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폴라리스
리스
표주
fall
folic
paul
pole
d라이브러리
"
폴
"(으)로 총 576건 검색되었습니다.
추억의 히트곡 '연' 만든 생명과학자 조진원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외조부는 퉁소를 잘 불었다고 한다. 핏줄은 못 속인다고 조 교수는 아장아장 걷던 시절
폴
앵카의 노래만 나오면 전축을 잡고 춤을 췄다. 중학교 때는 비틀즈의 ‘yesterday’를 기막히게 불러 학교 안에서도 제법 유명세를 탔다. 음악도 연처럼 훨훨~!직접 노래를 만들 결심을 한 것은 고등학교 2학년 ... ...
콜록콜록, 기침약 말고 꿀 주세요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연구결과를 소아과 관련 의학저널(Archives of Pediatric and Adolescent Medicine) 12월호에 발표했다.
폴
박사팀은 밤에 기침하는 2~18세의 어린이와 청소년 105명을 세 그룹으로 나눠 각각 꿀, 꿀 향이 나는 기침약, 위약을 줬다. 그 결과 꿀을 먹은 그룹이 감기약이나 위약을 먹은 그룹보다 기침을 덜하고 잠 ...
매운 고추 먹고 땀 흘리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고추에 빠져있다고 할 만 하다. 왜 이런 현상이 일어날까?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심리학자
폴
로진 교수는 고추의 매운맛으로 인한 통증은 예측이 가능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즉 처음 고추를 먹으면 그 얼얼함에 깜짝 놀라지만 몸에 별탈이 없다는 것을 경험하게 된다. 따라서 그 뒤에도 안심하고 ... ...
콜록콜록, 기침약 말고 꿀 드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4호
땐 쓴 기침약보다 달콤한 꿀을 한 숟가락 드세요. 미국 펜실베이니아주립대학교의 이안
폴
박사팀은 감기약보다 꿀 한 숟가락이 기침을 멎게 하는 데 더 효과적이라고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기침하는 2~18세의 어린이 105명에게 꿀을 주었을 때와 기침약을 주었을 때, 아무것도 주지 않았을 때의 기침 ... ...
착한 청소부가 될까 괴물이 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4호
인공미생물을 만들고 싶어 해요. 하지만 일부에서는 제가 ‘녹색전사 에코’에 나오는 ‘
폴
루터’처럼 엉뚱한 생명체가 될 수 있다고 걱정하고 있어요.*염색체 : 여러 유전자가 일렬로 연결된 것. 세포의 머리 격으로 여러 가지 명령을 내리고 유전 정보를 자손에 전달한다 ... ...
홈즈 혜성, 태양보다 더 커졌다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1893년 1월 두 번에 걸쳐 대규모의 가스를 분출한 적이 있다. 영국 카디프대의 혜성전문가
폴
로체 교수는 “핵의 지름이 40km인 헤일밥 혜성이 1997년 지름이 200만km까지 커진 적은 있지만 이보다 훨씬 작은 크기의 홈즈 혜성(지름 3.6km)이 태양보다 커진 사례는 매우 이례적”이라고 밝혔다. 홈즈 혜성은 ... ...
예비우주인과 팀워크가 중요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선정된 이 씨에게 애정 어린 충고를 잊지 않았다. 그는 “암스트롱과 나도 아
폴
로 8호가 발사될 때 예비 우주인이었다”면서 “고 씨가 힘들 때 밀고 끌어주는 중요한 책임을 맡았음을 명심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 사람 문제 생기면 팀이 통째로 바뀌어고 씨와 이 씨는 ISS 운영에 참여하고 있는 1 ... ...
2. 세포의 달콤살벌한 하루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세포, 특히 뇌 신경세포에 영향을 미친다. 미국 스탠퍼드대 인류학자인 로버트 사
폴
스키는 1980년대 말 아프리카 비비원숭이의 서열과 스트레스의 관계를 연구한 결과 서열이 낮은 원숭이의 신경세포가 더 손상된 것을 발견했다.안타깝게도 아직 스트레스를 받을 때 뇌세포가 어떤 반응을 일으키는지 ... ...
1. 누구나 슈퍼맨인 까닭?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마라톤 선수들은 ‘2시간 30분의 벽’ ‘2시간 10분의 벽’을 넘었고, 2003년에는 케냐의
폴
터갓 선수가 불가능하다고 여겨진 ‘2시간 5분의 벽’을 넘었다.예나 지금이나 사람은 자신의 한계를 뛰어넘어 어려운 상황을 극복한다. 극한 상황에서 자신도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 강한 힘을 발휘하는 ... ...
매클롱 강과 인간의 공생 전략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엄지손가락을 몇 번이나 누를 수 있는지 세 보세요.”참가자들은 태국 마히돌대 시라
폴
신투나와 교수의 말에 따라 상대방과 오른손을 맞잡고 엄지손가락을 곧추세운 채로 마주 앉았다. “시작!” 소리와 함께 엄지손가락들이 바쁘게 움직인다. 앞 다퉈 손가락을 누르려는 통에 대부분은 몇 번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