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상"(으)로 총 13,389건 검색되었습니다.
- [Hot Issue] 조선시대에도 5차 방정식을 풀었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부분이 많았다.김 교수는 “당시 조선이 스스로 달력을 만든다는 것은, 외교적으로 더 이상 원나라의 지배를 받지 않겠다는 의미로 해석될 여지가 있었다. 원나라에서 산학을 배워올 수도 없는 노릇이었다”며 “그래서 당시 산학자들은 중국 책을 독학해서 어려운 계산을 해결한 것”이라고 말했다 ... ...
- [Life & Tech] 하늘공원이 품은 것은?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알고 보니 효자 공원이었네~.”갈대? 억새? 산에서 만나는 건 다 억새!한껏 익어 더 이상 푸르지 않은 키 큰 식물들이 바람결을 따라 움직이며 햇빛을 반사합니다. 장관 앞에서 소녀는 넋을 잃습니다. “소년아, 그러지 말고 내 마음을 닮은 갈대들을 좀 즐겨보렴. 깊어가는 가을, 광활한 초지…, ... ...
- 당구공에서 인공심장까지! 플라스틱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붙어 있는 줄 몰랐네. 이건 말로만 듣던 플라스틱 먹는 바다 미생물? 그럼 난 이제 더 이상 쓰레기가 아닌 자연의 일부가 되겠구나. 아~, 행복해! 다음엔 친환경 플라스틱으로 만든 인형으로 돌아올 테니 조금만 기다려 줘~ ... ...
- [지식] 접기+자르기+수학=무한한 가능성!수학동아 l2015년 09호
- 지나도 변함없는 아저씨의 손놀림에 감탄을 멈출 수 없었지만, 한 가지 의문이 생겼다.‘이상하다, 종이접기 아저씨가 접기만 하는 게 아니네….’인기는 가위질 덕분!그렇다. 정확히 말하면 김영만 선생님(종이문화재단 평생교육원장)은 ‘종이접기 아저씨’라기보다는 ‘종이공예 아저씨’다. ... ...
- PART3. 외계행성 탐사 전성시대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제2의 지구를 찾았다.’ 요즘 신문이나 방송을 보면 하루가 멀다 하고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외계행성을 찾았다는 소식이 뜬다. 특히 지난해부 ...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PART2. 탐사선 : 위대한 여정의 시작BRIDGE. 우리를 부르는 이상한 외계행성들PART3. 외계행성 탐사 ... ...
- [Photo] 전직 CFO의 눈에 비친 중국의 풍경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해서도 안 된다. 풍경 사진작가에게는 날씨가 왕이다. 날씨를 믿고 따르면 상상한 것 이상의 마법 같은 사진을 자연이 선물할 것이다. 그 기회를 놓치지 않기 위해서는 제 시간에 그 장소에 도착해야 된다. 그것은 오직 당신의 행운에 달렸다.”누군가는 그의 풍경 사진을 보고 ‘비현실적’이라고 ... ...
- [Hot Issue] 떠오르는 사물인터넷?과학동아 l2015년 09호
- 하드웨어가 크게 필요하지 않다. 때문에 프린스를 이용하면 다른 암호에 비해 10배 이상 작은 칩을 사용할 수 있고, 전력은 80배 가량 덜 소비된다.또 하나의 해법은 ‘부분암호화(Partial encryption)’다. 단어 뜻 그대로 메시지 중 일부만 암호화하는 기법이다. 기본적인 원리는 RSA 혹은 AES 알고리듬을 ... ...
- [Knowledge] 에너지를 태워주는 너란 지방, 베이지색지방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쥐에 투여한 340g의 레스베라트롤은 굉장히 많은 양”이라며 “사람에 적용하려면 1kg 이상의 레스베라트롤을 먹어야 하는데 이는 비현실적이다”라고 비판했다. 나아가 최 교수는 “갈색지방이나 베이지색지방이 실제로 체중감량까지 이어질지도 아직 미지수기 때문에 다이어트 약을 논의하기엔 ... ...
- [Life & Tech] UC버클리에서 뜨거운 여름을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추가로 공부하게 만들어요. 솔직히 이 정도로 공부했는데 구글에 취직을 못하면 그게 이상하겠다 싶더라고요.”진우 씨를 만났을 때 그는 중국계, 아프리카계 미국인 친구들과 함께 기숙사에서 4시간째 조모임을 하는 중이었다. 목소리에서 자신감이 묻어나왔다. 학교 숙제로 거의 매일 모여 버전을 ... ...
- [생활] 조선시대 최고의 궁궐에서 수학데이트수학동아 l2015년 09호
- 3000여 년 전 중국의 이라는 책에 등장하는데, 피타고라스 정리보다 무려 500년 이상 앞섰답니다.그런데 왜 하필 구고현의 정리를 썼을까요? 측정 도구가 발달하지 못했던 그 옛날에는 직각을 찾는다는 게 쉬운 일이 아니었어요. 그래서 건물을 지을 때, 구고현의 정리를 이용해 3:4:5라는 길이 ... ...
이전3873883893903913923933943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