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호"(으)로 총 2,861건 검색되었습니다.
- [하야부사 2호] 왜 류구를 찾아갔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하야부사 2호는 1호보다 수백만 배나 많은 류구 샘플을 보내왔습니다. 류구는 하야부사 1호가 탐사한 소행성보다 더 많은 물과 유기물을 지니고 있습니다. 특히 류구에는 상당수의 아미노산이 포함되어 있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지요. 그래서 류구의 샘플을 분석하면 태양계 생성 및 진화 과정에서 ... ...
- [하비맨] 드론 한 마리 몰고가세요~!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조현영 기자가 세상의 모든 취미를 수학으로 리뷰하는 하비(hobby)맨으로 변신했다! 하비맨이 선택한 첫 번째 취미는 바로 드론 날리기. 체감 온도 영하 24°에 육박하는 날 ... 재미있는 취미가 있다면 마구마구 소개해 주세요. 하비맨의 좌충우돌 취미 리뷰는 다음 호에도 계속됩니다. 쭈욱~ ... ...
- [게임 디자인 씽킹] 컴퓨터와 대결하는 규칙을 설계하라!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이번 호에서는 게임 프로그래밍을 배울 때 가장 처음 만들어 보는 게임인 ‘퐁(Pong)’으로 좌표를 이용해 물체의 위치와 움직임을 설계하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퐁은 1972년 미국 게임 개발사인 ‘아타리’에서 출시한 게임입니다. 탁구를 소재로 한 이 게임은 두 명이서 탁구채를 대신하는 ... ...
- [KAIST 50년] KAIST 탐구보고서, 괴짜라고 불린 최초의 시도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지속하고 있다. 고분자는 작은 분자 여러 개를 결합한 형태다. 작은 분자 사이의 상호작용을 조절하면 고분자의 특성을 바꿀 수 있다. 이를 통해 잘 찢어지지 않고 자가 치유가 가능한 고분자를 설계하는 것이 강 교수의 목표다. 외부 충격에 강한 고분자 소재는 차세대 전자소자에 적용해 생체 ... ...
- 2021 화성 탐사 카운트다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UAE의 ‘아말’과, 궤도선과 착륙선·탐사선으로 구성된 복합 탐사선인 중국의 ‘톈원 1호’가 2월 초~중순 각각 화성 궤도로 진입해 탐사 임무를 시작한다. 이어 미국의 ‘퍼시비어런스(인내)’가 2월 18일 화성 표면에 착륙해 2년 동안 화성 탐사 임무를 시작한다. 하지만 이 숨가쁜 화성 탐사 ... ...
- [하야부사 2호] 너는 류구에서 어떤 탐사를 했니?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착륙, 소행성 인공 크레이터 형성 등과 같은 여러 기록들을 세웠어요. 현재 하야부사 2호는 채취한 샘플만 귀환 캡슐에 태워 지구로 쏘아 보낸 뒤, 다음 여정을 준비 중이랍니다. *스윙바이 : 행성의 중력을 이용하여 우주선의 진로나 궤도를 제어하는 일 ... ...
- 아말과 톈원 1호, 화성 하늘을 두드리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로버는 태양광을 이용해 전력을 얻어 약 90일 동안 화성 표면을 탐사할 계획이다.톈원 1호의 궤도선에는 총 7개의 장비가, 착륙선에는 총 6개의 장비가 탑재돼 있다. 이를 이용해 표면 토양 특성과 얼음 분포를 조사하고 화성의 기후 특성과 지표면의 환경을 측정할 계획이다. 화성 전자기장과 중력, ... ...
- 마스크를 쓰느냐 마느냐 그것이 문제로다!수학동아 l2021년 01호
- 가정한 것이죠. 마스크 착용률이 r보다 아래에 있다면 협력을 선택한 사람들은 자기 보호라는 이득만 얻습니다. 하지만 전체 인구 중 마스크를 착용한 사람이 r을 넘어서면 모두가 집단 방역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결국 마스크 착용자는 마스크를 착용한 사람이 r 이상이어야 최대 이득을 얻는 ... ...
- [과학뉴스] ‘창어 5호’, 달의 흙을 가지고 지구 복귀 성공!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2020년 12월 17일 중국의 무인 달 탐사선 창어 5호가 지구로 복귀하는 데 성공했어요. 창어 5호는 11월 24일 중국 하이난성 원창 우주발사장에서 우 ... 표본 채취에 성공한 나라가 되었지요. 창어 5호의 달 표본 채집 임무는 1976년 소련이 루나 24호를 쏘아 올린 지 44년 만에 이루어진 성 ...
- [2021년 흰 소의 해] 스마트 헬‘소’케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실제로 양돈, 양계, 낙농, 한우 농가의 스마트 축사 지원은 2016년 430호에서 2018년 1425호로, 2년간 3.3배 규모로 증가했다. 스마트 축사 형태의 낙농가에서는 온도, 풍속, 조도, 습도 등을 조절해서 소가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환경 관리 센서를 설치한다. 개별 젖소 정보를 전달받아서 소의 ... ...
이전3435363738394041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