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뇌"(으)로 총 889건 검색되었습니다.
- KAIST 차기 총장 후보에 경종민·김정호·이광형동아사이언스 l2020.12.10
- 교수협의회장), 김정호 전기 및 전자공학부 교수(글로벌전략연구소장), 이광형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교학부총장)이 포함됐다. 면접 후보자 6명에는 신성철 KAIST 현 총장과 박오옥 명예교수(전 교학부총장), 김수현 교수(전 대외부총장)도 포함됐던 것으로 알려졌다. KAIST 총장 선출은 KAIST ... ...
- [의학게시판] 전북대병원 폐질환유효성평가지원센터 개소 外동아사이언스 l2020.12.09
- 관련 주제 발표에 나선다. ■고려대의료원은 1일 고려대 의료원산학협력단과 김원기 뇌신경과학교실 교수가 각각 보건복지부 장관상인 보건의료기술 사업화 유공 포상을 받았다고 8일 밝혔다. 의료원산학협력단은 연구조직 개편을 통한 기술사업화에 기여한 점을 인정받았다. 올해 특허 출원 266건, ... ...
- 스페이스X 유인우주선·화물선,동시에 ISS 머문다 동아사이언스 l2020.12.07
- 접착제 없이 금속을 녹여 결합하는 ‘브레이징’을 시험하는 데 사용되는 장비와 심장과 뇌에 주는 영향을 연구할 수 있는 장비가 포함돼 있다. 화물 중 무게를 가장 많이 차지하는 건 미국 우주기업 나노랙스가 NASA와 계약을 맺고 개발한 '비숍 에어록'이다. 비숍 에어록은 ISS 외부에 설치돼 과학 ... ...
- 일반세포를 신경세포로 바꿔 뇌질환 극복한다…김종필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인상동아사이언스 l2020.12.02
- 년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후속 연구를 통해 알츠하이머 치매 뇌신경 세포에 적용하는 최신 유전자 편집치료 기술을 개발하는 등 실제 의료 현장에 적용 가능한 기술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김종필 교수는 “기존 재생의학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생체 내 세포 ... ...
- [의학게시판] 박승환 전북대병원 전공의 소아청소년과학회 우수초록상 外동아사이언스 l2020.11.26
- 후 교정 2세에 언어검사를 시행해 뇌용적량과 수용 및 표현언어의 상관관계를 조사했다. 뇌용적량이 적을수록 표현 언어가 수용언어능력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는 사실을 밝혔다. ■한림대 춘천성심병원은 이진호 안과 교수가 대한안과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율산학술상을 수상했다고 25일 ... ...
- [코로나19 연구속보] 개는 코로나19 냄새를 맡을 수 있을까2020.11.25
- 종종 별난 행동을 하는 괴짜견이었고 스톰은 일광욕을 좋아했다. 암컷인 메이플은 뇌를 이용하는 것을 좋아했다. 코로나19 사태가 확산하면서 이들은 조금 특별한 훈련을 받고 있다. 바로 코로나19의 냄새를 감지하는 훈련이다. 환자에 코를 갖다 대고 킁킁하고 냄새를 맡아 코로나19에 감염됐는지를 ... ...
- [과학게시판] 빅데이터 분석기사’ 자격검정 접수 外동아사이언스 l2020.11.24
- 이명선 청주대 교수가 선정됐다. 우수 여성과학기술인 담당관에는 안성진 한국뇌연구원 행정원이, 우수 경력복귀 여성과학기술인에는 홍정숙 서울대 교수와 김설희 알테오젠 책임행정원이 선정됐다. 여성과학기술인 채용목표제 우수기관에는 한국기계연구원이 선정됐다. 우수 여대학원생 ... ...
- [인간 행동의 진화] 점성술과 인플루엔자2020.11.22
- 수 있고, 인터넷만 연결되어 있으면 그동안 축적된 유전자 정보를 읽을 수 있다. 인간의 뇌와 정신에 관한 수백만건의 데이타를 찾아보고,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으로 한눈에 지형을 파악하고, 기상의 변화도 예측할 수 있다. 그런데 왜 우리는 바빌로니아 시대의 별자리와 송나라 시대의 역법, 조선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대사와 후성유전학2020.11.17
- 중독 증상이 나타나는 것일 수도 있다. 연구자들은 만성 코카인 중독인 사망자의 뇌를 부검해 VTA 뉴런 히스톤의 도파민화를 조사했다. 그 결과 대조군인 비중독자에 비해 도파민화 정도가 낮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사람을 대상으로는 연구에 한계가 있어 연구자들은 쥐에게 코카인을 열흘 동안 ... ...
- '뇌 속 독성 산소' 영향받는 반응성 별세포가 치매 원인동아사이언스 l2020.11.17
- 연구진은 새롭게 개발한 반응성 별세포(녹색 형광 표시)의 반응성 조절 모델을 통해, 뇌의 ‘경증 반응성 별세포(위)’는 약 1달 뒤 자연적으로 회복되는 반면, ‘중증 반응성 별세포’는 회복 없이 계속 반응성 별세포로 남아 있으며, 이 세포가 축적되면서 신경세포를 사멸시키고 치매를 ... ...
이전3435363738394041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