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호"(으)로 총 2,861건 검색되었습니다.
- [하야부사 2호] 왜 류구를 찾아갔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하야부사 2호는 1호보다 수백만 배나 많은 류구 샘플을 보내왔습니다. 류구는 하야부사 1호가 탐사한 소행성보다 더 많은 물과 유기물을 지니고 있습니다. 특히 류구에는 상당수의 아미노산이 포함되어 있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지요. 그래서 류구의 샘플을 분석하면 태양계 생성 및 진화 과정에서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스윙바이, 운석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연료까지 아낄 수 있어서 효율적이지요.1970년대 중반 지구를 떠난 태양계 탐사선 보이저 1호는 스윙바이를 이용해 사람이 만든 물건으론 최초로 태양계를 벗어났어요. 원래 가진 연료로는 목성까지 갈 수 있었지만, 스윙바이를 이용한 덕분이었어요. 운석(隕石, Meteorite)과거에는 운석을 하늘에서 뚝 ... ...
- [하비맨] 드론 한 마리 몰고가세요~!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조현영 기자가 세상의 모든 취미를 수학으로 리뷰하는 하비(hobby)맨으로 변신했다! 하비맨이 선택한 첫 번째 취미는 바로 드론 날리기. 체감 온도 영하 24°에 육박하는 날 ... 재미있는 취미가 있다면 마구마구 소개해 주세요. 하비맨의 좌충우돌 취미 리뷰는 다음 호에도 계속됩니다. 쭈욱~ ... ...
- [게임 디자인 씽킹] 컴퓨터와 대결하는 규칙을 설계하라!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이번 호에서는 게임 프로그래밍을 배울 때 가장 처음 만들어 보는 게임인 ‘퐁(Pong)’으로 좌표를 이용해 물체의 위치와 움직임을 설계하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퐁은 1972년 미국 게임 개발사인 ‘아타리’에서 출시한 게임입니다. 탁구를 소재로 한 이 게임은 두 명이서 탁구채를 대신하는 ... ...
- [과학뉴스] 우주 전체 촬영하는 ‘스피어x’ 천문연·NASA 공동 제작 돌입과학동아 l2021년 02호
- 한국 연구책임자인 정웅섭 천문연 우주과학본부 책임연구원은 “과거 차세대 소형위성 1호 과학탑재체인 근적외선 영상분광기(NISS)를 독자 개발한 경험이 밑거름이 됐다”며 “이번 공동개발을 통해 세계 최고 수준의 우주망원경 개발에 대한 자신감을 얻었다”고 말했다 ... ...
- [KAIST 50년] 과학, 사회에 말 걸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입학생 시절 인터뷰를 먼저 듣길 권한다”고 말했다.입학생과 졸업생 시절 비교라니, 한 호로 마치는 이번 특집 기사에선 결코 담지 못한 내용이었다. 두 사람의 인터뷰 아카이브가 왜 필요한지 벌써 알 것 같았다. [KAIST인 과학으로 사회와 소통하다]● 과학 소통의 길을 닦은정재승 KAIST ... ...
- 아말과 톈원 1호, 화성 하늘을 두드리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로버는 태양광을 이용해 전력을 얻어 약 90일 동안 화성 표면을 탐사할 계획이다.톈원 1호의 궤도선에는 총 7개의 장비가, 착륙선에는 총 6개의 장비가 탑재돼 있다. 이를 이용해 표면 토양 특성과 얼음 분포를 조사하고 화성의 기후 특성과 지표면의 환경을 측정할 계획이다. 화성 전자기장과 중력,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정신 혼미하게 만드는 해롱해롱 호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서 있었습니다. 루띠와 용용, 프로보가 다가와 딱지의 어깨를 두드렸습니다.“해롱 호에 온 걸 축하한다!” ※용어정리항법사: 배, 비행기, 우주선 등의 이동을 추적하거나 방향을 조종하는 사람 ... ...
- [하야부사 2호] 너는 류구에서 어떤 탐사를 했니?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착륙, 소행성 인공 크레이터 형성 등과 같은 여러 기록들을 세웠어요. 현재 하야부사 2호는 채취한 샘플만 귀환 캡슐에 태워 지구로 쏘아 보낸 뒤, 다음 여정을 준비 중이랍니다. *스윙바이 : 행성의 중력을 이용하여 우주선의 진로나 궤도를 제어하는 일 ... ...
- [수학 고민 상담소 수담수담] 우리가 사는 사회 수학으로 풀어봅시다!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우리 사회에서 벌어지는 현상을 분석하는 데까지 매우 폭넓게 수학이 쓰이거든요. 이번 호에서는 수학으로 사회 현상을 읽는 법을 연구하는 강정한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님의 이야기를 들려드릴게요! 1월 5일, 서울 서대문구에 위치한 연세대학교에서 수학고민상담소의 두 번째 주인공 ... ...
이전3334353637383940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