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근본
근원
기원
원천
기초
시초
씨앗
d라이브러리
"
뿌리
"(으)로 총 1,27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오늘 밤에도 동대문에 은빛 우주선이 내려온다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말뚝을 박았다. 말뚝의 절반은 딱딱한 기반암까지 깊이 박았다.튀어나온 부분의 하중이
뿌리
까지 전달되는 것도 중요했다. 그렇지 않으면 건물이 두 동강 날 수 있다. 그래서 건물의 척추와 같은 코어를 일반적인 건물과는 다르게 지어야 했다. 이 과제를 맡은 구조공학자 모나 바시는 고민 끝에 ... ...
우리 학과 뭘 배우지?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스스로를 보호하고 안전한 삶의 터전을 가꾸기 위해 개발한 토목기술이 건설공학의
뿌리
입니다. 마실 물과 농사에 필요한 물을 얻기 위해 수로를 만들고, 적의 침입을 막기 위해 건물을 쌓는 등 문명의 발달과 함께 진화했습니다.원자력발전소와 우주정거장도 건설!도시의 유지·관리를 중요시하는 ... ...
Bridge. 튤립은 어떻게 세상에 퍼졌나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그렇지 않다. 마치 몸은 그 자리에 두고 영혼만 이동하는 마법사처럼 본래 그 자리에
뿌리
를 내리고 있으면서도 지구 전체를 돌 수 있는 것이 꽃이다.스마트폰 심는다고 스마트폰 열릴까해외여행을 떠날 때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여행지에 대한 모든 정보를 담아가는 것은 물론 세계 어디에서든 ... ...
PART 3. 인간의 역사를 바꾼 꽃의 유혹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500년이 지난 오늘날에도 사프란은 세계에서 가장 값비싼 향료로 거래되고 있다.라벤더는
뿌리
를 제외한 온 몸에서 향이 나는 기름을 생산한다. 이 기름을 필요할 때마다 공기 중으로 뿜어 향기를 낸다. 라벤더의 독특한 향은 벌과 인간꿀벌을 유혹하고, 초식동물의 식욕을 억제해 스스로를 보호한다. ... ...
셀레스틴이 알려 주는 이빨의 비밀 어네스트와 셀레스틴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4호
한 쌍과 입 깊숙한 안쪽에 어금니들이 있어. 특히 앞니는 ‘치근’이라고 불리는 치아
뿌리
가 없어서 사는 동안 끝없이 자란단다. 치근은 잇몸과 뼈 속에 있는 치아 부분인데 일반적으로 턱으로 부르는 상악과 하악 안에 심어져 있어 치아를 고정하고 유지하는 역할을 하지. 그런데 우리 쥐들은 이 ... ...
[체험] 2014 태국 탐사대, 푸른 바다에 녹색 꿈을 심다!
수학동아
l
2014년 03호
“팡아 해안생태연구센터에 오신 여러분을 환영합니다!”탐사대원들이 도착한 곳은 태국 남부의 푸켓에서 북쪽으로 약 1시간 30분 떨어진 ‘팡아 주’ ... 특별하고 이색적인 사원 네 곳을 방문해 보았다. 오랫동안 태국 사람들 마음 속 깊게
뿌리
내린 불심의 깊이가 느껴지는 순간이었다 ... ...
상한 머리카락 자르는 게 답이다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만드는 모근을 빼놓을 수 없다. 한순간의 따끔함을 참고 머리카락을 하나 뽑아보면
뿌리
부분에 흰색 덩어리가 보이는데 이것이 모근이다. 간혹 모근 위로 뭔가 반쯤 투명한 얇은 막이 머리카락을 감싸고 있는 것도 보이는데 이것은 모근을 감싸고 있는 주머니 모양의 조직인 모낭이다. 궁금하다면 ... ...
PART2. 공룡이 멸종하지 않았다면?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공룡은 포유류의 존재를 잘 알지 못했다. 대부분 쥐만한 크기였고, 낮에는 땅속이나 나무
뿌리
틈에 꼭꼭 숨어있었기 때문이다. 포유류는 밤에 열매나 곤충을 먹었다. 가끔 운이 좋은 날에는 둥지에서 떨어진 공룡 알을 주워 먹었다. 이렇게 포유류가 밤을, 공룡이 낮을 지배했다.▼관련기사를 계속 ... ...
우리 학과 뭘 배우지?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스스로를 보호하고 안전한 삶의 터전을 가꾸기 위해 개발한 토목기술이 건설공학의
뿌리
입니다. 마실 물과 농사에 필요한 물을 얻기 위해 수로를 만들고, 적의 침입을 막기 위해 건물을 쌓는 등 문명의 발달과 함께 진화했습니다.원자력발전소와 우주정거장도 건설!도시의 유지·관리를 중요시하는 ... ...
오래된 나무가 지구를 지킨다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기존의 생각을 뒤집는 결과다. 연구팀은 큰 나무일수록 더 빨리 성장하는 까닭을
뿌리
가 깊고 나뭇잎 총 면적이 넓어 에너지를 얻는 데 유리하기 때문으로 해석했다.큰 나무일수록 탄소를 더 많이 고정한다는 사실도 새롭게 밝혀졌다. 대형 고목 한 그루가 1년간 흡수해 고정하는 탄소의 양이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