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점성가
d라이브러리
"
천문학자
"(으)로 총 1,42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5. 중력파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실험도 함께하고 있다. 중력파로 우주의 비밀을 파헤칠 임무는 이제 미래의 물리학자,
천문학자
인 여러분의 몫으로 남아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일반상대성이론 100INTRO. 상대성이론 vs 양자역학PART1. 일반상대성이론 낳은 ‘기적의 10년’PART2. 상대성이론 이해하기PART3. 우주를 뒤바꾼 ... ...
PART6. 일반상대성이론 뒤집히나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100년 동안 세상을 바꾸고 과학동아가 특집까지 다룬 이론이 혹시 틀렸다는 말인가. 물론 그렇지 않다. 일반상대론을 검증하려는 시도는 단추 크기(수mm)에서 태양계 크기(수십 억 km) 수준까지만 이뤄졌다. 이 정도 세계에서 아인슈타인이 틀렸다는 징후는 아직 없다. 그런데 태양계보다 훨씬 더 큰 ... ...
100년 전 수첩에서 유령입자까지 남극 미스터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3호
여러분~, 여기예요! 잠깐, 쉿! 다른 펭귄들에게 들키지 않게 조심하세요! 제가 누군지 모르겠다고요? 펭귄들의 다리를 잘 보세요. 이제 저를 찾았나요? 저는 편집부에서 파견한 스파이 펭귄로봇이랍니다. 다리 대신 바퀴가 달려 있지요. 최근 남극에서 미스터리한 사건이 많이 일 ... ...
아마추어 천문가 ‘벼리빈 나는바메’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1호
“달에는 수많은 크레이터가 있어요. 운석이 충돌해서 생긴….”맑은 가을밤. 썰렁홈즈와 다무러는 도시 한 가운데에 있는 과학동아 천문대에 갔다. 아마추어 천문가 ‘벼리빈 나는바메’는 재미있는 우주이야기를 시작했다.“혹시 크레이터가 운석 때문에 생겼다고 주장한 과학자가 누군지 아시 ... ...
PART 1 한 눈에 보는 블랙홀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블랙홀 이론을 뒷받침하는 내용이었지만, 학계의 반응은 냉랭했다. 1916년 독일의
천문학자
카를 슈바르츠실트가 아인슈타인의 중력장 방정식의 해를 처음으로 구했다. 1939년 미국의 이론물리학자 오펜하이머가 거대한 질량의 별이 수축하면 블랙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이론적으로 증명했다. 196 ... ...
PART 3 웜홀 타고 우주여행 가능할까?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없는 영화라고 자신 있게 말한 근거다. 이 밖에도 킵 손을 포함한 수많은 물리학자와
천문학자
의 철저한 검증을 거쳤다고 밝혔지만, 여전히 지울 수 없는 물음표가 남아있다. 영화의 토대가 되는 웜홀의 존재여부다.아인슈타인은 웜홀의 존재 가능성을 높게 보면서도 생명체가 웜홀을 통과하는 것은 ... ...
PART 2 블랙홀 속 수학여행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블랙홀이 회전하면 뉴질랜드의 수학자 로이 커의 이름을 붙인 ‘커 블랙홀’이다.
천문학자
들은 커 블랙홀을 가장 일반적인 블랙홀로 꼽는다. 대부분의 별이 이미 회전하고 있어 이후 만들어지는 블랙홀도 회전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2 리만 기하학 없으면 상대성이론도 없다?“평행선을 ... ...
INTRO. 인류최후 에너지 핵융합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신임 소장 인터뷰PART7. 인류의 꿈이 모였다 이터(ITER)특집인류최후 에너지 핵융합한
천문학자
는 우리를 ‘초신성의 후예’라고 불렀다. 초신성이 폭발하면서 남긴 물질이 지상 모든 생명체를 이뤘다는 뜻에서다. 하지만 어디 물질만 그럴까. 우리가 쓰는 에너지 치고 별빛과 태양빛에서 오지 않은 게 ... ...
[hot science]
천문학자
가 본 ‘인터스텔라’ 중력은 차원을 넘나들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박석재 연구위원은 영화의 백미로 에드워드 행성으로 가는 항로에 있는 블랙홀 ‘가르강튀아’를 꼽는다. 영화사상 그리고 천문학 연구 사상 블랙홀의 모습을 가장 완벽하게 구현했기 때문이다. 원래 블랙홀은 볼 수 없다. 빛이 나오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영화 속에서 시꺼먼 블랙홀을 둘 ... ...
PART 2. 신종헌터 블루오션국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붙어 있어요." 미간을 살짝 찌푸리며 눈앞에 밤하늘을 상상하는 모습이 영락없는
천문학자
다. 1969년 인간은 달에 발을 디딘다. 박테리아는 그로부터 8년이 지나서야 개수를 셀 수 있게 됐다. 밤하늘 은하수의 별들에는 하나하나 이름이 붙어있지만, 박테리아는 아직도 태반이 이름이 없다.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