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각하
전가
하전
예하
성하
뉴스
"
전하
"(으)로 총 495건 검색되었습니다.
배터리 없이 전기뱀장어처럼 전기 일으킨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2.14
친화 겔(노란색)을 통해 나트륨 이온(Na+)과 염소 이온(Cl-)이 선택적으로 이동하면서
전하
의 흐름(전류)이 생겼다. - 네이처 제공 그 결과 양이온 친화 겔을 사이에 둔 지점에서는 고농도 용액에서 Na+만 가운데 저농도 용액으로 이동했다. 음이온 친화 겔을 사이에 둔 지점에서는 음이온인 염소(Cl-) ... ...
위성 통신장애 일으키는 ‘블랙오로라’ 전기장 원인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1.22
‘인공태양’으로 불린다. 태양 같은 초고온 환경에서 음
전하
를 가진 전자와 양
전하
를 띤 이온으로 분리된 기체 상태를 플라즈마 상태라고 한다. 핵융합장치 안에 만들어지는 초고온 플라즈마의 가장자리에는 이온화되지 않은 원자나 분자 상태의 중성입자가 존재한다. 이 중성입자들은 ... ...
누가 생각했을까? 친환경 수소 대량생산의 핵심 '스폰지 구조'
동아사이언스
l
2017.11.22
높이고, 따라서 산소 발생 효율을 높인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김 교수는 “전극은 ‘
전하
전달 능력이 얼마나 좋은가’와 함께 ‘전기를 가해도 녹지 않고 얼마나 안정적으로 견디는가’를 둘 다 고려해야 한다”며 “이번에 만든 전극은 둘 사이에서 적절한 균형을 찾아 기존 전극에 비해 최대 7.8배 ... ...
태양전지부터 LED, 연료전지까지… 다방면으로 진화하는 페로브스카이트 물질
동아사이언스
l
2017.11.12
월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다만 널리 상용화된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에 남은 과제는
전하
의 수송을 용이하게 하는 정공수송재료(HTM)를 개발하는 일이다. 허우 교수팀은 산화텅스텐(Ta-WOx)과 폴리티오펜유도체로 HTM 도핑 물질을 개발했다. 연구진이 21.2%의 전력 변환효율을 갖는 페로브스카이트 ... ...
한국전쟁 실종자 신원 확인, 새로운 DNA 분석 기술로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06
Short tandem repeat, 이하 STR)을 사람을 구분짓는 마커로 사용했다. 이를 증폭한 뒤, 음
전하
를 띠는 DNA의 특성을 이용해 STR의 길이 차이를 모세관 전기영동(CE)법으로 읽어냈다. 기존에 사용된 STR과 CE 분석의 한계는 무엇이고, 이를 새로운 SNP와 MPS 조합이 어떻게 보완할 수 있을까. ● STR과 CE ... ...
다이아몬드 넣어 폭발 걱정 없앤 스마트폰 배터리
동아사이언스
l
2017.08.25
연구진은 이런 표면이 불순물 형성을 줄인다는 점을 확인했다. 배터리를 100번 충·방
전하
는 실험에서 불순물 형성이 현저히 감소했다. 고고치 연구원은 “불순물 형성을 100% 방지하는 기술은 아니지만, 적어도 형성 속도를 늦춰 배터리를 폭발 없이 더 오래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라며 ... ...
입고 숨만 쉬어도 전기 만들어지는 ‘티셔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7.08.25
양끝에서 잡아당기면 얇아지며 부피가 줄어든다. 이때
전하
저장 용량도 함께 줄어
전하
를 밖으로 내놓는 과정에서 전류가 생긴다. 연구진은 약 0.02g의 트위스트론으로 소형 발광다이오드(LED) 전구의 불을 밝히는 데 성공했다. 초당 30회의 속도로 수축·이완한다면 1kg으로 250W(와트)의 전력을 생산할 ... ...
[ESC의 목소리 (17)] 노벨 물리학상을 통해 본 일본 과학 발전의 역사성
2017.08.20
분투했던 일본 학자의 마음을 옅볼 수 있는 대목입니다. 나가오카는 원자 내에 반대의
전하
를 띈 요소가 내외로 분리되어 있는 토성모형(1903)을 러더포드 원자 모형(1911)에 앞서 제시한 공로을 인정받아 노벨상 수상 후보 추천위원으로 오랫동안 활동했는데요. 노벨 재단이 공개한 문건에 따르면 ... ...
한국 개발 우주실험장비, NASA 국제우주정거장에 첫 설치
동아사이언스
l
2017.08.16
공동으로 NASA의 ‘고에너지 우주선(宇宙線) 측정 실험’에 쓸 ‘실리콘
전하
량 검출기’를 순수 국내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이 장비는 미국 우주기업 스페이스X의 드래건 발사체에 실려 ISS로 발사된다. 14일 오후(현지 시간) 발사가 성공할 경우 한국이 개발한 우주실험장치가 ISS에 설치되는 첫 ... ...
국내 개발 관측 장비, 국제우주정거장(ISS)서 우주 입자성분 밝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8.14
케네디우주센터에서 ISS로 발사할 예정이라고 14일 밝혔다. 우주선의 구성 성분(핵의
전하
량)을 정밀하게 측정하는 이 검출기는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대형 우주 프로젝트인 ‘국제우주정거장 고에너지 우주선(線) 및 질량 측정(ISSCREAM)’ 임무의 핵심 장비다. 미국 스페이스X의 우주 운반선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