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상"(으)로 총 13,389건 검색되었습니다.
- 꿀벌이 새 집을 찾는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벌집이 커야 한다는 거예요. 벌집의 용량은 최소 12L 이상 되어야 하고, 일반적으로 40L는 되어야 하지요. 그 이유는 벌들이 추운 겨울을 날 수 있도록 집안에 꿀을 보관해야 하기 때문이에요. 꿀은 오랫동안 저장해도 상하지 않아요. 먹이를 구하기 힘든 한겨울에 꿀벌의 ... ...
- [지식] 헤이그 특사 이상설수학동아 l2015년 10호
- 의미가 있다.광복 70년을 맞이한 뜻 깊은 해에 헤이그 특사이며 독립운동가로만 익숙했던 이상설이 근대 수학을 깊이 이해한 선각자이고, 특히 한국의 정규 교육과정에 최초로 수학을 필수과목으로 도입했으며, 근대 수학 교과서를 최초로 쓴 탁월한 수학 교육자였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 ...
- [흔들리는 인류기원] Part1. 최초의 인류진화 역사 바뀔까과학동아 l2015년 10호
- 후보로 꼽히던 리 버거 교수의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세디바는 우리의 직계 조상이 된다. 이상희 교수는 “호모 하빌리스가 아시아로 확산해 거기에서 호모 에렉투스와 플로레시엔시스 조상으로 분리됐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인류의 아시아 기원설이 탄력을 얻게 되는 셈이다.2. 최초의 도구 사용, ... ...
- [Hot Issue] 풍력발전기에 날개가 사라졌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이용해 모터를 감는다. 이 때 연이 풀린 경로 그대로 감으면 에너지 손실 때문에 생산량 이상의 전기가 필요하다. 카이트젠사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냈다. 연의 한쪽 끈은 풀고 한쪽 끈을 당겨 연을 바람과 수평한 방향으로 돌리는 것이다. 훨씬 적은 전기로 연을 하강시킬 수 있다. 카이트젠사는 1~2년 ... ...
- 호모 에렉투스, 요리의 비밀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빛깔이 먹음직스럽게 변하고, 맛과 향기가 더욱 풍성해지지요. 마이야르 반응은 160℃ 이상의 높은 온도와 표면적이 넓을수록 잘 일어나요.단, 너무 지나치게 열을 가하면 DNA를 손상시켜 암의 원인이 되는 화합물이 만들어져요. 그러니 고기를 구울 땐 타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요리의 비밀 2 ... ...
- [지식 유레카의 순간] 전구 속 그을음에서 탄 생한 진공관수학동아 l2015년 10호
- 걸렸던 문제를 30초 만에 풀어냈다. 에니악은 당시에 있었던 그 어떤 컴퓨터보다 1000배 이상 빠른 속도로 계산할 수 있었다. 1초에 5000번의 덧셈, 357번의 곱셈, 38회의 나눗셈이 가능했다.하지만 에니악은 폭이 26m이며, 무게가 27톤으로 42평(약 138.84m2) 정도의 공간이 필요했다. 게다가 너무 많은전력이 ... ...
- Part 2. 물거품은 매듭을 알고 있다수학동아 l2015년 10호
- ‘엇갈림수’는 대표적인 불변량이다. 엇갈림수는 멋대로 꼬인 매듭을 움직여서 더 이상 엇갈린 지점을 줄일 수 없을 때, 엇갈린 지점의 개수다.지금은 엇갈림수가 16 이하인 모든 매듭이 알려져 있다. 하지만 불변량 값이 같다고 해서 모두 같은 매듭인 건 아니다. 매듭을 거울에 비췄을 때 나타나는 ... ...
- [스토리텔링 교과서 뛰어넘기] 화합과 평화의 상징, 원형 탁자수학동아 l2015년 10호
- 어디에 앉더라도 상하 관계가 드러나지 않았다. 원형 탁자를 만든 이후부터 더 이상 싸움은 일어나지 않았다.이후 원탁은 아더 왕 전설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12세기 말 영국의 작가 라야몬의 작품 에는 무려 1600명이 한꺼번에 앉을 수 있는 거대한 원탁이 나온다. 게다가 ... ...
- PART1. 나는 살아있는 것을 연구한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곤충학자? 못 봤는데. 문인들이라면야 유명한 사람이 많이 찾아왔지. ……, 뭘 자꾸 이상하다고 그래. 곤충학자들이 언제 그 선생 살아있을 때 좋아했는 줄 알어? 곤충학을 문학과 막 뒤섞어놨다며 싫어했다고. 정통 학자도 아니었잖아.#4 열아홉에 중학교 자연사 선생님이 됐다. 첫 연봉은 70 ... ...
- [흔들리는 인류기원] Part2. 콜럼버스가 신대륙에서 만난 원주민의 기원은?과학동아 l2015년 10호
- 1만2000km가 넘는다. 신대륙인의 조상이 베링육교를 넘어 칠레까지 이동했다면, 수천 년 이상 걸렸을 것이고 그 동안 많은 흔적을 남겼을 것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몬테 베르데 이외의 지역에서 비슷한 유적이 발견되지 않았다. 클로비스 양식이 아메리카 대륙 전체에서 고루 발견되는 것과 대조적인 ... ...
이전38638738838939039139239339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