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벽"(으)로 총 1,946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국내 첫 과학기구, 스누볼 발사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있을 것이다. 바람 방향이 바뀌는 6월 전에 시험을 마무리하기 위해서다. 그 때는 완벽하게 성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이관중_kjyee@snu.ac.kr서울대 항공우주공학과(현 기계항공공학부)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일본 도쿄대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있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국방부, 부산대를 거쳐 ... ...
- Part 1. 韓 가속기 굴기 ‘ 입자 공장’ 라온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가속관의 국산화에 성공했다. 세계에서 8번째로 이룬 성과다. 생성된 동위원소 빔이 벽에 부딪히지 않고 끝까지 전달될 수 있도록 초전도 자석을 이용해 방향을 조절한다. 중이온의 흐름은 일종의 전류다. 플레밍에 왼손법칙에 따라 전류(I)는 자기장(B)의 방향에 따라 힘(F)을 받는 방향이 결정된다. ... ...
- Part 3. 냠냠~ 미세먼지 잡아먹는 건물이 나타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이탈리아 궁전’이라는 이름의 이 건물은 겉이 하얀색 벽으로 둘러싸여 있답니다. 이 벽의 재료는 ‘이산화 타이타늄(TiO2)’으로, 햇빛 속 자외선을 받으면 미세먼지의 주요 성분인 질소산화물과 휘발성 유기물을 분해하는 ●촉매 역할을 해요. 이 과정에서 이산화 타이타늄은 어떤 변화도 ... ...
-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과학동아 l2018년 05호
- superfluid)와 고체(solid)를 합쳐 지은 이름입니다. 초유체는 절대영도에 가까운 극저온에서 벽을 타고 위로 흐르거나 사방으로 흩어지는 신기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요. 초고체는 고체의 일부가 초유체가 된 상태를 일컫습니다. 고체헬륨(4He)을 극저온인 0.2K(절대온도)까지 냉각시킬 때 나타납니다 ... ...
- [Culture] 시폰 케이크 & 베이크드 알래스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H+)이 계란단백질에 있 는 자 유 황화 수소(-SH·sulfhydryl)와 이황화결합(S-S)을 이뤄, 거품벽의 단백질 구조를 견고하게 만들기 때문입니다. 또한 거품이 부풀어 오를 때쯤 설탕을 조금 넣으면 거품에 녹아들어가 점도가 높아지면서 거품이 단단해집니다. 머랭은 거품이 꺼지지 않도록 조심스레 밀가루 ... ...
- [특별 인터뷰] 한국인이 탐사 대장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없을 거라 여기던 심리적인 장벽이 없어졌기 때문이에요. 저의 도전이 ‘마의 4분’이란 벽을 깬 로저 배니스터 역할을 했으면 좋겠어요. 친구들도 망설이지 말고 꿈꾸던 일에 도전해 보세요 ... ...
- [DJ CHO의 롤링수톤] 마이클 잭슨의 ‘배드’ 눈으로 보는 음악수학동아 l2018년 04호
- 잭슨은 세상을 떠난 뒤에도 사람들에게 끊임없이 회자되고 있습니다. 인종 간의 음악 장벽을 부수어 없앴으며, 듣는 음악의 시대에서 보는 음악의 시대를 연 인물이기 때문이지요. 이런 측면에서 생각해보면 마이클 잭슨이야말로 음악으로 인종 대통합을 이룬 인권 운동가가 아니었을까요 ... ...
- [교과연계수업] 과학 즐기며, 황금개 찾아보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 조 대표가 강아지 홍보 포스터를 이용해 설명한다. ▶ 완성한 포스터를 각각 교실 벽에 전시하고, 스티커를 이용해 최고의 황금개에게 투표한다. ▶ 결과를 발표하고 수업을 마무리한다 ... ...
- [다중이용시설] 피난 약자 위한 대피공간 설계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있다. 이런 출입문은 양방향으로 나 있어야 한다. 그런데 대부분의 필로티(Pilot·i벽이 없는 1층 기둥들) 구조의 건물들은 출입구 역할을 하는 문이 하나만 있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병목현상이 생겨 탈출로를 확보하기가 어렵다. 한편 복잡한 대피 상황에서는 피난 시간을 1분이라도 더 벌어야 한다. ... ...
- [아파트] 외벽타고 상승하는 불, 불연성 외장재가 해답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상용화했다. 단열재를 불연성 자재로 바꾼다고 100% 안심할 수는 없다. 모든 건물의 외벽은 위층과 아래층 사이에 이를 연결하는 ‘슬리브’ 부위가 있다. 이 부분은 흔히 불이 이동하는 통로가 된다. 건물이 낡으면서, 또는 지진에 의해 미세하게 흔들리면서 파괴되기 때문이다. 유용호 연구위원은 ... ...
이전3435363738394041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