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기
전력
전원
볼타 전기
뉴스
"
전류
"(으)로 총 811건 검색되었습니다.
신체 골격으로 개인식별하는 궁극의 생체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30
하거나 전기를 흘려 체지방을 측정하듯 손가락에 진동과 같은 기계적 신호나 미세
전류
같은 전기적 신호를 주면 손가락의 구조적인 특성을 알 수 있다. 사람마다 특성이 모두 다르므로 사람을 구별해 인증할 수 있다. 연구팀은 성인의 손바닥 크기로 만든 시스템을 구축해 기술을 검증했다. ... ...
전기硏 과학문화 콘텐츠 2년연속 조회수 100만뷰 넘겨
동아사이언스
l
2020.01.29
220V를 사용하는 이유’, ‘정전기가 발생하는 이유’, ‘테슬라와 에디슨의
전류
전쟁’, ‘전기뱀장어의 전기 생산 원리’ 등 다양한 콘텐츠가 관심을 끌었다. 이같은 성과를 바탕으로 한국전기연구원은 2018년과 2019년 2년 연속으로 ‘대한민국 SNS 대상 최우수기관’에 선정됐다. 최규하 ... ...
'꿈의 물질' 그래핀 적층 순서 제어하는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22
특성을 가진 다층 그래핀을 합성했다고 22일 밝혔다. 그래핀이 가진 한계점 중 하나는
전류
의 흠을 제어할 수 있는 성질인 ‘밴드갭’이 없다는 점이다. 밴드갭은 물질 속 전자들이 모여 있는 부분과 전자들이 전혀 없는 부분 사이 일종의 장벽으로 이 공간을 자유전자들이 돌아다니면서 전기를 ... ...
세계 10대 화합물 '염소' 값싸게 대량 생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21
CNT, 탄소 나노튜브: CNT)의 염소 발생 반응 성능 측정 그래프다(왼쪽). 낮은 전압으로 높은
전류
밀도를 얻어낼수록 활성도가 높은 촉매다. Pt₁/CNT는 염소 이온이 없을 때 활성이 없는데(점선), 이는 부반응이 없다는 것이다. 오른쪽은 염소 발생 반응의 선택성 그래프로 DSA는 전해질에 따라 영향을 ... ...
종이 같은 디스플레이 실현 '열쇠' 쥔 휘는 절연체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6
잘 견딘다. 가장 중요한 성능인 절연 성능은 어른 엄지손톱 크기인 가로세로 1cm의 면적에
전류
가 10억 분의 1A(엠페어)가 통과하는 수준으로 기존 무기절연체와 엇비슷했다. 그러면서도 350도의 고온에도 견뎌 기존의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공정에 적용할 수 있다. 연구팀은 이 절연체의 제조공정도 ... ...
스스로 빛내고 알아서 선명하게… 디스플레이가 살아 숨쉰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3
반도체 입자를 의미한다.
전류
또는 빛을 흡수하면 다시 빛을 낼 수 있다.
전류
를 받아 바로 빛을 내는 방식을 전계발광(EL)이라고 부르고, 빛을 받아 다른 파장의 빛으로 변화시키는 형광 방식을 광발광(PL)이라고 부른다. 퀀텀닷을 응용한 디스플레이는 빛을 내는 반도체의 크기가 작아진다. 세밀한 ... ...
[표지로 읽는 과학] 우주에서 촬영한 지구 감마선과 자외선
동아사이언스
l
2020.01.12
초기 시점에 엘브도 함께 발생한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연구팀은 “엘브는
전류
발생이 빠르고 높은 진폭을 가진 뇌우 발생 초기에 만들어진다”며 “지구 감마선의 경우 뇌우 속 번개와 큰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노이버트 최고자문위원은 “아심 프로젝트를 통해 지구 ... ...
QLED vs. OLED vs. 마이크로LED…CES는 디스플레이 기술 각축장
동아사이언스
l
2020.01.08
1m) 수준인 미세한 반도체 입자를 의미한다.
전류
또는 빛을 받으면 다시 빛을 낼 수 있다.
전류
를 받아 바로 빛을 내는 방식(전계방출)은 EL이라고 부르고, 빛을 받아 다른 파장의 빛으로 변화시키는 일종의 형광 방식을 PL이라고 부른다. 퀀텀닷을 응용한 디스플레이는 빛을 내는 반도체의 크기가 작은 ... ...
"태양-바람-수소연료전지로 한국의 새로운 10년 이끈다"
과학동아
l
2019.12.27
실리콘 태양전지다. 실리콘 태양전지는 태양광이 내부에 갇혀있던 전자를 분리하면서
전류
를 만든다. 그런데 태양광 중 일부가 태양전지를 그냥 투과해버리거나, 실리콘에 흡수되지 않는 적외선이 태양전지 뒷면에 흡수돼 태양전지 온도를 높이면 전력 생산 효율이 떨어진다. 신성이엔지는 ... ...
반도체 기반 양자컴퓨터 현실화 한층 가까워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26
연산을 하는 차세대 컴퓨터다. 우리가 사는 일반적인 거시세계의 디지털 컴퓨터는
전류
가 흐를 때와 흐르지 않을 때 등 0과 1로 명확히 구분할 수 있는 상태를 이용해 정보를 처리한다. 이와 달리 양자 컴퓨터는 한 개의 양자가 관측되기 전까지 0이기도 하고 1이기도 한 이상한 성질(중첩)을 이용해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