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후
안팎
시종
주변
주위
상황
d라이브러리
"
앞뒤
"(으)로 총 551건 검색되었습니다.
뭉클뭉클, 이 느낌이야!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듯한 착각이 든다.다음은 노젓는 햅틱 장치다. 기어변속기처럼 생긴 막대를 쥐고 손을
앞뒤
로 움직이자 그에 따라 화면속의 노가 물을 가른다. 신기하게도 노를 젓기 시작할 때는 힘이 많이 들다가 서서히 막대의 저항이 줄어든다. 개발자인 박사과정 고성영씨는 “실제 노를 저을 때 일어나는 물의 ... ...
근대화학의 아버지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토질 등의 영향으로 장소에 따라 달라지는 기후를 소기후라고 한다면, 더 나아가서 숲의
앞뒤
, 작물의 생육지 안팎에서도 달라지는 게 미기후다탄산칼슘이 주성분인 광물로서 이것을 통해 물체를 보면 이중으로 보이는 복굴절이 일어난다 석회암은 방해석의 미세한 입자로 되어 있으며, 이것이 ... ...
초고층 아파트를 지탱하는 과학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곰팡이 같은 미생물이 번식하면서 실내공기를 오염시킨다.일반적인 아파트의 경우
앞뒤
가 트여 있어 쉽게 환기시킬 수 있다. 그러나 초고층 아파트는 사무실 빌딩처럼 자연적인 실내공기 교환이 어렵다. 따라서 실내공기를 바꾸는 강제 환기시스템이 중요하다. 만약 실내공기가 제대로 관리되지 ... ...
산모 음식이 자식 유전자의 기능 바꾼다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의한 유전자 억제라는 설명이다. 외부 유전자가 정상 유전자 사이에 끼이면 이 유전자
앞뒤
로 CpG를 붙여 메틸화를 시킨다. 그러면 외부 유전자는 작동하지 않고 영원히 침묵을 지키는 것이다.실제로 인간게놈프로젝트의 결과 인간게놈에는 CpG가 밀집돼 있는 부위가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전체 ... ...
태양빛 이용해 나서는 달 탐사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한 쌍씩의 신경절을 만들고 이 신경절 사이를 두 개의 신경섬유 다발이 배부의 중앙을
앞뒤
로 지나가 사다리 모양을 이룬다신경절은 신경세포의 세포체가 밀집한 부분이며 여기서 말초신경이 뻗어 나와 온몸에 분포한다사륜구동차(四輪驅動車) 네 바퀴 모두에 회전을 전해 달리는 자동차 및 그 기구 ... ...
터널운전 왜 위험할까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과속을 하고 있는데도 보통 속도로 달리고 있다고 생각하기가 쉽다.또 터널 안에서는
앞뒤
나 옆에 있는 차와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 즉 차간거리를 제대로 측정할 수 없다. 교통과학연구원 황상호 수석연구원은 “터널 안에서는 특히 앞차보다도 옆차선을 달리는 차와의 거리를 측정하기가 매우 ... ...
과학이 정말 재밌어요!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실망으로 가득찼다. 앞으로 나아가기는 커녕 물에 뜨지도 않았기 때문이다. 배의
앞뒤
무게균형을 맞추면 된다는 누군가의 말에 아이들은 다시금 자기 조의 배를 손보느라 바빠졌다. 스티로폼을 덧붙이는 아이, 나무조각을 잘라 붙이는 아이, 양옆에 보조나무를 덧대는 아이, 심지어 가위를 붙여 ... ...
적외선우주 관측하는 새로운 망원경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개체발생면에서 보면 신경관에 유래한다발생 초기에 낭배(囊胚)가 완성되면 배는
앞뒤
로 선장하고 배의 등 쪽에 뻗은 척색 바로 위의 외배엽(外胚葉)은 두꺼워지며 동시에 납작한 판상(板狀)의 신경판을 형성한다 플라즈마를 아주 짧은 시간에 가열하여 고온화시키면 플라즈마는 이온의 열속도 vt로 ... ...
또다른 내가 무한개 우주에 살고있다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얕은 연못에서 헤엄치고 있는 금붕어를 예로 들어보자. 연못은 매우 얕아서 금붕어는
앞뒤
좌우를 구별할 수 있지만 아래위를 구별하지는 못한다고 하자. 즉 2차원의 평면에 살고 있는 금붕어다. 이 금붕어는 연못 바로 ‘위’ 3차원의 공간을 볼 수도 없고 상상할 수도 없다. 하지만 3차원의 공간에서 ... ...
로또 당첨 소행성 지구 충돌보다 어렵다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시작되는 시점에서는 시공간마저 양자역학적인 물리량이다. 이것은 시간적·공간적으로
앞뒤
를 따질 수 있는 고전적인 시공간이 아니다. 양자역학은 시공간의 양자역학적 혼동상태에서 우주가 무에서 탄생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우주가 탄생하기 이전 에너지가 0인 무의 상태에서 시공간은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