 명 더 있다. 내년 가을부터
미국
매사추세스공대(MIT)에서 강의할 예정인 신석우 연구원(32)이다. 신 연구은 보형형식과 갈루아표현 등을 연구한다. 2008년 프린스턴 고등연구소의 수학연보에 소개한 갈루아 표현에 관한 논문이 올해 주요 ... ...
최초의 과학 찾아 떠나는 시간여행
과학동아
l
201010
어디에서 왔는지를 알아야 우리가 누구인지, 우리가 어디로 가는지 알 수 있다.”
미국
하버드대 사회생물학자 에드워드 윌슨이 한 말이다. 하지만 우리는 인간이 어떻게 탄생했는지 아직 100% 확실한 결론을 내지 못하고 있다. 인간은 창조됐는가, 진화했는가. 인간이 유인원에서 진화했다는 주장 ... ...
이전
385
386
387
388
389
390
391
392
3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