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뿌리"(으)로 총 1,271건 검색되었습니다.
- 다윈이 없었다면 진화론도 없었을까?과학동아 l2014년 02호
- 이름 모를 농부였을 가능성이 크다. 백신 접종은 민속 의료 속에 수 세기 동안 깊숙이 뿌리박고 있었기 때문이다(남자가 아닐 가능성도 높다). 에드워드 제너와 지석영은 민속 의료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처음으로 기록에 남긴 지식인일 뿐이다.그런데 왜 우리는 ‘종두법’이라고 하면 에드워드 ... ...
- 진화론의 ‘첨단’을 읽는다!과학동아 l2014년 01호
- ‘혈연선택’ 또는 ‘친족선택’이라는 말로도 불리는데, 현대 진화생물학은 이 개념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도킨스도, 윌슨도 다 이 개념으로부터 학문 업적을 쌓았다.그런데 윌슨은 2000년대 중반, 돌연 이 개념을 부정했다. 자신이 오래 해온 연구를 스스로 부정한 것도 ... ...
- 열무김치 VS 총각김치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3호
- 말아서 여름 별미로 먹거나, 볶거나 무쳐서 나물처럼 먹기도 하지요.총각김치총각무는 뿌리 끝이 둥글게 부풀어 있는 점이 특징인 작은 무예요. 잎과 줄기를 의미하는 ‘무청’의 생김새가 마치 총각의 땋은 머리 같아서 이런 이름이 붙었답니다. 총각무는 서늘한 기온에서 잘 자라기 때문에 ... ...
- 애기장대가 알려 준 장수의 비결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2호
- 결과, 식물이 끊임없이 세포를 만드는 비결은 뿌리 속에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어요. 보통 뿌리 끝에서 활발하게 세포 분열이 일어나는데 이 부위의 안쪽에는 반대로 세포 분열 속도가 10배 가까이 느린 ‘분열정지중심’이 있어요. 연구팀은 식물의 줄기세포가 손상됐을 때 나오는 단백질과 호르몬이 ... ...
- 조상님도 뵙고 까마득한 후손도 만나고 한가위 타임머신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8호
- 가서 확인해 보자꾸나~.인류의 조상은 원숭이?원숭이는 사람의 조상이 아니다. 같은 나무뿌리에서 서로 다른 나뭇가지들이 자라 갈라진 것처럼 사람과 원숭이는 아주 먼 옛날, 같은 조상으로부터 분화한 먼 친척이다. 하나의 공통조상*이 시간이 지나면서 각기 다른 종(種)으로 진화했다는 뜻이다. ... ...
- PART2 물 건너 온 한국 음식 김치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더덕같은 산나물을 채집해 먹었다. ‘숭’이 배추 종류인데, 지금과 달리 포기가 작아 뿌리를 주로 먹었다. 삼국시대를 거쳐 고려, 조선 중기를 지날 때까지 김치의 재료는 무나 오이, 가지 같은 채소였다. 지금 재배하는 것처럼 잎이 큰 배추(Brassica campestris)는 18세기에 중국에서 들어왔다. 이 배추가 ... ...
- Part 1_ 우주를 팽창시키는 힘, 암흑에너지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만약 진공에너지가 암흑에너지의 답이 아니라면 문제는 더 커진다. 현재의 기초과학이 뿌리채 흔들릴 수 있기 때문이다.이런 문제에 봉착하자 2000년대 초반부터 우주론자 사이에서는 암흑에너지의 존재에 대해 회의가 일어나기 시작했다. 가속 팽창은 기존에 알고 있던 중력만으로도 충분히 생길 ... ...
- 어른인데… 나도 혹시 ADHD?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아닌가?”라는 오해를 받는다. 하지만 성인 ADHD의 증세는 의학적인 실체가 있으며, 그 뿌리 역시 어린 시절 겪은 ADHD에 있다는 사실이 명백하다. 성인 ADHD를 확진할 때 의심 환자가 12세 이전에 ADHD 증상을 보였는지를 확인하는 이유도 그 때문이다.하지만 최근에는 다른 이유로도 성인 ADHD의 증세를 ... ...
- 직업은 열정을 갖고 꿈을 실현시키는 것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전 절대 아니었어요. 공부만 했으니까요.”창업을 하겠다는 꿈도 어린 시절부터 서서히 뿌리내렸다. 조 대표는 중학교 2학년 때 담임선생님이 영향을 끼쳤다고 했다. 방학이 되면 외국으로 산을 타러 다니는 남자 선생님이었는데, 상남자 스타일로 아이들에게 현실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들려줬다. ... ...
- 모범생 스트레스 이겨낸 통신 전문가 (최성현 서울대학교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전력, 바이오 등 6~7개 분야로 나누어진다. 개별 분야가 개성이 강하지만 모두 전기전자에 뿌리를 두고 있다. 제어는 로보틱스와 관련된다. 전기와 컴퓨터도 또다른 분야다. 네트워크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넓게 지식을 섭렵하면 좋은 게 많다는 게 최 교수의 설명이다. “이렇게 다양한 전공 분야지만 ... ...
이전3435363738394041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