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각도"(으)로 총 1,54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바퀴벌레 아니고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만들어져 몸을 납작하게 할 수 있지요.또한 바퀴벌레는 좁은 틈을 통과할 때 다리의 각도를 낮추고 보폭을 줄이는 등 걸음걸이를 변화시키는 특징이 있답니다. 크램 역시 좁은 틈에 들어갔을 때 ‘L’자 모양의 다리를 넓게 펴서 앞으로 걸어갈 수 있지요. 연구팀은 앞으로 크램을 인명 구조용 ... ...
- Part 1. 음악, 수학을 만들다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선이 향하는 점인 소실점으로 차선을 찾는다. 모든 선을 소실점과 연결했을 때 특정한 각도를 이루는 선의 쌍들이 차선이다.소실점은 영상 속 모든 선분을 연장해 교점을 구하면 된다. 실제로는 모든 직선이 한 점에서 만나지 못하기 때문에 김 교수는 하모니 서치로 모든 직선에서 거리가 가장 짧은 ... ...
- 얼꽝 용승이 인스타그램 스타 만들기 대작전!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잘 표현하지 못하기 때문이지. 사진 속에서도 입체감을 살리고 싶으면 빛을 비추는 각도를 잘 이용해야 해.연세대학교 인지과학 연구소에서 빛을 얼굴 정면에서 비출 때와 옆에서 비출 때, 그리고 비스듬히 비출 때 사람들이 어떤 사진을 가장 입체적으로 느끼는지 조사했는데, 빛을 얼굴 정면에서 ... ...
- [Future] 누나 드론 차 뽑았다, 널 데리러 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수도 있다. 보통 헬리콥터는 1분당 회전 수(rpm)를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프로펠러의 각도를 조절해서 방향을 잡는다. 하지만 드론은 각각의 프로펠러 회전 수를 조절할 수 있어서 회전 속도에 변화를 주면 손쉽게 이동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항184가 비행하는 모습이다(사람이 타지 않았다) ... ...
- Part 3. 사이버그야, 모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서로 같아져서 안정적으로 점프를 할 수 있었답니다. 또한 거품벌레 로봇은 다리의 각도를 조절해서 점프 방향을 바꿀 수도 있었어요. 파리의 걸음걸이를 연구하는 로봇?스위스 로잔연방공대 페이반 람드야 교수팀은 직접 로봇을 만들어 노랑초파리의 걸음걸이를 연구했어요. 연구팀은 컴퓨터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사잇각이 같은 직선 찾기수학동아 l2017년 06호
- 2차원에서 어느 두 직선을 골라도 사잇각이 같은 직선 3개는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사잇각이 60°가 되게 그리면 되지요. 하지만 4개만 되도 사잇각이 다른 두 개가 반드시 나와 불가능합니다. 즉 평면에서는 사잇각이 일정한 직선 수의 최댓값이 3입니다.3차원에선 어떨까요? 2차원보다는 구하기 어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자연에서 답을 찾다! FOMA 자동차 디자인 미술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딱정벌레들의 색을 자세히 살펴보세요. 여러 각도에서 요리조리 살펴보면 초록빛의 색이 각도에 따라 변하는 걸 볼 수 있을 거예요.”김현진 선생님은 곤충 표본과 함께 옆에 있던 자동차에 대해 설명해 주셨어요.“이 차는 박종서 관장님이 자동차 회사에서 일하실 때 직접 디자인한 차 ... ...
- 수학이 빚은 조각 보석수학동아 l2017년 05호
- 또는 타원 모양이 대부분입니다. 이유가 무엇일까요?보석 세공사는 미리 계산한 비율과 각도에 맞춰 보석을 조각한다. 광채가 먼저냐, 무게가 먼저냐보석의 값어치를 결정하는 요소 중 광채만큼 중요한 것이 중량입니다. 수많은 광물 중 보석이 될 수 있는 건 단 몇백 개뿐인데, 이마저도 쉽게 얻을 ... ...
- [Future] 위조할 수 없고 빼돌릴 수도 없는 양자지폐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수 있다. 특수한 물질로 만든 편광판은 이 방식을 한 개 또는 모두 적용해 통과하는 빛을 각도별로 조절 할 수 있다. 컴퓨터 디스플레이 화면은 수직편광(90°,↕)판을 쓰는데, 수직편광을 가진 빛 입자가 이를 통과한 뒤 우리 눈에 도달하게 된다. 이 디스플레이 위로 수평편광판(0°, ↔)을 두면 빛이 ... ...
- Part 1. 헛걸음을 하지 않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많이 흔들지요.또, 꽃 무리가 있는 방향은 태양-벌집-꽃 사이의 각도로 알려 줘요. 이 각도가 135°라면 8자 모양이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135°만큼 기울도록 춤을 추는 거예요.나머지 벌들은 정찰 벌의 8자춤을 보고 꽃의 위치를 파악한 뒤, 꿀을 채취하러 나선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이전343536373839404142 다음