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각하
전가
하전
예하
성하
뉴스
"
전하
"(으)로 총 495건 검색되었습니다.
2m 길이 DNA가 4㎛ 세포핵에 쏙 들어가는 비밀은
동아사이언스
l
2017.07.30
두 바퀴 감아 직경 11㎚의 ‘뉴클레오솜’을 형성한다. 그리고 양
전하
를 띤 아미노산과 음
전하
를 띤 DNA의 상호작용 끝에 단단하게 결합해 더 응축한다. 대부분의 염색체는 실에 꿴 바늘처럼 긴 사슬 모양의 뉴클레오솜이 결합한 형태로 존재한다. 연구진은 3차원 현미경 구조 분석을 통해 염색질을 ... ...
[2018 국제단위계 재정의 ③] 무한히 길고 무시할 수 있을…을 대신할 전류의 새 정의
동아사이언스
l
2017.07.21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밀리컨이 발견한 ‘어떤 값’이 바로 전자 1개가 갖는 기본
전하
량 ‘e’다. 그 뒤 1930년 대에 들어서면서 다른 물리 상수들의 관계식을 이용해 e를 구하는 방법이 개발됐다. 패러데이 상수(F)와 아보가드로 상수(NA)를 이용해 하는 식이다. 여러 과정을 거쳐 지금은 ... ...
1 kg의 새로운 정의, 수학과 물리학이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7.07
연구가 이뤄진 ‘아보가드로 수(NA)’를 이용해, 전류는 ‘기본
전하
(전자 1개)가 가진
전하
량(e)’을 측정해 정의할 예정이다. 특히 온도는 내년 총회에서 합의되지 못할 뻔하다 극적으로 합류했다. 단위를 정의하려면 과학자들이 다른 장소, 다른 시점에서 실험해도 같은 결과가 나와야 한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그 많은 양전자(반물질)는 다 어디서 왔을까
2017.06.27
반물질인 양전자(positron)가 나온다. 양전자는 전자와 질량 등 모든 특성이 같고 다만
전하
만 반대다. 이렇게 생겨난 양전자는 곧바로 주변의 전자를 만나 소멸하면서 해당 질량의 에너지(E=mc2에 따라)를 갖는 광자(감마선) 두 개로 바뀐다. 감마선은 빛의 속도로 움직임에도 멀리 가지 못하고 태양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여우는 어떻게 개가 되었나
2017.06.06
관련 법률을 잘 몰라 장담할 수는 없지만 투르트에게 여우개를 입양하고 싶다는 뜻을
전하
면 받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투르트는 책 말미에 “언젠가 난 죽겠지만 내 여우들은 영원히 살기를 바란다”며 그녀가 좋아하는 생텍쥐페리의 ‘어린 왕자’에 나오는 한 구절을 들려줬다. ... ...
‘녹조라떼’에도 깨끗한 수돗물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6.02
적용해 조류 자체를 파괴하지 않고 제거하는 데 성공했다. 과망간산염은 조류의 표면
전하
를 변화시켜 독소물질을 체외로 방출하게 하고, 동시에 조류의 응집효율을 높여 효과적으로 분리해낼 수 있다. 이 단장은 “이번에 개발한 산화제는 수처리제 약품 사용 인증을 받은 상태로, 여름철 녹조가 ... ...
옷깃만 스쳐도 전기 만드는 기술, 상용화 성큼
동아사이언스
l
2017.05.29
사물부터 자동차 등 움직이는 사물까지 다양한 에너지원을 이용해 스마트 기기를 충
전하
는 기술로 발전시킬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최신호에 실렸다 ... ...
네덜란드의 불타는 튤립 꽃밭 ‘인기’
팝뉴스
l
2017.04.25
팝뉴스 제공 마치 불길에 타오르는 것 같이 보여서 신기한 튤립 사진(위)이 미국의 사진전문매체 페타픽셀 등에 소개되면서 인기를 얻고 있다. ... 흥미로운 일상을 전해드립니다. 진지하고 무거운 일상에서 잠시 벗어나 팝뉴스가
전하
는 가벼운 소식을 사진과 함께 ‘가볍게’ 즐겨 보세요~ ... ...
‘노래하는 장미’ 나올까 전자 부품이 된 식물
과학동아
l
2017.04.17
까만색으로 보이는 부분이 ETE-S가 가득찬 곳이다. 물관들이 축전기의 금속판 역할을 해,
전하
를 저장한다. - Magnus Berggren 제공 ● 반년 전 시작된 식물 연구의 패러다임 변화 사실 식물을 이용해 에너지를 얻으려는 시도는 이전부터 많았다. 인공광합성이 대표적이다. 식물의 광합성 과정에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킬레스건의 재료과학
2017.03.07
있다. 한편 단백당은 큰 힘을 받는 조직에 많이 존재해 완충 역할을 한다. 표면이 음
전하
이기 때문에 힘을 받아 조직이 수축되면 단백당 분자들이 서로 가까워지면서 정전기적 반발력이 커져 버티는 것이다. 힘줄뼈부착부위가 큰 힘을 받아도 짜부라지지 않고 구조를 유지할 수 있는 이유다. ※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