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밑동
내부
밑바탕
밑
어림
속
하단
d라이브러리
"
아래쪽
"(으)로 총 786건 검색되었습니다.
볼펜 한 자루의 과학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파이프 팁(pipe tip)을 쓴다. 얇은 스테인리스강을 말아 용접해 파이프로 만든 뒤 볼을 넣고
아래쪽
은 오므리고 위는 파이프 바깥에서 안쪽으로 서너 곳에서 눌러줘 볼을 고정한다.박 사장은 “지름이 0.4mm에 불과한 볼을 고정한 채 오랫동안 마모되지 않고 쓸 수 있으려면 재질이 강해야 하는데, 그 ... ...
달리면서 난다? CD 호버크래프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위쪽에 날개가, 뒤쪽에 잘 빠진 꼬리가 달려 있기 때문에 언뜻 비행기처럼 보이지만
아래쪽
은 배의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위그선은 바다를 활주로 삼아 달리다가 날개를 떠받치는 양력을 받아 위로 떠오릅니다. 수면에서 가까울수록 이 힘이 커지기 때문에 수면 5m 이내의 낮은 고도를 유지하며 빨리 ... ...
알싸한 겨울철 별미 홍어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돋아나 있다.수놈의 생식기는 두 개인데, 뼈로 이뤄져 있으며 굽은 칼 모양이다. 그
아래쪽
에는 고환이 달려 있다. 양 날개에는 갈고리 모양의 잔가시가 돋아 있어 교미할 때 암놈의 몸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암놈이 낚싯바늘을 물면 수놈이 달려들어 교미를 하다가 낚시를 들어올릴 때 ... ...
얼굴로 말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1호
표정을 지을 때는 보통 얼굴의 좌우 움직임이 완전히 똑같지 않거든. 얼굴의 위쪽보다는
아래쪽
을 더 많이 움직이는 특징도 있어. 또한 가짜 표정은 표정을 지었다가 다시 원래대로 돌아오는 데 걸리는 시간이 진짜 표정보다 길어.그러면 사람들이 평소에 많이 짓는 가짜 웃음에 대해 알아볼까? 가짜 ... ...
은빛 비늘에 뒤덮인 두툼한 속살 갈치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속에 들어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실제로 갈치살을 발라 먹다 보면 주로 등뼈
아래쪽
이나 배쪽에서 사람 이처럼 생긴 덩어리가 나올 때가 있다. 이 때문에 사람을 잡아먹는다는 이야기가 나오게 된 것 같다. 이런 덩어리는 주로 다 자란 갈치의 몸속에서 발견되는데, 비정상적으로 발달한 ... ...
마술과 함께 수학의 세계로!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정육면체라고 한다.밑면: 입체도형의
아래쪽
면으로, 각기둥에서는 도형의 위쪽과
아래쪽
면 모두를 말한다.달인 선생님의 수학 수업 3교시 찢어진 휴지가 하나로? 분수마술벌써 마지막 수업시간이 됐어. 선생님이 분수의 덧셈에 대해 공부할 거라고 말하시고는 친구들에게 쉴 틈 없이 분수에 대해 ... ...
나를 말해주는 손가락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길이는 손바닥과 손가락이 만나는 주름에서부터 손가락 끝까지 재는데, 주름이 두 개면
아래쪽
주름부터 재면 된다. 손바닥 사진을 찍거나, 복사기에 손바닥을 복사해서 재보면 결과가 더 정확하다.이제 두 손가락 길이의 비율을 구해보자. 편의상 검지의 길이를 약지의 길이로 나눈 값을 ‘손가락 ... ...
힘찬 기상과 애절함을 담은 소리 피리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다르다. 향피리는 첫 번째 지공이 관대
아래쪽
에 있지만 당피리는 두 번째 지공이 관대
아래쪽
에 있다. 그런데 조선 초기 편찬된 역사서 ‘고려사’의 ‘악지(樂志)’편과 세종실록을 살펴보면 당피리의 지공이 모두 9개라고 기록돼 있다. 현재 연주에 쓰는 당피리는 모두 조선 성종 때 향피리와 같이 ... ...
봉황의 오색 울음소리 생황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소리가 난다. 바가지나 금속통 옆으로 길게 나온 취구로 숨을 들이쉬고 내쉬며 대나무 관
아래쪽
에 뚫린 지공(指孔)을 손가락으로 막는다.지공을 막으면 관 속에 있는 쇳조각인 ‘쇠청’이 울려 소리가 나고 열면 소리가 나지 않는다. 쇠청은 일종의 마우스피스로 숨을 들이 쉬고 내쉴 때마다 ... ...
“기후변화요? 히말라야 오르면 보입니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이런 산사태 때문에 빙하가 더 많이 녹게 되죠.”산사태로 쓸려 내려온 돌과 모래는 산
아래쪽
빙하 위에 떨어진다. 낮에 해가 떠 있을 때 빙하를 덮은 돌과 모래는 열을 받아 뜨거워지고, 해가 져도 빨리 식지 않는다. 이 열기 때문에 밤에도 빙하는 계속해서 녹을 수밖에 없다.이런 돌과 모래 때문에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